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고전소설의 역사 수용 양상 고찰

        임치균(Lim Chi-Kyun) 우리문학회 2010 우리文學硏究 Vol.0 No.31

        고전소설에 수용된 역사는 크게 ‘체험의 역사’, ‘전언의 역사’, ‘기록의 역사’로 나누어 살필 수 있다. ‘체험의 역사’는 작가 자신이 직접 겪은 일을 가리킨다. ‘전언의 역사’는 작가가 다른 사람에게 들었거나, 다른 사람이 기록한 글을 본 것을 지칭한다. ‘기록의 역사’는 작가가 공식적인 역사서를 통하여 정보를 획득한 경우를 말한다. 고전소설에서 ‘체험의 역사’를 수용할 때에는, 다루는 사건이 작가 자신이 직접 겪은 것이기 때문에 지극히 주관적으로 형상화된다. 이 때는 굳이 사실성 여부를 강조하지 않는다. 다만 그 속에서 작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문제의식이 부각된다. 고전소설에서 ‘전언의 역사’를 수용할 때에는 실제로 있었던 사건인지 확인할 수는 없는 경우에 傳言者를 제시하기도 하고, 전언자 없이 누구나 알고 있는 실재하였던 사건과 인물을 다루기도 한다. 두 경우 모두에 사실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사건과 인물에 대한 주관적 선택이 객관성을 가지게 된다. 고전소설에서 ‘기록의 역사’를 수용하는 형태는 크게 시대 배경에 따른 실재 사건이나 인물을 단순 수용하는 방식, 작품 속에서 특수한 목적을 위하여 역사적 사건을 수용하는 방식, 시대 배경에 따른 당시의 실존 인물을 주인공으로 수용하는 방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들은 모두 중국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세 번째가 첫 번째와 두 번째와 다른 것은 역사적 실재 인물이 작품의 주인공이 된다는 점이다. 그리고 두 번째가 첫 번째와 다른 것은 작품이 시대 상황에 따른 당시의 역사적 맥락을 고려한다는 점이다. 이 모든 것은 물론 작품의 의도에 따라 선택된다. 고전소설에서 보이는 ‘기록의 역사’ 수용은 결국 역사를 작품속에 반영하되 작품의 의도에 맞게 적절하게 변용하고 있는 것이다. History accepted in classic novels can be divided into ‘history of experience,’ ‘history of words delivered,’ and ‘history of record.’ ‘History of experience’ means the events a writer experienced in person while ‘history of words delivered’ indicates the stories a writer heard from another person or read somebody's writings. For the case a writer got information from official history, we call it ‘history of record.’ When the history of experience was accepted in classic novels, it was expressed on a subjective point of view because the story was experienced by the writer himself. In this case, it is not important whether the story was based on a fact or not. However, the writer's critical mind in the story came to the fore. As for the history of words delivered, the person who delivered a story appeared when the story couldn't be identified as based on a fact, or actual events and characters appeared without a person who delivers a story. It is important to get the truth in both cases to make subjectively chosen events and characters have objectivity. In the history of record, the ways of accepting history can be divided as follows: the simple acceptance of true stories and characters based on historical backgrounds, the acceptance of historical events for a special purpose, and the acceptance of a real person as a main character on historical backgrounds. All of them deal with Chinese history. The last one differs from the others in the way that real characters in history are the main characters of a story. And the second one differs from the first one in the aspect that historical context according to the times is considered in a story. All of them, of course, are chosen based on the intention of a work. As a result, a writer reflected history in his novel with some modifications based on his intention in the acceptance of the history of record.

