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체 판독성 표준화 표기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임학래(Lim, Hak Lae),안병학(Ahn, Byung Ha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4

        도시와 문명의 전개는 인간이 일상을 영유하기 위해 알아야 하는 물리적 정보량을 폭발적으로 늘려 놓았다. 이에 정보를 생산하고 받아들이고 기록하고 출력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인 문자의 쓰임 역시 자연스럽게 팽창했다. 또한 문자의 상용 형식인 서체는 그 쓰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었고, 각기 다른 형태마다 서로 다른 판독성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서체의 판독성은 삶의 편의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현대 도시 곳곳에서 정보의 정확하고 신속한 전달이라는 측면에서 인간의 안전과 관련된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제에서 착안한 이 연구는 일반 산업재 및 산업 생산품이 재료 또는 제품의 성능 정보를 제공하듯 서체 역시 서로 다른 형태와 용도별로 그 판독성 정보를 디자이너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활용의 정합성을 더 향상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으로 출발했다. 이는 서체의 판독성을 높이는 물리적 방법을 찾아내거나 판독성이 좋은 새로운 서체 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이 아닌, 상용 서체의 판독성 정보를 제공하여 디자이너의 합리적 선택을 돕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가장 먼저 연구자는 현대사회에서 변화된 문자의 역할과 전통적인 판독성 수요를 함께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문자를 통한 정보습득은 과거보다 확연하게 증가하였고, 사회구조의 변화와 기술의 발달로 문자를 읽는 인간의 행위는 더욱 중요해졌으며, 이와 함께 판독성이 중요한 사회문제로 등장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지금껏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방면에서의 많은 노력이 있었지만 판독성에 대한 계량적 기준의 부재가 가져온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판독성 개선을 위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유형별로 장단점을 도출하여 실현 가능성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그러나 기존 선행연구는 대부분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 부재와 고비용이 소요되는 근거리 독서용 서체 개발에 집중되어 왔기 때문에 이들 연구에서 사용된 방법과 기준을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런 이유로 이 연구에서는 합리적인 문자의 판독성 표시 체계를 만들기 위한 표기 방법 연구를 위해 ‘4가지 서체 판독성 표기 모델’과 ‘서체 판독성 표기 체계 연구 방법’을 제안했다. The evolution of civilization expanded the absolute amount of information for the daily life of human being. Also, the amount of use of the letter to produce, accept, write and print the information expanded alongside the change. Fonts, as common format of letters, were developed in various shapes by optimized methods in order to deliver the information and each shape has obtained its own legibility in terms of its usage. In this environment, the legibility of the fonts became a very critical issue not only in relation to the convenience of functionality but also to the social security in our urban quality of life. The issue opens up the idea of this study that we can make an important improvement on font functionality in a way of providing various font legibility information within a standardized specification guideline format as industry provide a manual for each product, which contains specified product information and its usage. This study supports designers’ reasonable decision making on applying fonts in their works by providing information of legibility of font, not by suggesting new method or font design to improve legibility of font. The researcher first analyzed the historic role changes of letters and traditional demand of legibility of font. As a result, legibility of font became more critical issue as people used letters to obtain information. Although many studies on different points of improvement related to the legibility of font, the researcher realized that the lack of quantitative standard on legibility leads to the limit. As a next step, the researcher subsequently examined relevant researches in order to deduce critical research questions to improve font legibility in a way of conclusion type classification on the researches. Because the majority of preceding researches related to legibility only focused on the reading fonts which largely used in close distance to meet the high legibility and mostly developed within high budget, there is a limit to simply apply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 Through investigation of the universal causes and special factors which have a decisive effect on font legibility, the researcher suggested a specification model with 4 different ways and certain methods legibility measurement for succeeding study. The model and the method will act as a significant role in next Pd.D study that the overall goal is to finally suggest the standard specification of font legibility based on functionalities and various usage in the complex urban environment.

