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뿌쉬낀의 "스페이드 여왕"에 관한 고찰 : 화법의 다의미성에 기여하는 요인으로서의 통사론적 수단

        임흥수 조선대학교 외국문화연구소 1991 外國文化硏究 Vol.14 No.1

        앞에서 살펴본 바에 의하면 "스페이드 여왕"에서의 독특한 문장구조는 주인공들의 정서적 체험을 부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행동의 시각적 이미지가 통사론적 수단에 의해 더욱더 강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통사론적 수단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병치법에 근거한 문장구조 2. 독특한 단어들의 사용 1) 의미론적으로(동의적으로 또는 반의어적으로) 연관도니 단어들의 반복 2) 삽입어로서 부사와 접속사의 사용 3. 1과 2의 복합 뿌쉬낀의 산문에 있어서 통사구조의 기본성격은 모든 통사론적 수단과 관련지어 알 필요가 있다. 이는 "스페이드 여왕"에 아주 잘 반영되어 있다. Heldi Faletti는 "스페이드 여왕"에서의 통사론적 구조의 성격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문장들은 대체로 기초적이다.: 하나 또는 여러개의 동사로 이루어진 단문 또는 복문으로 되어 있으며, 문장의 요소들은 세미콜론, 콤마 또는 콜론 내지 데쉬에 의해 나열되면서 극도의 긴장감과 압축의 효과를 낸다. 지금까지 살펴본 통사론적 수단은 이러한 원칙에 근거한 것이다. Vinogradov는 이러한 통사론적 수단의 효과를 sintaksicheskaia izobrazitel'nost라는 용어를 부여하고 있다. 이것은 "스페이드 여왕"에 있어서 화법의 다의미성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인의 하나가 된다.

      • KCI등재

        노인여가복지시설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외국 노인여가복지시설의 사례분석

        임흥수,고두갑,박송춘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4 복지상담교육연구 Vol.3 No.2

        This study was purposed to identify the problems on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leisure time of the elderly in Korea through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to apply the implications obtained from the analysis on the advanced welfare facilities for the leisure time of the elderly for the operation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Korea. More specifically, 4 problems were suggested after looking into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leisure time of the elderly in the first place, and the welfare facilities for leisure time in USA, UK, Germany and Japan in sequence were studied and analyzed. The implications obtained from such study and analysis were adopted to Korea and the improving methods for the problems of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ere suggested. The following 4 methods for the activation were proposed in the conclusion. Firstly, the financial support shall be acquired greatly for the distribution of the diversified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The qualitative. quantitative acquirement for the leisure facilities is necessary for the activation of the leisure for the elderly, but the budget scale for the welfare of the elderly is only 0.1% of the national budget. For this matter, the understanding on the importance of the leisure of the elderly, accordingly supporting and acquiring the budget are very essential. Secondly, the systematic support for the education facilities for the elderly shall be made such as the education course for the specialization. The integrated education course, development of the textbook and education material for the elderly school are required. The ‘Lecture bank system’ for the supply of the lecturer required for the elderly school and payment for the lecturer by the local government will be a desirable supporting system. Thirdly,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shall be distributed to provide the equal opportunities for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neglected class. For this purpose, th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노인여가복지시설의 현황 고찰을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의 문제점 해결방안으로 선진화된 외국의 노인여가복지시설 분석을 통해 얻은 시사점을 우리나라 노인여가복지시설 운영에 적용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먼저 우리나라 노인여가복지시설을 살펴보고 문제점 4가지를 제시한 후, 외국의 4개 국가 즉 미국, 영국, 독일, 일본의 여가복지시설을 순서대로 연구?분석하고자 한다. 이렇게 연구?분석을 통해 얻은 시사점을 우리나라에 적용하여 노인여가복지시설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한 후 결론부분에서 다음 4가지의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첫째, 다양화한 노인여가복지시설의 보급을 위해서 대폭적인 재정적 지원 확충이 요구된다. 노인들의 여가활동 활성화를 위해서는 여가시설의 질적?양적 확충이 요망되는데 우리나라의 노인복지 재정규모는 국가예산의 약 0.1%에 불과하다. 이는 무엇보다 국가에서 노인여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예산지원 및 확보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전문화를 위해 교육과정 등 노인교육시설의 체계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통합된 교육과정, 노인학교 교과서 및 교육교재의 개발, 전문 강사의 선정 및 지원 등이 필요하다. 각 노인학교에서 필요로 하는 강사를 공급하고 강사료를 지방정부에서 지급하는 ‘강사뱅크제’는 바람직한 지원 제도가 될 것이다. 셋째, 소외계층을 위하여 여가활동 기회가 형평성 있게 제공되도록 노인여가복지시설을 보급해야 한다. 이를 위해 여가 수단, 여가기회, 여가지원의 평준화를 위한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건강하지 못한 노인, 경제력이 없는 노인과 신체적으로 장애가 있는 노인들에게 여가활동의 평준화는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하고 적극적인 여가시설 보급이 강구됨으로써 여가활동 참여의 기회 균등화를 이루어야 한다. 넷째, 개인이나 가족 중심적인 여가활동에서 사회봉사활동과 같은 지역사회와의 연계성을 갖춘 여가생활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요구된다.

