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커트러리의 기원과 분류에 대한 연구

        임효정(Lim, Hyo-Jung),고보형(Koh, Bo-Hy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07 조형디자인연구 Vol.10 No.2

        이 연구는 서양식 공간 연출의 기본 요소인 커트러리(cutlery)의 기원과 분류를 살펴보고 그것을 기반으로 하여 현재의 커트러리 디자인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려는 목적에서 출발 하였다.최근 ‘먹을 거리’가 문화의 아이콘으로 대두되고 있고 그와 함께 테이블 웨어도 변화하고 발전하였다. 이렇게 테이블 웨어가 관심을 받아오고 있는 반면 테이블 웨어와 같이 제시되어야 할커트러리는 디자인이 정리되지 않은 채로 잘못 사용 되어지고 있는 일이 허다하다. 커트러리의기원과 분류가 명확하게 이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커트러리를 현대의 문화에 적용 시켰기 때문이다. 그럼으로 본 연구는 커트러리의 이론적 배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본론의 첫 번째 주제를커트러리의 기원과 분류로 정하였다. 커트러리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 본 후 그것을 토대로 현대의 커트러리 디자인의 올바른 방향을 살펴볼 것이다. 커트러리의 기본적인 조건인 기능과, 테이블 셋팅의 아름다움을 완성 해 줄 미적인 조건이 모두 배합된 커트러리가 바로 커트러리 디자인의 올바른 방향 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국의 금속 공예가 데이비드 멜러(David Mellor)의 작품은 우리가 말하는 커트러리의 올바른 디자인의 견본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커트러리의이론적 배경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올바른 커트러리 디자인의 방향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져 좀 더 우리의 식사를 즐길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하는 바램이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origin and various forms and uses of cutlery, the basic element of creating Western dining atmosphere, and then presenting the direction of modern cutlery design. Western food is recently gaining popularity as a cultural icon. However, ordinary people are not well aware of appropriate use of cutlery. This is because cutlery is used without defining its origin, function and form. Therefore, this stud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theoretical background of cutlery and set the first section of the main of this thesis as the origin and categorization of cutlery. Based on that, the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cutlery through the example of a British metal craftsman, David Mellor’s works. It is only when cutlery is beautifully set on the table that the function of cutlery is considered complete. This is a good example of function can be determined by the form. It is hoped that the study helps people to have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utlery and to research new cutlery design.

      • KCI등재

        토플 읽기 영역 인지 타당도 검사 연구

        임효정 ( Lim Hyo J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6 외국어교육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토플 읽기 영역의 인지 타당도 검사를 위해서, 영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는 중국인 수험자들의 읽기 과정을 시선추적 기술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미국 중서부 대학에서 수학 중인 46명의 중국인 대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학생들은 시선추적 장치가 설치된 컴퓨터 화면으로 토플지문 한 개와 관련된 독해문제를 풀었다. 가상 독해시험 중, 수험자들의 시선 이동을 녹화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는 질적(열지도 및 시선이동 그림 분석) 그리고 양적(시선고정 지속시간)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몇 개의 문항에서 학생들은 문항개발자들이 의도한 인지과정을 거치지 않고 정답에 접근할 수 있었다. 단어의 의미를 문맥에서 추론하는 능력을 측정할 목적으로 개발된 어휘 문항의 경우, 절반 이상의 학생들이 글을 읽고 추론하는 과정 없이도 정답을 선택하였다. 또한, 속독능력을 측정한다는 토플 시험의 주장과 달리, 본 연구 실험자들은 정독 기술만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gnitive validity of the iBT TOEFL reading test by investigating Chinese learners` reading processes during the test. Forty six Chinese ESL learners in a large Midwestern university were asked to complete one computerized testlet from a TOEFL reading practice test on a computer screen. During the test, learners` eye-movements were recorded and analyzed both quantitatively (e.g. total fixation durations) and qualitatively (e.g. gaze plots, heat maps, and videos). Results showed that some of the test items failed to elicit the intended cognitive processes from test takers; participants did not always use inferencing reading skills to solve vocabulary items and often did not read a given text expeditiously. Further discussed are the value of cognitive validit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test validation.

