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교사의 직무 동기유발에 대한 동기과정론의 설명력 비교 : 기대이론, 목표설정이론, 공정성이론 중심

        장내찬 한국교육학회 2002 敎育學硏究 Vol.40 No.6

        본 연구는 동기과정이론 중, 기대이론, 목표설정이론 및 공정성이론이 초·중고등학교 교사의 직무 동기유발에 어느 정도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교사 264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SPSS를 활용하여 단순 및 중다희귀분석법으로 p < .05 혹은 그 이상에서 분석했다. 이론 중, 교사의 직무 동기유발에 대해 기대이론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목표설정이론이었으며, 그 다음이 공정성이론이었다. 교사의 기대 변인과 목표설정 변인은 교사 동기유발에 대해 독립적, 복합적으로 모드 설명력이 있었으나 공정성 변인은 독립적인 경우에만 설명력이 있었을 뿐 이들 두 변인과 복합적으로 작용할 때는 설명력이 없었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search for the accountabilities of motivation process theories (Expectancy, Goal setting, and Equity) for teacher job motiv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wo-sixty four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Daejon, Kwangju, Chung-nam, and Chon-nam. The questionnaires included thirty six questions-six demographic factors, fifteen motivation variables, and fifteen motivation process theory variables. They were measured on Likert's five-point scale. The reliabilit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found Cronbach a = .8295 in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Cronbach =.8025 in the dependent variable. The data were analyzed by utilizing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t p < .05 or above. The significant accountabilities were found at Simple Regression Analysis as follows: The independent variables-Expectancy (R^2=.029) for the dependent variable-teacher job motivation. Expectancy accounted for 29.5% of the variability of the dependent variable-teacher job motivation: Goal setting for 21.4%; and Equity for 2.9%. However, Expectancy and Goal setting variables,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d significant accountabilities(R = .607; R=^2 .368) for the variability in the dependent variable, but Equity variable did nor. The first and second variables had influences on teacher job motivation, but the last not. More studies are recommended on why the last variable influences teacher job motivhtion independently but doesn't when working with the other variables.

      • Applied study on School Management Model for A School Setting in New Millennial Era

        장내찬 대불대학교 2000 論文集 Vol.6 No.1

        이 연구는 수도권의 어느 학교가 새 천년을 맞이하여 효과적인 학교가 되기 위해 어떤 교육적 환경을 조성해야 하고 어떤 교육 지도력을 발휘해야 하는지를 고찰하였다. 첫째, 변화하는 교육의 내, 외적인 환경에 적응하고 기대되는 변화를 창조하기 위하여 학교는 융통성 있는 조직을 가져야 하고 수평적인 의사소통의 원활화와 책임과 권한의 탈 집중화를 도모해야 한다. 둘째, 학교행정에 가능한 한 많은 지역주민과 교내 인사들이 참여토록 동기 유발시켜 그들로부터 지적인, 물적인 자원을 조달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변화로 인한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큰 힘을 얻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새 천년의 학교는 변화를 효과적인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변화기획팀을 구성하여 "R.D.D.A.F." model을 발전시킨다.

      • The application and effect of the computer on handicapped child education

        장내찬 대불대학교 1999 論文集 Vol.5 No.1

        컴퓨터는 이이디어를 전달하고 새로운 지식에의 접근 가능성을 높여 주는 역할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인지적으로 사고하는 방식을 제공해 준다. 따라서 컴퓨터는 학습자의 심리적, 사회적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컴퓨터는 지루해 하거나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학습자에게 반복적 학습기회를 줌으로써 그 자신의 학습진도에 따라 학습하는 개별학습을 가능토록 해준다. 특히 CAI (컴퓨터 보조 수업)은 낮은 수준의 학습자에게 그들의 학습 진도에 따라 수업을 가능하도록 하기 때문에, 학습능력향상은 물론 학습으로부터 생기는 심리적, 사회적 압박감을 줄일수 있게 해준다. 컴퓨터에 여러 시각 및 청각 보조 장치를 설계, 부착시킴으로써 시각 혹은 청각 장애자들로 하여금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예로써 Kurzwill Reading Machine, Microwriter or Quinkey, IVSET등 특수아 교육을 위해 특별 제작된 학습 자료들은 장애자들이 학습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를 그들에게 알맞은 형태로 변형시켜준다. CAI는 학생들로 하여금 개인차에 따른 개별화 학습을 가능케함으로써 지나친 경쟁심과 극단적인 동기를 피할 수 있게 해주어 정신적 신체 결합으로부터 생길 수 있는 열등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해준다. 그들은 자신들의 학습 속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인지적 학습능력뿐만 아니라 정서적 발달도 성취할수 있다.

      • A Comparison Study on Management-Motivation Theories Between Frederick Herzberg, Abraham Maslow, Douglas McGregor, and Frederick Taylor

        장내찬 대불대학교 1998 論文集 Vol.4 No.1

        Tylor는 노동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작업 과정의 과학과를 주장했고, Herzberg는 직업 만족 요인과 불만족 요인이 서로 다른 범주에 속한다고 하면서 근로자들의 직업만족 혹은 불만족 상태를 파악, 그에 필요한 요인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것을 제안했다. Maslow는 근로자들의 욕구 상태를 파악, 이를 단계적으로 만족시켜야 한다고 주장했고, McGreg는 행정가나 관리자의 근로자 관이 이들의 지도유형을 결정한다고 했다. 학교교육면에서 보면, Taylor의 과학적 관리법의 특징인 적절한 작업할당, 책임과 권한의 명확한 구분, 학교 규율의 체계화 등이 학교 조직 속에서 보편화되고 있으며, 또한 Herzberg와 Maslow의 이론적 근거들도 오늘날 교사, 학생들의 사기진작이나 동기유발 계획의 일환으로 활용되고 있다. McGregor의 이론에 있어서도, 어떤 교장은 X 이론에 또 다른 교장은 Y 이론에 의존하면서 교사와 학생들을 관리하고 있다. 이상의 여러 이론들 중, 어느 하나만이 교육행정에 만병통치약이 될 수 없고 그렇다고 무익한 것도 아니어서 재직 중인 학교의 현실적 상황요인들을 파악하여 거기에 맞는 적절한 지도기술을 선택적으로 발휘하는 것이 필요하다.

      • Comparison study of educational organization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허창범,장내찬 대불대학교 2000 論文集 Vol.6 No.1

        이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교육조직 및 행정에 대한 권한 및 학교 문화를 비교하였다. 미국은 17세기에 지역주민의 관심과 기대 속에서 학교 교육이 시작하여 발전되었고, 한국은 4세기경에 국왕과 중앙정부의 관심속에서 시작, 발전되었다. 따라서 역사적으로 미국의 교육 목적이 민주시민의 양성에 있었다면 한국의 정부의 관리를 양성하는데 있었다. 한국의 공교육이 재정적으로 중앙집권화 되어 있다면 미국은 교육에 대한 정치적, 재정적 권한과 책임이 주 정부를 비롯하여 여러 교육 조직 단위에 분산되어 있다. 따라서 한국의 교육조직은 관료적이며 하향식으로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폐쇄된 형태를 띠고 있으나 미국의 경우는 상향식 및 개방적 교육조직 형태를 가지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