      •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품사 대조

        임흥수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2008 국제문화연구 Vol.1 No.2

        As well known, The Russian language has preserved an Indo-European synthetic-inflexional structure, although considerable levelling has taken place, and the Russian language is classified as a hard target language in terms of learning difficulty. Furthermore, the learners of a foreign language are suffering not small difficulties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ir mother language.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to make a typological comparison of the parts-of-speech system between Russian and Korean, and through this contrastive study we can guess what problems the Korean native speakers have in recognizing the syntactic and semantic structures of a Russian word(s). Language differs in the fundamental classification of their words: many languages even lack some or more parts of speech. It implies no one can assert that the concept of parts of speech necessarily exist universally in any language. It appears explicitly, in general, within the scope of Indo-European family of language as a specific grammatical category.

      • KCI등재

        원예치료가 노인요양원 치매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임흥수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15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알 아보기 위해 노인요양원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치매노인 16명을 대 상으로 통제군과 실험군으로 할당하여 실험 전과 후에 측정하였다. 측정도구로서 인지기능은 한국형 간이치매 사정도구(MMSE-K) 을 사용하였고, 일상생활수행능력은 한국판 수정 바델지수 (K-MBI)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원예치료 프로그램 전과 후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연구의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은 수집된 자료를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원예치료 프 로그램의 적용 전·후의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차이를 비교 하기 위해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고, 실험 전, 후 의 군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Mann-Whitney test를 사용하였다. 통 계학적 유의수준은 a=0.05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원예 활동을 활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 생활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노인요양원에 입소한 치매노인의 치료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percep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For the purpose, the study measured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targeting sixteen women with dementia who were living in nursery facilities. We used MMSE-K to analyse the perception, and evaluated activities of daily living using K-MBI.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sed with a use of SPSS 12.0. To compa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before and after the horticultural therapy, the study conducted a Wilcoxon Signed Rank Test.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test groups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a Mann0Whitney test was use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0.05.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p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elderly women with dementia and it is suggested that the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clinical interv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 KCI등재