      • KCI등재

        스테인레스 스틸 테이블웨어의 프레싱 기법 연구

        임효정(Lim, Hyo-Jung),추원교(Choo, Won-Gyo)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08 조형디자인연구 Vol.11 No.3

        스테인레스 스틸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테이블웨어 중에 가장 실용성 있는 재료다. 그리고 대부분의 스테인레스 스틸 테이블웨어는 프레스 기법을 통해 완성된다. 스테인레스 스틸을 위한프레스 기법은 외부에 의례되어 가공되어 지는데, 그만큼 디자이너들이 가지고 있는 기법의 이해가 중요하다. 기법의 이해가 있어야 실현 가능한 디자인, 기법을 활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할수 있기 때문이다.스테인레스 스틸 테이블웨어에 가장 많이 쓰이는 기법은 프레스 기법 중 드로잉 가공과 부풀림가공을 들 수 있다. 드로잉가공은 금형을 가지고 원통, 각통, 반구 등의 형상을 만드는 가공법이고 부풀림 가공법은 드로잉 가공된 원통을 기본으로 구의 형태를 만드는 가공법이다. 드로잉 가공과 부풀림 가공에는 드로잉력, 블랭크 크기, 드로잉율, 드로잉비, 재료의 두께 등이 알맞게 측정 되어져야 원하는 형상을 제작할 수 있다. 스테인레스 스틸 테이블웨어에 가장 자주 쓰이는가공방법이 프레스 기법이지만 모든 디자인에 다 적합하지는 않기 때문에 프레스 기법의 한계점도 알아두어야 한다.이 연구에서는 스테인레스 스틸 테이블웨어의 가공방법 중 프레스 기법의 드로잉 가공법과 부풀림 가공법을 집중적으로 다루지만 이 연구가 스테인레스 스틸의 다른 가공법의 연구를 위한 좋은 시작이 되었으면 한다. Stainless steel is the most practicable material among table wares, which are being used now. And, most of stainless-steel table wares are completed through the press technique. The press technique for stainless steel is entrusted to the outside, and is processed However, designers need to perform the design work with understanding about the technique, which will complete their design. That is because only when understanding technique leads to possibly doing the realizable design, and the design of being able to use technique. The technique, which is used the most in stainless-steel tableware, can be said to be drawing processing and bulging processing out of the press technique. The drawing processing is the processing method that makes the shape in cylinder, square tube, and dome with a mold. And, the bulging processing is the processing method that makes the shape of a globe by having the basis as the cylinder, which was performed the drawing processing. The desired shape in the drawing processing and the bulging processing can be manufactured only when being suitably measured the drawing force, blank size, drawing rate, drawing ratio, and the thickness of materials. However, it is not that all designs can be processed, thereby being very important to design with having knowledge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This study intensively addresses only the drawing and bulging processing method in the press technique, which is often used out of stainless-steel tablewares. However, this study is desired to be a good beginning for a research of other processing method in stainless-steel.

      • KCI등재후보

        가격 및 인지도가 화장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임효정 ( Hyo-jung Lim ),김주덕 ( Ju-duck Kim ) 대한화장품학회 2007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3 No.2

        본 논문은 가격과 인지도가 소비자의 화장품 평가에 실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주로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20 대에서 50 대 사이의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지에 대한 설명과 시제품에 대한 가격과 인지도 정보를 각각 다르게 제공한 후 일주일 이상의 사용 기간을 주고 설문을 회수하여 총 363 명의 응답을 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화장수, 로션에 대한 사용 평가는 인지도 변인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크림에 대한 사용평가에서는 '향'에 관한 질문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격 변인에 있어 화장수, 로션, 크림에 대한 평가는 가격이 매우 비싼 제품이라는 사전 정보를 받은 집단이 저가 제품이란 사전정보를 받은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 인지도와 가격 변화에 따라 집단 간 만족도를 비교해 본 결과 가격 정보나 인지도 정보가 어떻게 주어지는가에 따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장품의 효능평가에 있어서도 인지도와 가격에 모두 의미있게 작용한다. 효능평가에 있어서는 가격과 인지도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했는데, 두 변수의 결합효과가 효능지각에 대해 미치는 영향이 각각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비자 행동이나 의사결정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마케팅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price and brand name on the consumer's evaluation of cosmetics. 363 women from 20's to 50's living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were asked to use and describe the given samples of cosmetic products for one week with different information of price and brand nam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ssessment of the facial toner, moisturizer and cream does not show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renowned' and 'renownless'. Second, the assessment of the facial toner, moisturizer, and cream show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user groups which received the prior information whether the cosmetics are 'high price' or 'low price'. Third, the assessment of the users' satisfaction of the 3 kinds of cosmetic products mentioned above is influenced by 'renown' an 'price'. Finally, the interaction of the factor 'renown' and 'price' influences on the cosmetics' effectiveness significantly. From this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the evaluation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cosmetics were influenced by the price and brand names. This will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consumers' behavior and personal decision-making, which in be the key of marketing strategy.

