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고등학생들과 대학생들의 음악적 정체성 비교

        임혜숙 한국음악교육학회 2022 음악교육연구 Vol.51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과 대학생들의 음악적 자아 개념을 측정하고 두 그룹간의 음악적 정체성 비교하여 음악적 정체성 발달과정을 이해함으로써, 자기정체성 확립을 위해 음악교육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그룹 모두 기분 조절의 비학문적 측면에서 음악적 자아 개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은 음악적 능력과 같이 음악 안에서의 자아 개념이 높았고, 고등학생들은 공동체 에서 사회적 정체성을 찾기 위해 음악적 자아를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두 그룹 모두 움직임과 춤과 같은 신체적 측면에 대한 음악적 자아 개념은 낮게 나타났다. 넷째, 고등학생들이 대학생들 보다 적응하는 음악적 자아에서 높게 나타나 청소년기에 음악적 정체성도 변화를 겪고 성인으로 성장하며 성숙해 나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소외계층 영재들에대한 교육복지정책 분석

        임혜숙,송노원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10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7 No.1

        우리나라는 2002년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 시행되었으나 소외되는 대상 들이 있었으며 그들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미미한 상태로 첫 5년을 보냈고, 도약의 시기인 현재에는 소외계층을 위한 영재교육 지원방향이 제시되어 일부에서 적은 수의 대상자들에게 제한적으로 실시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다 보니 아직 교육복지의 정책적 기반이 미흡한 상태에서 대상자를 선발하고 실시하는 로드맵이 구체적이고 현실적이지 못한 한계점을 가질 수밖에 없 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외계층영재를 위한 정책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하여 시 범운영 중인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교육복지정책을 분석해보고 소외계층영 재가 더 이상 기회의 평등, 출발점의 평등, 결과의 평등이라는 교육복지의 취지에서 또다시 소외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대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협력학습을 통한 자기조절학습이 연주불안에 미치는 영향

        임혜숙 한국음악교육학회 2019 음악교육연구 Vol.4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on music performance anxiety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For this purpose, 25 students at A middle school in Gyeonggi-do were attended in the instrumental ensemble class at the free semester in 2017, and it was examined that how the level of music performance anxiety was changed as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mproved.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it was examined that how the improved score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as correlated with the improved scores of music performance anx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test analysis of pretest and posttest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music performance anxiety level shows that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the instrumental ensembles affects the improvement of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y. Also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the degree of music performance anxiety was increased during the instrumental ensemble learning.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the level of music performance anxiety. This indicates that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in instrumental ensembles affects the level of music performance anxie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regulated learning is effective in overcoming music performance anxiety, although performance anxiety can be appeared by comparing with other people through instrumental ensembles. A more specific conclusion can be obtained if a empirical study follows on whether self-efficacy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has a effect on music performance anxiety.