        대학교직원의 자원봉사활동 생활화 방안 연구 - M대학교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임흥수,박송춘,고두갑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5 복지상담교육연구 Vol.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자원봉사활동 확산 추세와 지방화시대에 맞추어 농어촌지역에 위치해 있는 M대학 교직원의 자원봉사활동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M대학 자원봉사 프로그램 사례를 고찰하여 SWOT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대학교직원들의 자원봉사활동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 5가지의 대학 교직원 자원봉사활동의 생활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첫째, 자원봉사활동 경험의 폭을 넓히기 위하여 휴일이나 공휴일 외에 대학 교직원 자원봉사 휴가 제도 를 도입하는 등 공공부분에서도 업무와 연계한 자원봉사활동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 어야 한다. 둘째, 자원봉사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적절한 보상을 통하여 중도탈락을 방지하여야 하며, 참여형태가 다양해질 수 있도록 대학 교직원 자원봉사자들의 조직적 모임을 결성하여 지속적인 참여가 이 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셋째, 활동내용이나 참여분야를 다양화하기 위해서 전문직업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대학 교직원의 자원봉사활동의 수요처 개발과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인정 보상체계에 있어 ‘정 당하고 공평’하며 지나친 기대를 갖지 않게 한다는 원리를 적용하고 자원봉사자들이 진실로 원하는 보상이 무엇인지 암묵적 기대를 파악하여 개개인의 성향에 맞는 개별화된 인정 보상방법을 택하여 실시해야 한다. 다섯째, 저조한 자원봉사교육 실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교육 및 평가를 확대하고 자원봉사 교육대상인 대 학 교직원의 특성에 따라 전문화된 자원봉사교육 및 훈련과정이 개발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issues problems and state of voluntary activities of university which is located of the agriculture and fishery communities and investigate program cases of voluntary activities of M university and find solutions of these issues through analysis on SWOT and produce a study on the daily living plan of a volunteering service for the faculty in university, going with spreading trend of our country volunteering service and the age of localization. The daily living plan of voluntary activities of university faculty to present in this study is as 5 following solutions. The first, Institutionalized foundation to be able to accumulate a voluntary experience connected with business in a part of public shall be established to introduce a voluntary holiday system besides a holiday or public holidays for university faculty in order to extend of width of voluntary activities experience. The second, Middle dropout of voluntary activities shall do prevent through motivation and suitable compensat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shall do proceeded so that a participatory form can be various form through a organizing meeting of voluntary activities of university faculty. The third, A demand place development and a program development of the voluntary activities of university faculty contained professional vocational characteristic shall be developed so that action contents and participation field of voluntary activities are various. The fourth, It is executed the principle to do ‘right and fairness’ and to apply the principle that is not to have excessive expectation in recognition compensation system and it is executed to be choosed a singularized recognition compensation way to accord to an individual tendency and to grasp silent expectation what compensation of volunteer to want really. The fifth, Voluntary education and training process of university faculty shall be developed so that education and evaluation was e