      • KCI등재

        글자 판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분석

        임학래(Lim, Hak Lae),안병학(Ahn, Byung Ha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2

        활자와 인쇄 매체 발명 이후 글자의 쓰임이 확장함에 따라 글자에 대한 연구는 글자꼴뿐만 아니라 글자의 판독성과 글자의 판독 가능성을 좌우하는 환경에 대한 연구로 점차 확장하고 있다. 그러나 글자의 판독성은 글자가 쓰이는 다양한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예측 가능한 모든 환경요인을 규명한다는 것은 연구의 범위, 기간, 비용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에서 착안한 이 연구는 32개 국가 200편의 해외 선행연구에서 밝혀낸 글자의 판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조사, 분석, 분류, 목록화하여 서체 판독성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만드는 것이다. 해외 선행연구를 대상으로 한 이유는 국내의 경우 글자에 대한 연구가 아직 글자꼴에 따른 형태 판독성 자체에 치우친 경향이 큰 반면, 판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관련 연구가 풍부한 해외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종합 분석하여 글자 판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가능한 환경요인을 입체적이고 종합적으로 정의하고자 했다. 가장 먼저 정확도와 보편성을 높일 수 있는 키워드를 찾기 위해 페르소나 기법을 차용한 환경설계를 통해 키워드를 도출하였고, 시범 검색을 통한 키워드 보완 과정을 거쳐 연구 대상을 구체화했다. 이를 통해 글자 판독성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을 다룬 200편의 해외 선행연구를 찾았고, 이 중 명확한 요인을 가졌다고 판정한 119개의 연구에서 규정한 환경요인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환경요인들은 11개의 대표 환경키워드로 재분류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환경요인 연구의 경향성을 정리하였다. 또한, 키워드끼리의 상호 인접도를 측정하고 이를 시각화함으로써 복합 환경요인에 대한 연구 접근 가능성을 높였다. 그 결과, 글자의 판독성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을 제시한 연구사례 목록 200편과 함께 이를 분석하여 얻은 환경 키워드 11개, 키워드 인접도 분석을 통해 얻은 부가 연구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글자꼴에 대한 연구와 글자 형태에 따른판독성 연구에 치우쳐 온 국내 연구의 한계를 인지하고, 판독 환경요인이라는 변수를 연구사례를 통해 구체적인 근거와 함께 제시한 데 가치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가 본 연구자가 계획하는 후속 연구인 ‘서체 판독성 표준화 표기체계 구축 연구’를 위한 중요한 선행 근거 연구로 쓰일 것을 확신한다. According to expanding of using the letter since the type and the print media was invented, the research of the letter gets expanding to the research on the environment which controls the legibility and the possibility of reading letter, not only the letter shape. However, the legibility is influenced by the various surrounding environment which the letter is used for, it is impossible to establish all the predictable environmental factors for considering the range, period, and expense. This research derived from these issues (investigated from the overseas preceding researches out of 200 cases from the 32 countries) is to research, analyze, and categorize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on the legibility and make a basic data for the legibility research of handwriting. The reason to aim the overseas preceding researches is there’s a lack of researches about the environmental factors, while there’s a tendency of bias on the form of legibility itself following the shape of letter. For these reasons, related research to comprehensive analyze to focus on an abundant foreign preceding researches, and to justify predictable environmental factor that influences to the letter legibility with stereoscopic and comprehensive way. At first, to find the keywords that able to increase accuracy and generality, extracted the keywords through the environmental design derived from persona technique, then it structured the research object through the process of keyword supplementation with the test search. It found 200 cases of foreign preceding researches of being studied environmental factors which influences on legibility through this process, then extracted prescribed environmental factors from 119 case researches which were decided to have an obvious factor. The extracted factors were reclassified with the 11 major environmental keywords. And, it is arranged by analyzing the tendency of environmental factors. Also, as measuring an adjacent interaction between keywords and visualizing, it coul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research for approaching the complex environmental factors. For the result, it was able to suggest the list of 200 study cases of suggesting environmental factors which influences to the letter legibility, 11 of the environmental keywords analyzed from it, and the additional research problems obtained from the analyzing keyword of adjacent. This study has a value to recognize the limit of the domestic research that only concentrated in the legibility research by the form of letter about letter shape, and to be suggested a variable of legibility environmental factor through the study case specifically by reason. It is sure to be used in an important preceding study for following research, ‘A Research on Standardizing Legibility Specification’ that the researcher pla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