      • 산욕초기 산욕부의 가정간호요구 내용분석

        경희(Lim Kyung Hee),효정(Koh Hyo Jung)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02 계명간호과학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home health care needs for postpartum women and neonates during the early postpartum period.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obtain data needed to develop postpartum home health care programs. The subjects were 20 mothers who delivered at a university hospital in D city, Korea from March 20, 2001 to December 21, 2001.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items related to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home care needs. The data was analysed by a SPSS/Win 10.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 Majority of subjects were aged 26~30 yrs(65.0%), had a religion(60.0%), below high school graduated(60.0%), jobless(70.0%), marriage satisfaction(75.0%), husband's cooperative attitude(60.0%). The mean score of age is 27.2+2.86 yrs. 2) The obstetric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 majority of subjects were primipara(90.0%), no abortion(75.0%), breast feeding(80.0%), below 5days of postpartum period(60.0%), the mother as assistant of postpartum health care(70.0%), male baby(50.0%). The mean score o neonatal body weight is 3134.5+408.0gm. 3)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contents and the degree of postpartum home health care needs of the subjects, the field of the sex with 3 items showed the most cumulative frequence. Especially contraception item is the most Engorgement item in the field of the breast management is the most weighted score. 4)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contents and the degree of neonatal home health care needs of the subjects, the field of feeding is the most cumulative frequencies. Especially the feeding method item and the eructation item in the field of feeding are the most Umbilical care item in the field of the umbilical management is the most weighted score.

      • KCI등재

        메이크업 교육이 자아에 미치는 영향

        임효정 ( Hyo Jung Lim ),소황옥 ( Hwang Oak Soh ) 한국미용학회 2011 한국미용학회지 Vol.17 No.6

        ``메이크업``이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여성들의 전유물로서 기본적인 메이크업 정도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여 비학문적 영역으로 인식되거나, 현장에서 일할 전문가가 될 학생들을 위한 전문대학 혹은 학원을 통한 기술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최근 미용관련 산업의 괄목할만한 성장으로 인해 학문으로서의 연구가능성과 그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일부 대학원에서도 미용관련전공의 석사 및 박사 과정이 생겨나는 등 교육적 환경과 기반 확립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메이크업 교육에 대한 수요는 급증하는데 반해, 메이크업 교육과 관련된 연구는 미미한 수준이며 대부분이 인구통계학적 자료를 위한 실태조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이크업 교육의 효과에 있어서 특히, 학생들 개개인의 자아에 미친 영향에 대해 초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교양선택 과목으로 메이크업 수업을 수강 신청한 여대생 1~4학년(20~27세) 62명 중 평가서를 제출한 55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메이크업 교육은 주1회 3시간씩 이루어졌으며 약 4개월간의 12회에 걸친 메이크업 교육이 시행되었고, 모든 교육이 끝난 후, 구조화된 평가서를 써서 인터넷 이메일을 통해 보내도록 요청하였다. 심층적 접근을 위한 FGI는 메이크업 교육 수강생 중 7명의 자원자를 대상으로 평가서의 결과를 토대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의 자기보고식 평가서의 질적 분석을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메이크업 행동은 개인의 외적매력 증대와 자기만족을 가져오고 적극적인 대인행동을 촉진시켜 의미 있는 타인으로부터 정적강화를 받게 한다. 또한 메이크업을 하는 동안 자기관찰시간이 증가하면서 자기수용 및 긍정적 태도를 갖는 기회가 되고 이 때 느끼는 개인의 긍정적 정서는 자신감을 고취시키고 자기애를 유발하며 긍정적 자아상의 형성에 기여한다. 이러한 메이크업 행동의 선순환적 기능으로 메이크업 교육이 개인의 자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매력적인 외모가 경쟁력으로 간주되는 현대사회에서 대학에서의 교양과목의 하나로 메이크업 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본 연구 결과에서 살펴보았듯이 학생 개개인의 자기고양욕구를 만족시키고 긍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라 할 수 있는 메이크업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Ivor-Lewis 식도절제술 후 상품형 말초정맥용 영양수액 사용 평가

        이선우 ( Sun Woo Lee ),나리 ( Na Ri Lim ),효정 ( Hyo Jung Park ),인용원 ( Yong Won In ),서정민 ( Jeong Meen Seo ),이영미 ( Young Mee Lee )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5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지 Vol.7 No.3