      • KCI등재

        언어와 문화 메커니즘 - 로트만의 시학이론을 중심으로 -

        임흥수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09 동유럽발칸연구 Vol.22 No.1

        It is a common sense that it is impossible for a natural language to represent its essence itself because it is merely an agreed upon sign system. Words are not an object in of themselves so what they convey is hypothetical. We have come to believe that literature can overcome this limit of natural language because it uses a secondary modeling system based on natural language. The most important thing among the complicated mutual relations between a natural language or a primary language and a secondary language is the fact that the language of a secondary modeling system which is used in a literal context is fundamentally based on natural language. Furthermore, it is noticeable that language in a literal context is antinomic in that it can satisfy the condition of a natural language in which its meaning and expressions are the same, and at the same time, they are different. In the formation of culture, a language is not a passive element but a product of a dynamic process over several centuries. Linguistic models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degree we can understand each nation because a natural language is one of its dominant elements. It is clear that the language of a nation has an affect on the secondary modeling system and it is very important in interpreting its literature and especially its poetry. Lotman realizes the dynamics in culture through the function of antinomy as a mechanism of culture. Culture not only increases the capacity of structural variety, in other words, it not only overcomes automaticity, it also needs a structural unity. This paper surveys the characteristics of antinomy in the mechanism of cultur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a natural language, a primary modeling system and a poetic language, a secondary modeling system, defined by Lotman. If the system of semiotics is divided into two; a system pointed to primary information and another system pointed to secondary information. The artistic text in this paper is a prototypical case of a system pointed to secondary information. Culture as a whole is a simple yet complicated semiotics which needs to be understood in the tension of an antinomic structure. 자연언어가 약속된 기호체계에 불과하기 때문에 대상 그 자체 혹은 그 본질을 고스란히 대신할 수는 없다는 사실은 이제 상식에 속한다. 말은 사물 그 자체가 아니며, 그래서 말이 전달하는 내용 자체는 일종의 가상적인 것이다. 이러한 자연언어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문학은 자연언어를 토대로 생성되는 2차 모델링 체계(secondary modeling system)로서의 언어를 사용한다. 자연언어 또는 일차언어(primary language)와 이차언어(secondary language) 사이의 복잡한 상호관계 중에서 중요한 점은 문학텍스트에서 사용되는 2차 모델링 체계의 언어가 기본적으로 자연언어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는 사실이다. 또한 문학텍스트에서 사용되는 말은 그 내용과 표현이 조건적으로 같아야 하는 자연언어의 요건을 충족시키면서도, 동시에 같지 않아야 하는 이율배반적 속성을 지니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문화의 형성에 있어서 언어는 수동적인 구성 인자(dominant)가 아니다. 언어는 여러 세기에 걸친 문화적 과정의 산물이다. 이러한 자연언어는 각 민족 문화의 지배적인 인자의 하나이기 때문에 언어학적 모델은 각각의 민족이 갖는 인식 정도를 규정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민족 언어가 2차 모델링 체계에 미치는 영향은 분명하다. 문학, 특히 시에 있어서 민족의 언어는 특히 중요하다. 한편 문화는 구조적 다양성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다시 말해서 구조적 자동성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나타남과 동시에 구조적 통일성을 필요로 한다. 로트만은 인류의 문화에 나타나는 역동성을 이러한 문화 메커니즘의 이율배반적 기능으로 파악하고 있다. 본고는 로트만이 정의하는 1차 모델링 체계인 자연언어와 2차 모델링 체계인 시적언어와의 관계 조망을 통해서 문화 메커니즘의 이와 같은 이율배반적 특성을 선행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기호학적 체계를 두 가지 유형 즉 일차적 정보를 지향하는 체계와 이차적 정보를 지향하는 체계로 구분한다면,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예술텍스트는 이차적 정보를 지향하는 전형적인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단일하고 복잡한 기호학적 전체인 문화는 이율배반의 복잡한 관계에 놓여있는 이 두 가지 체계의 구조적 긴장 속에서 파악되어야 한다. 보다 본격적인 문화기호학 관련 이론과 이를 원용한 구체적인 문화 분석은 다음 논문의 과제로 남긴다.

      • 러시아어 용어체계에서 외래용어의 차용과 정리 문제

        임흥수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997 外國文化硏究 Vol.20 No.2

        현대 러시아어의 차용 및 차용어(외래어)에 관한 연구는 다른 분야에 비해서는 많지 않지만, 연구 범위 면에서는 각종 차용어의 종류별 연구, 차용어의 순화와 동화, 수용언어(외래어를 받아들이는 언어)의 체계에 미치는 차용어의 영향에 관한 연구 등 비교적 광범위한 편이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용어의 차용 과정은 일반 어휘의 차용 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실제로 대부분의 차용은 용어에서 발생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전반적인 차용에 관한 연구 문헌의 내용들을 용어의 차용에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할 수 있다.

