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 및 기상인자에 따른 국내 6개 지역의 루브라참나무 초기 생장 특성

        황환수,김태림,오창영,임혜민,이일환,Hwang, Hwan Su,Kim, Tae Lim,Oh, Changyoung,Lim, Hyemin,Lee, Il Hwan 한국산림과학회 2022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1 No.3

        본 연구는 미국의 미시간주 산지로부터 도입한 종자를 이용하여 국내 6개 지역에서의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 및 기상인자에 따른 루브라참나무 초기 생장 특성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지는 화성, 양평, 평창, 삼척, 충주, 김제이며 2014년에 루브라참나무 묘목(1-0묘)은 3,000본 ha<sup>-1</sup> 밀도로 식재되었다. 2021년도에 조사된 6개 지역 8년생 루브라참나무의 평균 수고, 근원경 및 재적생장은 각각 3.52 m, 3.84 cm, 0.0023 m<sup>3</sup>로 나타났다. 조사된 국내 6개 지역 중에서 경기도 화성시에 식재된 루브라참나무의 생장이 가장 우수하며 강원도 평창군의 생장이 가장 저조하였다. 토양특성 조사에서 조림지 토양 내 모래의 비율은 21.4~64.1%, 미사는 24.9~61.1%, 점토는 9.7~21.2%로 확인되었으며, pH는 전체적으로 4.15~4.80의 범위로 약산성을 나타내었다. 지역별로는 화성이 4.15로 가장 낮았고 삼척 지역이 4.80으로 가장 높았다. 조림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기상인자와 생장 특성과의 상관분석을 진행한 결과, 토양인자들 중 pH는 근원경과 부의 상관을 나타냈으며 다른 토양인자들은 생장특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일 최고기온과 3~10월의 평균온도 등의 기상인자는 생장특성과 강한 정의 상관을 나타냈으며, 해발고와 지형, 3~10월의 강우 일수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특히 화성지역은 가장 높은 일 최고온도와 3~10월의 평균온도, 낮은 고도와 산록에 가까운 지형으로 인해 가장 우수한 초기생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장이 가장 저조했던 평창의 경우 높은 고도와 낮은 일 최저기온 등으로 인한 겨울철 동해 피해와 야생동물에 의한 수목 피해가 생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성분 분석에서는 제 3 주성분까지 84.7%의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생장특성인 근원경 및 재적과 생장이 가장 우수했던 화성지역이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종합적으로 국내 6개 지역 중에서 화성 지역의 루브라참나무 초기 생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림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보다는 온도나 고도와 같은 기상과 관련된 인자가 생장특성과 상관관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루브라참나무 국내 조림 적지 판정 및 환경 특성에 따른 초기생장 특성 예측에 필요한 유용한 정보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We investigated the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of Quercus rubra planted in six regions (Hwaseong, Yangpyeong, Pyeongchang, Samcheok, Chungju, and Gimje) in South Korea in relation to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eteorological factors. Q. rubra (1-0) were planted at a density of 3,000 trees ha<sup>-1</sup>. The average height, root collar diameter (RCD), and volume of 8-year-old Q. rubra planted in 2014 were 3.52 m, 3.84 cm, and 0.0023 m<sup>3</sup>, respectively. The growth parameters of Q. rubra were the highest and lowest in Hwaseong and Pyeongchang, respectively.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meteorological factors, and plantation growth characteristics found that pH was the only soil factor negatively correlated with RCD, and the other soil factor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growth characteristics. However, growth characteristic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average temperature from March to October and daily maximum temperature; and they were negatively correlated to altitude, topology, and the number of rainy days from March to October. In particular, the trees planted in Hwaseong area showed the best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because this area had the highest daily maximum temperature, the x average temperature from March to October, the low altitude, and it is located close to the foot of a mountain. In Pyeongchang, the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were negatively affected by winter cold damage because of the high altitude, low daily minimum temperature, and damage by wild animals. In Hwaseong, meteorologic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altitude were more highly correlated to growth characteristics of Q. rubra than the physicochemical soil properties. These results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determining suitable sites for Q. rubra plantations and for predicting early growth characteristics in response to environmental factors.

      • 개똥쑥 추출물에 대한 채소류의 발아와 생육에 미치는 영향

        구명화 ( Myounghwa Ku ),박병준 ( Byongjun Park ),성진 ( Sungjin Lim ),최근형 ( Geunhyoung Choi ),혜민 ( Hyemin Oh ),오영탁 ( Youngtak Oh ) 한국환경농학회 2017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7 No.-