        Purpose: Deteriorated nutritional status is common during a hospital stay for esophagectomy in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Malnutrition in those patients is often marked compared with other gastrointestinal canc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commercial peripheral parenteral nutrition (CPPN) use in patients who underwent Ivor-Lewis esophagectomy (I-L op). Methods: Patients who were provided with CPPN after I-L op were enrolled in this study from January to May 2015. Body weight, height, nutritional status, length of hospital stay, duration of CPPN therapy, and parenteral nutrition (PN) induced complications were assessed, respectively, using electronic medical records. Results: Thirty-nine patients were enrolled. Average age was 65.9 years and 36 patients were male. All patients were provided with the same CPPN. The duration of fasting and CPPN use was 5.8±1.4 days and 7.5±1.8 days, respectively. Calorie supported by CPPN was 22.6±3.5 kcal/kg/day and only 20.5% of patients (n=8) reached the daily target calories. Most frequent PN induced complication was phlebitis which occurred in 8 patients (20.5%). Calcium, magnesium, and transthyretin levels in serum were not monitored during the PN support period. Conclusion: The indications for CPPN were appropriate because the fasting duration in patients with I-L op was 5 to 10 days. Although a large portion of patients could not be supplied daily target calories, their nutrition status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on admission and at discharge. We did not find it necessary to individualize PN support for a short period after an I-L op in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determine why the incidence of phlebitis was dominant.

      • KCI등재후보

        산모의 신생아 간호에 관한 교육요구도 조사

        심규숙 ( Kyu Sug Sim ),효정 ( Hyo Jung Kho ),경희 ( Kyung Hee Lim ) 한국모자보건학회 2002 한국모자보건학회지 Vol.6 No.2