      • 초등학교 음악수업 그룹과제(컵타) 수행과정에서 인지적·사회적 상호작용과 학습전략 연구

        임혜숙 한국음악교육학회 2016 학술세미나 및 연수회 Vol.2016 No.-

        효과적인 성취를 이루기 위해 인지능력과 더불어 동기, 목표, 학습전략 등의 비인지능력도 매우중요하다. 학교교육에서 협력학습(collaborative learning)은 인지능력과 더불어 자기인식, 소속감 등의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사회성과 비인지능력 발달에 효과적인 학습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음악수업 그룹과제(컵타) 수행과정에서 드러나는 학습전략과 구성원 간 인지적·사회적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는 2016년 5월 경기도 A 사립초등학교 5학년 48명의 학생들(여학생=23명, 남학생=25명)을 대상으로 4명씩 한 그룹이 되어 컵타 연주 발표 연습하는 과정을 사례연구 하였다. 연구문제는 (1) 초등학교 음악수업 그룹과제 수행에서 학생들의 사회적 관계와 결과물은 어떤 관계인가? (2) 학생들은 그룹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어떻게 전략을 사용하는가? (3) 음악수업에서 그룹과제가 개인의 인지와 비인지능력 발달에 영향을 주는가? (4) 협력학습을 통한 연습이 효과적인가? 이다. 연구방법은 5단계 척도의 Collaborative Learning Questionnaire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한 결과 그룹과제 수행과정에서 개인의 인지를 비롯하여 사회적 안정감, 사회적 화합, 자기효능감, 학습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 형성에 친구들 간 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받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4팀을 선별하여 개별 면담을 실시한 결과 목표달성을 위해 학습전략을 사용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는데,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 기법으로 분석한 결과 6개의 항목: (1) 역할분담 (2) 과제인식 (3) 모델링 (4) 암기 (5) 평가 및 수정 (6) 음악적 가치관형성, 과정으로 범주화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인들의 리듬감 발달이 이루어지고 성공적인 그룹연주로 이어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This study presents the investigation of how teams of elementary students (Grade5) in collaborative learning build mutually shared cognition and social competency during “Cup-ta” performance practice in small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the cognitive and social interaction during group practice by collaborative learning. Also Sixteen children in focus groups were chosen to interview for closer observation and to find out the strategy expressed in collaborative practice for the successful final performance. Results showed that cognitive and social interaction formed mutually shared cognition and social competency, resulting in higher perceived team performance. Also it was found that the strategy, which children expressed in collaborative practice, could be categorized into 6 elements: (1) Role assignment (2) Task recognition (3) Modeling (4) Memorization (5) Evaluation and Adjustment (6) Formation of musical values.

      • KCI등재

        세계 음악의 인식조사와 교과서 내용분석을 통한 다문화 교육의 성찰: 초등학생과 예비교사를 중심으로

        임혜숙 세계음악학회 2020 음악과 문화 Vol.0 No.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world music as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for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alyze the learning contents of world music in the 5th and 6th grade music textbooks, and find out i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s being carried out effectively and desirable direction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cognized that singing a fork songs from different country was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various countries. However, 30 perc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negatively perceived on understanding other countries through music. Second,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mainly introduced folk songs to learn world music. The countries introduced in the textbooks are varied, but the number of songs, which represent of the countries, were very little. Third, the major learning activities of each music textbooks were singing in the original language, however, activities were organized to understand the music and culture of other countries by singing along with body expression, traditional play, and instrumental accompaniment. The contents were organized to familiarize by singing with unfamiliar culture and to understand the music and characteristics of other cultures through appreciation, so that students effectively learn other countries's music and culture through various music activities through appropriate steps. Fourth, as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dicated that the activities of singing songs from other countries, especially folk songs reflecting the country's emotions, have been found to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culture of other countries. In other words, although elementary music textbooks mainly introduce folk songs, such learning contents are beneficial to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so collection and research on folk songs of various countries should be conducted. Fifth, various countries are introduced in music textbooks, however, the activities to understand the music of different countries were mostly similar, such as 'singing in native language', 'singing with body expressions’. To carry out bette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programs are needed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ethnomusicologists and music educators.

      • 교회사회복지 프로그램에 「영재교육전문가 양성과정」적용의 제안

        임혜숙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08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사회복지실천을 하고 있는 교회들이 얼마나 전문성을 갖추고 지역사회복지 실천현장의 다양성 욕구와 질적 욕구를 충족하고 있는지를 연구하기 위하여 교회사회복지 프로그램을 탐색하였다. 교회사회복지 프로그램은 각 교회의 홈페이지를 분석하였으며 여기서 교회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전문성이 결여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문제의 해결을 위해 개교회 차원을 넘어서 교단 내지는 지역사회교회의 연합활동으로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교회사회복지 실천 활동이 전개되어야한다. 실천 활동의 일환으로 교육과학기술부의 ‘방과후학교’의 운영지침에서 교육대상, 운영관리사례를 중심으로 종합사회복지관의 방과후 교육 프로그램, 교회의 방과후 교육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행정적 차원에서 지원하고 연계할 방안을 모색하여 지역사회 주민이기도한 교인들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며, 지역사회복지를 실천할 수 있는 「영재교육 전문가 양성과정」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