        소비자가 선호하는 크기와 품질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농작물의 경우 숙기조절 기술을 통해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생장조절제에 대한 농가의 수요증가로 천연물 유래 allelochemical을 중심으로 한 작물생육조절 물질개발의 연구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똥쑥 주정 추출 물의 배추, 고추 및 상추 종자의 발아 및 육묘단계에서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육묘단 계의 생육실험에서는 각각의 작물에 개똥쑥 주정추출물을 0.1, 0.5, 1, 3, 5 및 10% 수준으로 처리 한 결과 모든 작물에서 0.1 및 0.5%의 수준에서 생육이 촉진되었으나 1% 이상의 처리구에서는 농도증가에 비례하여 생육이 억제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육묘단계 생육조절실험에서 각 작물의 엽수는 대조구와 현저한 차이가 없었으나 건물중, 엽장, 엽폭, 근장 및 초장이 현저히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개똥쑥 주정추출물의 상추, 배추 및 고추 종자의 발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petri dish에 개똥쑥 주정추출물을 0.1, 0.5, 1, 3, 5% 농도로 각각의 종자를 25립씩 치상하여 실험 결과 상추는 3% 이상 처리수준에서 발아가 완전히 억제되었고, 배추는 1% 처리수준에서는 14%, 3% 처리수준에서는 91%, 5% 처리수준에서는 완전히 발아억제가 되었다. 고추는 0.5%와 1% 처리 수준에서는 13%, 3% 처리수준에서는 30%, 5% 처리수준에서는 완전히 발아억제가 되었다. 세 작물 모두 개똥쑥 추출물을 3% 처리수준부터 발아가 현저히 저해되었고, 5% 이상의 처리수준에서는 발아가 완전히 억제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 KCI등재

        최근 12년간 아까시나무 만개일의 변화와 과정기반모형을 활용한 지역별 만개일 예측

        김수경 ( Sukyung Kim ),김태경 ( Tae Kyung Kim ),윤석희 ( Sukhee Yoon ),장근창 ( Keunchang Jang ),임혜민 ( Hyemin Lim ),이위영 ( Wi Young Lee ),원명수 ( Myoungsoo Won ),종환 ( Jong-hwan Lim ),김현석 ( Hyun Seok Kim ) 한국산림과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3

        최근 급격한 봄철 기온 상승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한반도에 분포하고 있는 아까시나무의 개화 시기가 변화하면서 지역간에 동시 개화 현상(simultaneous blooming)이 관측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국내 양봉 산업에 큰 변화를 초래하였고, 이로 인해 정확도 높은 아까시나무 개화시기 정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아까시나무의 지역별 개화 시기 변화를 잘 설명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개화 시기 예측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난 12년(2006~2017년)간 전국 26개 지점에서 관측된 아까시나무 만개일 자료와 과거 일기온 복원 자료를 활용하여 봄철 기온 및 아까시나무 만개일 변화의 경향성을 권역별로 파악하고, 과정기반모형을 활용하여 지역 통합 모형(SM)과 함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는 세 모형-SM에 지점별 보정계수를 도입한 수정 통합 모형(MSM), 권역별로 모수를 추정하는 권역별 통합 모형(GM), 관측 지점별로 모수를 추정하는 지역 모형(LM)-을 도출, 성능을 비교하였다. 기온 및 만개일의 경향 분석 결과, 남부 지역에 비해 봄철 기온 상승률이 2배 이상 높았던 중북부 내륙 지역의 경우 만개일이 빠른 속도로 앞당겨져, 결과적으로 남서부 해안 지역과의 만개일 차이는 1년에 0.7098일씩 감소하였다(p-value=0.0417). 전체 지역에 대한 모형의 성능 비교결과, 지역 특이성이 반영되지 않은 SM에 비해서 MSM은 24% 이상, LM은 15% 이상 감소한 RMSE 값을 나타냈다. 또한 LM과 MSM의 예측 알고리즘을 전국 범위로 확대하여 4년 간(2014~2017년) 16개의 추가 관측 지점을 대상으로 검증한 결과, LM에 코크리깅(Co-kriging)기법을 적용한 방법이 보정계수 전국 분포도를 추정하여 SM을 보정하는 방법보다 예측력이 더 뛰어났으며, 오차의 분포는 두 모형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RMSE: p-value=0.0118, Bias: p-value=0.0471). 본 연구는 아까시나무의 개화 시기 예측에 있어 지역 단위 예측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모형을 넓은 지역 범위로 확대,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Due to climate change and its consequential spring temperature rise, flowering time of Robinia pseudoacacia has advanced and a simultaneous blooming phenomenon occurred in different regions in South Korea. These changes in flowering time became a major crisis in the domestic beekeeping industry and the demand for accurate prediction of flowering time for R. pseudoacacia is increasing.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d compared performance of four different models predicting flowering time of R. pseudoacacia for the entire country: a Single Model for the country (SM), Modified Single Model (MSM) using correction factors derived from SM, Group Model (GM) estimating parameters for each region, and Local Model (LM) estimating parameters for each site. To achieve this goal, the bloom date data observed at 26 points across the country for the past 12 years (2006-2017) and daily temperature data were used. As a result, bloom dates for the north central region, where spring temperature increase was more than two-fold higher than southern regions, have advanced and the differences compared with the southwest region decreased by 0.7098 days per year (p-value=0.0417). Model comparisons showed MSM and LM performed better than the other models, as shown by 24% and 15% lower RMSE than SM, respectively. Furthermore, validation with 16 additional sites for 4 years revealed co-krigging of LM showed better performance than expansion of MSM for the entire nation (RMSE: p-value=0.0118, Bias: p-value=0.0471). This study improved predictions of bloom dates for R. pseudoacacia and proposed methods for reliable expansion to the entire 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