        본 연구는 신생아 퇴원시와 퇴원 한 달 후 산모의 간호교육요구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고 비교해 봄으로써 앞으로 신생아 퇴원 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비교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D시에 위치한 Y대학병원과 J산부인과 병원의 분만실에서 정상분만 또는 제왕절개 수술로 분만한 20세에서 40세까지의 건강한 산모 9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중 설명내용 누락, 불응답, 주소불명과 수취인 불명으로 탈락한 경우를 제외한 71명의 설문내용을 자료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은 퇴원시와 퇴원 한 달 후 산모의 신생아 간호교육요구도를 알아보기 위해 최선정(2000)이 개발한 간호교육요구도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를 구하였고 0.92로 나타났다. 자료수집기간은 2001년 2월 7일부터 4월 10일까지였으며, 신생아 퇴원시 1차 설문은 자가 보고식으로 하고 퇴원 한 달 후 2차 설문은 우편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산모의 신생아 간호교육요구도 평균 평점은 퇴원시 3.19 0.33, 퇴원 한 달 후에 2.90 0.3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5.808, p=0.000). 2. 퇴원시와 퇴원 한 달 후 산모의 각 영역별 신생아 간호교육요구도 차이를 검정한 결과, 퇴원시와 퇴원 한 달 후 통계적으로 의한 차이를 나타낸 영역으로는 신생아 돌보기 (t=7.014, p=0.000), 섭식 (t=3.106, p=0.003), 질병관리(t=3.124, p=0.003), 부모·자녀관계(t=2.656, p=0.010), 환경영역(t=3.961, p=0.000)으로 나타났으며, 이상행동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퇴원시 산모의 간호교육요구도는 퇴원 한 달 후 간호교육요구도보다 높게 나타났고, 이상행동영역은 두 시기 모두 간호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퇴원시와 퇴원 한 달 후 간호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았던 영역은 이상행동 영역이었으며, 가장 낮았던 영역은 환경문제 영역으로 나타났다. 3. 신생아 퇴원시와 퇴원 한 달 후 산모의 문항별 간호교육 요구도 차이는 37문항 중 18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퇴원 한 달 후보다 퇴원시 산모의 간호교육요구도가 높은 문항은 신생아 돌보기 9문항, 환경문제 4문항, 질병관리 3문항, 섭식 2문항, 부모·자녀관계 1문항으로 각각 나타났다. 4. 퇴원시 산모의 간호교육요구도 순위가 가장 높은 군항들은 호흡이 불규칙한 것, 경련을 일으킬 때의 대처, 아기가 어느 정도 먹어야 배부르며, 그만 먹고 싶어하는 신호는, 계속 토할 때, 대변도 안 보고 배가 점점 불러올 때 순이었다. 퇴원 한 달 후 산모의 간호교육요구도 순위가 높은 문항은 퇴원시의 순위가 유사하였으며, 퇴원시에는 높았는데, 퇴원 한 달 후에 간호교육요구도가 순위로 크게 낮아진 문항은 배꼽 관리, 아기가 균에 감염되지 않으려면, 황달 관리로 나타났다. 이상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산모의 신생아 간호교육 요구도에서 퇴원시가 퇴원 한 달 후보다 간호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나 산모 퇴원시 신생아 간호교육의 중요성이 시사된다. 그러나 신생아 퇴원시에 간호교육요구도 순위가 높은 이상행동, 질병관리영역은 여전히 4주 후에도 높게 나타나, 산모의 퇴원 교육시 이상행동, 질병관리영역에 대한 간호교육이 중심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근거로 임상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신생아 간호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여 그 효과를 측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퇴원 한 달 후부터 생후 1년까지 산모의 신생아 간호교육요구도 변화 양상에 대한 시기별 조사도 실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전체 신생아기 동안 요구되어지는 신생아 간호교육프로그램도 차후 연구를 통해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mothers' nursing educational needs at the time of discharge from those of 1 month later discharge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fant care educational programs. Methods : The subjects were consisted of 71 infant mothers who could be followed 1 month later. They were selected from a general hospital and an obstetric hospital in Daegu City. The tool used in this study was educational need scale developed by Seon-jeong Choe and it was modified by the research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7 to April 10, 2001. The first survey was done face to face interview at the time of discharge and the second one was done by mail. The data were analysed by descriptive statistics, mean, std deviation, paired t-test with SPSS 10.0.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ings; 1. The educational needs of mothers were higher at the time of discharge(3.19) than 1 month later(2.90) (t=5.808, p=0.000). 2. In each category and item, we could see the differences as following; infant care (t=7.014, p=0.000), feeding (t=3.106, p=0.003), disorder management (t=3.124, p=0.003), attachment between parents and infant(t=2.656, p=0.010), environment(t=3.961, p=0.000). As the above data show, the nursing educational needs were higher at discharge than 1 month later after discharge. However, in the unusual behavior category, the educational needs were high both at the time of discharge and 1 month later. The category showing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was unusual behavior part and the lowest was environment. 3. In the 18 questions among 37, some differences were observed. The questions which the mothers at the time they were discharged show the higher educational needs. 4. The questions showing the higher nursing educational needs were listed as the following (in order of high nursing educational needs) ; "What can we do when infant has a breathing disorder", "What can we do when infant has a seizure", "What is the signal whin infant doesn't want to eat any more", "What can we do when infant vomits continually", "What can we do when infant doesn't defecate and the belly is going bigger and bigger". To the mothers 1 month later, the questions showing the higher educational needs were almost same as those of the mothers at the time of discharge. Conclusions : The nursing educational needs of the mothers at the time of discharg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mothers 1 month later. This means that the infant care programs at the time of discharge is very important. And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needs between the 2 types of time, but the disorder management and unusual behavior categories are showing high educational needs at the both time. So we need to let the mothers know about after 1 month educational programs when they take some programs at the time of discharge. This study might give some re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fant care programs.

      • Conditional Random Fields를 이용한 세부 분류 개체명 인식

        이창기(Changki Lee),황이규(Yi-Gyu Hwang),효정(Hyo-Jung Oh),수종(Soojong Lim),허정(Jeong Heo),이충희(Chung-Hee Lee),김현진(Hyeon-Jin Kim),왕지현(Ji-Hyun Wang),장명길(Myung-Gil Jang)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2006 No.10

        질의응답 시스템은 사용자 질의에 해당하는 정답을 찾기 위해서 세부 분류된 개체명을 사용한다. 이러한 세부 분류 개체명 인식을 위해서 대부분의 시스템이 일반 대분류 개체명인식 후에 사전 등을 이용하여 세부 분류로 나누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질의응답 시스템을 위한 세부 분류 개체명 인식을 위해서 Conditional Random Fields를 이용한다. 개체명 인식의 과정을 개체명 경계 인식과 경계가 인식된 개체명의 클래스 분류의 두 단계로 나누어, 개체명 경계 인색에 Conditional Random Fields를 이용하고, 경계 인식된 개체명의 클래스 분류에는 Maximum Entropy를 이용한다. 실험결과 147개의 세부분류 개체명 인식에 대해서 정확도 85.8%, 재현률 81.1%, F1=83.4의 성능을 얻었고, baseline model 보다 학습 시간이 27%로 줄고 성능은 증가하였다. 또한 제안된 세부 분류 개체명 인식기를 이용하여 질의응답 시스템에 적용한 결과 26%의 성능향상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