      • KCI등재

        Accent layer in Phrase Prosody in Russian

        임흥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13 동유럽발칸연구 Vol.35 No.-

        본 논문의 목적은 운율구조의 복잡성(다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음성 자질과 의미 자질 사이의 대등한 관계를 규명하며, 상당 기간 동안 인정해오던 제한적인 억양 패턴에서 벗어나 운율단위 체계의 영역(개념)을 넓혀보기 위함이다. 또한 강세 음절에서는 물론 한 단어의 음절들 사이에서, 나아가 단어 모둠 안의 각 단어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복합적인 강세의 유연관계(isomorphism)에 대하여도 다룬다. 논문에서 억양의 주된 요소이자 운율 억양이 할당되는 기반인 구 악센트에 대해 기술한다. 악센트는 억양 운율, 구의 일반적인 음조굴곡(높이 변화의 방향) 그리고 역동적이고 일시적인 그 곡선 구조의 기반이 된다. 운율의 억양 할당은 강세 할당과 중첩되며 모든 강세 형성을 반영한다. 억양에서 두 개의 운율 할당(강세와 본래의 억양)이 밀접하게 작용한다. 강세 할당은 운율 억양이 축적되는 기반이다. 악센트는 발화시에 단어의 강세음절과 그와 인접한 음절을 운율적 수단(높이, 세기, 길이)에 의해서 분리하는 것이다. 양상적 가치와 감정적 의미를 전달할 때에 조음, 목소리의 질, 음색이 변화한다. 다양한 운율적 악센트의 형태는 억양에 의해서 전달되는 수많은 의미 그리고 그 조합의 가능성에 의해 결정된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show the complication of prosodic structure, to reveal coordinative connection between phonetic and semantic features, to enlarge the representation of the system of prosodic units in comparison with the limited number of intonation patterns preexisted for the long period of time and also to show the isomorphism of combination accents of stressed syllable and also between syllables inside the whole word and also between words within a group of words. In the article we describe phrase accent as the main elements of intonation which appears as the basis on which intonation prosodic level is laid on. Accent makes the base for the intonation prosody, for a phrase common tonal contour (direction of pitch change) and its dynamic and temporal construction. Intonation layer of prosody overlaps with accent layer and reflects all accent formation. In the intonation two layers of prosody interact closely with accent and intonation. Accent layer is the base layer, which is layered prosodic intonation. Accent marks off stressed (and it neighbor) syllables in the word, utterance, phrase, etc. by means of prosodic features. When a person conveys the modal values and emotional meanings, the articulation of accentuation and the quality of the voice, I.e., timbre are changed. Depending on the prosodic means, accents are defined as tonal, dynamic and quantitative. Tonal accent can be perceived the most easily. The variety of forms of prosodic accent is determined by the large number of meaning conveyed by intonation and by their possible combinations.

      • KCI등재후보

        부모의 아동학대 실태와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임흥수,박송춘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6 복지상담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학대의 실태를 파악하여 아동학대 유형은 어떠하며, 피학대경험 아동의 대처방식은 어떻게 하는가를 알아본 후에 이에 대한 대책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M시 초등학교 5․6학년 353명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설문조사는 2015년 10월 5일부터 2015년 10월 24일까지 20일 동안 실시되었으며, 통계처리는 통계 패키지(SPSS 12.0) 프로그램과 ANOVA 및 T-test 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부모에 의한 학대유형 중에 아동들이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는 학대는 방임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음으로 정서적 학대, 신체적 학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학대에 대한 대처방식은 “그냥 가만히 있거나 꾹 참는다.”의 무반응적 대처방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회피적 대처방식, 공격적 대처방식, 대인원망적 대처방식, 자기위안적 대처방식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아동학대를 예방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아동을 방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방과 후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해야한다. 둘째, 아동학대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모든 국민이 아동학대에 관해 인식하고, 이를 신고하는 것은 국민적 의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so that the it is to investigate actual conditions of child abuse and what type they are, what coping style they are, and is to suggest a countermeasure method. For this, we selected 6 elementary schools in M-city and distributed the questionnaires on 353 students of the 5th․6th grades, and withdrew it from them. The questionnaires periods of study was from October 5, to October 24, 2015, and In the statistic processing, it was used to draw out SPSS(12.0) PACKAGE, ANOVA and t-test.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the most child abuse was revealed the neglect among the child abuse experienced by parents, and emotional abuse, physical abuse displayed orderly in experiencing child abuse. The second, the coping style of non-reaction which do silence or endure was the most high coping style of all the coping style. The following, avoiding coping style, offensive coping style, personal grudge coping style, silf-comfortable coping style was displayed orderly in comparison with the all coping styles of child abuse.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sis, I suggest as follows to improve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The first, We must apply actively「the program after the class」 to protect from the neglect among the child abuse. The second, We must develop「a parent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child abuse in advance. The third, It is necessary that all nation must study actual knowledge of the child abuse, and it is necessary that complaint about a actual situation of child abuse is national obligation through knowledge conversion of 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