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본과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비교

        임해미,김부미 대한수학교육학회 2014 학교수학 Vol.16 No.2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 National Achievement Test of Japan that advanced by leaps and bounds in PISA 2012. As compared with Korea, Japan shows similar trends in the affective domain and the cognitive domain of international achievement test. To put it concretely, this research compared and analyzed the mathematics contents domain of the 2009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and the 2008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of Japan being appli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many aspects including overall of Japanese mathematics education system, the contents to be covered in each grade, and the methods of essential learning themes. We compared the mathematics contents dealt with each country based on the framework of analysis such as <Table Ⅲ-1>. Also, this research compared and analyzed overview of evaluation system, assessment frame, item characteristic, type of item of NAEA, NAT, and PISA. The results show the introduction time, the degree of deepening themes handled in each country, common themes and topics were very similar between Korea and Japan. But content area of ​​Japan and Korea have been highlighted in the curriculum of middle school and elementary school in each are different. We know that Test B of NAT also emphasized the use of mathematical knowledge. Form the results, we obtained th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the next our curriculum. In addition, this results suggests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본 연구에서는 최근 PISA에서 약진하고 있는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과 전국학력학습상황조사의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통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일본의 수학교육 개관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을 제 8차 학습지도요령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이를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과 비교하였다. 셋째, 일본의 전국학력학습상황조사의 개요, 특징, 문항 특성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 및 PISA 수학 평가와 비교하였다. 일본과 우리나라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영역에 차이가 있으며, 전국학력학습상황조사에서 일본은 수학적 지식의 활용을 강조하는 B형 테스트를 시행하고 있다. 일본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역량인 수학적 사고력·판단력·표현력이 학교 수학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학년간 내용 편제의 차이, 전국학력학습상황조사의 다원화된 평가틀 등은 현재 교육과정을 개정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 개발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체제 및 문항 개발에서 참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OECD PISA의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대응 방안

        임해미 한국수학교육학회 2013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3 No.1

        PISA는 OECD가 주관하는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로서 첫 주기인 PISA 2000부터 3년을 주기로 만 15세 학생들의 읽기, 수학, 과학 소양을 평가하고 추이 변화를 조사하여, 참여국의 교육 체제의 질과 성과를 점검하기 위한 교육 지표를 산출하고 있다. 세 번째 주기인 PISA 2006부터는 선택 영역으로 컴퓨터 기반 평가를 도입했으며, PISA 2015부터는 전 영역 컴퓨터 기반 평가를 시행할 예정이다. 수학은 PISA 2003에 이어 PISA 2012에 다시 주영역 평가가 시행되었으며, PISA 2012에는 지필평가 뿐만 아니라 컴퓨터 기반 수학 평가인 CBAM도 함께 시행되어 학생들의 다양한 소양과 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 과정 등을 평가한 바 있다. 본 발표에서는 최근 시대적, 세계적 요구를 반영한 OECD PISA의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대응방안을 PISA 수학 평가틀 및 시행 방식의 변화, PISA 결과 및 추이변화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고자 한다.

      • PISA 2012 컴퓨터 기반 문제해결력 평가틀과 공개문항

        임해미 한국수학교육학회 2012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2 No.2

        OECD PISA는 읽기, 수학, 과학에 대해 주기별로 주영역을 설정하여 해당 영역의 소양을 심층적으로 평가해왔으며, 특히 수학이 주영역인 주기에는 문제해결력도 함께 평가하고 있다. 문제해결력 평가는 수학이 주영역이었던 PISA2003에 지필 평가로 실시되었고, 다시 수학이 주영역인 PISA 2012에는 컴퓨터 기반 평가로 시행되었다. 최근 OECD국제 본부는 문제해결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문제해결력 평가를 매 주기마다 실시하기로 결정하였으며, 특히 PISA2015에는 협력적 문제해결력 평가를 컴퓨터 기반 평가로 시행할 예정이다. 본 발표에서는 PISA 2012에 새롭게 도입된 CBAPS의 평가틀과 공개문항을 통해 문제해결력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기대가 수학 학습 동기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임해미 대한수학교육학회 2016 수학교육학연구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PISA 학부모 설문의 수학과 관련한 설문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기대가 학생의 수학 학습 동기와 성취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때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기대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ESCS와 자녀의 성별은 통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수학에 대한 태도는 부모의 수학에 대한 학업적ㆍ직업적 기대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부모의 기대는 자녀의 내적 동기, 도구적 동기, 수학 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구조적 관계를 발견하였다. 즉, 부모가 수학의 유용성과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은 자녀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수학 점수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며, 진로를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투입 변수 중 우리나라 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직접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준 변수는 도구적 동기였으며, 그 다음은 내적 동기, 부모의 수학에 대한 기대의 순이었다. 이 결과는 수학 성취에 대해 부모의 영향이 있다하더라도 학생 스스로가 가진 동기를 넘어서지 않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attitudes and expectations toward mathematics, mathematics motivation and achievement of their child in PISA 2012 of South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had positive effects on parent academic and professional expectations in mathematics. Second, parental expectations also had positive effects on intrinsic motivation, instrumental motivation and math achievement for their child. Third, instrumental motivation had strongest effects on math achievement. The next factors which had effects on math achievement were intrinsic motivation and parental expectations in order. This results shows that the parental awareness of the usefulness and necessity of mathematics will help to increase the interest and value toward mathematics, math achievement and interest of math related carriers of their child.

      • KCI등재
      • KCI등재

        Van Hiele 기하 학습 수준 이론에 따른 LEGO 마인드스톰 활동 수준 분석

        임해미,최인선 한국학교수학회 2019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Vol.22 No.3

        로봇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표하는 테크놀로지로, 미래를 살아갈 학생들은 로봇을 유연하게 다룰 수 있는 역량을 갖출 필요가 있다. 따라서 로봇을 학교 수업에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교수학적 연구가 요구되며, 특히 로봇을 활용한 문제해결에서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수학에 초점을 두어 로봇을 활용한 수업을 어떻게 설계하고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 연구로, 로봇 활동의 수준을 정의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의 학습 수준에 대한 대표적 연구인 Van Hiele의 기하 학습 수준 이론을 시작점으로 설정했으며, LEGO 마인드스톰 활동 수준을 설정하기 위한 매개로 LOGO를 선택하였다. Olson et al.(1987)의 연구에서는 Van Hiele의 기하 학습 수준에 대응하는 LOGO 활동 수준을 정의했는데, 본 연구에서는 LOGO와 LEGO 프로그래밍의 태생적인 유사점에 주목하여 Van Hiele의 기하 학습 수준에 따른 LOGO 활동 수준에 LEGO 마인드스톰 활동 수준을 연계하여 로봇을 활용한 수학 수업에서의 활동 수준을 분석하고 정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