      • KCI등재

        <최고운전> 연구 - 파경노 화소를 중심으로

        임치균 ( Lim Chi-kyun ) 택민국학연구원 2017 국학연구론총 Vol.0 No.20

        <최고운전>은 흥미로운 이야기로 점철되어 있으나, 아직 그 원천 내용이 어디에서 왔는지 밝혀지지 않은 것이 많다. 그러나 다양한 문헌을 수용했을 가능성은 매우 높다. <최고운전>에는 최치원이 중국 학사와 시 문답을 하는 내용이 나온다. 이는 출처를 『今是堂手錄』으로 밝히고 있는, 남송 때의 문헌인 『詩人玉屑』과 『苕溪漁隱叢話』, 그리고 『全唐詩』와 관련이 있다. 이 문헌에 있는 기록이 徐居正의 『東人詩話』와 權鼈의 『海東雜錄』에 그대로 수록된 것이다. 하지만 <최고운전>에서는 최치원과 중국 학사의 시에 고려 사신이 지은 시와 가도가 지은 시를 하나씩 배치하는 변용을 보여준다. 이는 조선과 중국이 대등한 위치에 있다는 의식의 소산이다. 한편, <최고운전>에서 다루고 있는 ‘용궁’과 ‘위이도’의 사건은 『三國遺事』 권4 ‘寶壤梨木’ 條와 관련이 깊다. 특히 ‘이목의 귀환’은 최치원이 당나라에 홀로 입국한 역사적 사실을 염두에 둔 변개로 볼 수 있다. 그 이후의 공간이 중국 浙江이 되기 때문에, 이목은 돌아갈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또한 나 승상 딸과 화답한 시는 『破閑集』을 비롯하여, 『梅月堂集』, 『百聯抄解』에 수록되어 있다. 그만큼 이 시는 당시에 유명했던 것으로 보인다. ‘破鏡奴 화소’ 또한 중국 명나라의 소설 <?鏡傳>과 관련을 맺는다. <여경전>에서는 남주인공 진필경이 여주인공 왕벽거를 만나기 위해 거울 닦는 사람이 된 후, 그 집안의 귀한 거울을 깨뜨리고, 그 값을 갚기 위하여 종이 되는 내용이 있다. <최고운전>과 큰 차이가 없음이 확인된다. <여경전>은 이탁오(1527-1602)가 창작하였다고 전해졌으나, 실상은 弘治(1488-1505) 末年에서 嘉靖(1522-1566) 初 사이에 출현한 것으로 밝혀졌다. 어쨌든 이런 모든 사실을 종합해 보면, <최고운전>은 아무리 빨라도 1550년이 넘어야 존재할 수 있었다고 본다. 여러 문헌이나 전설 등을 수용하여 완성되었다는 점에서, 현존하는 <최고운전>은 한 작가에 의하여 한 번에 창작되지 않았을 수도 있다. 어느 작가가 흥미로운 화소가 생각나면, <최고운전>에 삽입하였을 가능성도 열어두어야 할 것이다. In ChoegounJeon, it contains a content of Choechiwon exchanging question and answers of poetry with a Chinese scholar. It is relevant with the literatures of back in Southern Song Dynasty, Siinokseol, Chogyeeoeunchonghwa and Jeongdangsi. Geumsidangsurok is known as a source of these literatures. Records of these literatures are included intactly in Donginsihwa written by Seogeojeong and Haedongjaprok written by Kwonbyeol. On the one hand, the case of ‘Yonggung' and 'Wiido' featured in ChoegounJeon is related deeply with BoyangImok in the fourth volume Samgukyusa . Especially, ‘Return of Imok’ can be seen as an alteration of content that gave a thought due to the fact that Choechiwon entered to Tang Dynasty alone. Imok had no choice but to return because the place later became Jeolgang in China. Pakyeongno motif is also connected with YeokeongJeon, a novel of Ming dynasty. In YeokeongJeon, hero Jinpilkeong becomes a person who wipes mirror, to meet the heroine, Wangbyeokgeo. He breaks a precious mirror of Wangbyeokgeo‘s house intentionally and becomes a slave to repay the price. It verifies how the general outline has no big difference with ChoegounJeon. YeokeongJeon was told that Itako(1527 - 1602) had composed it, however it came out into the open that it uprose between the end of Hongchi period(1488-1505) and the beginning of Gajeong period(1522-1566). At any rate, when you synthesize all these facts, ChoegounJeon could have existed after 1550 at the earliest. As it was completed by accepting several literatures and legends, ChoegounJeon could have been not created at one go by one author. We have to open a possibility of insertion in ChoegounJeon if any author had thought of interesting element.

      • KCI등재

        『문통』의 기록으로 본 <옥린몽>에 관한 몇 가지 문제

        임치균(Lim, Chi-Kyun) 한국고전연구학회 2005 한국고전연구 Vol.11 No.-

        유희(柳僖 :1773-1837)의 『문통』은 조선 후기에 이루어진 백과사전 성격의 자료이다. 여기에서는 이정작의 <옥린몽>과 관련된 소중한 기록이 있다. <옥린몽>은 언제 창작되었으며, 한글, 한자 가운데 어느 문자로 표기되었는지가 계속 논란이 되고 있는 작품이다. 『문통』의 기록은 이 두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당시 사람들이 고전소설의 창작과 관련하여 가지고 있었던 태도나 의식을 살펴볼 수 있는 단서가 되기도 한다. 『문통』의 기록을 토대로 할 때, 이정작은 한글을 이용하여 1709년 전에 <옥린몽>을 창작하기 시작하였으나 일이 있어 완성하지 못하다가 과거에 급제한 1714년에 전편을 탈고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문통』의 기록에서는 ‘착한 주인공을 위태하고 나쁜 지경에 처하게 해놓고 방치해서는 안 되며, 만약 그럴 경우 작가 자신에게 해가 돌아올 수도 있다’는 의식을 찾을 수 있다. 주인공을 비참한 지경에 두었다가는 작가 자신에게 해가 돌아올 수도 있다는 주술 같은 믿음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은 왜 우리 고전소설들이 모두 한결같이 ‘행복한 결말’을 추구하고 있는지를 설명할 수 충분한 실마리가 될 수 있다. Yu-heui(1773-1837)'s Muntong is a resource book of encyclopedia character completed in late Joseon Dynasty. In the book, there is valuable record about Yi Jeong-jak's Ongninmong. Regarding when Ongninmong was written, whether in hangeul or hanmun was it first published,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among scholars. The Muntong gives answers to the both questions, and also provides us with a clue to the manner and consciousness with which contemporary writers were writing. According to the Muntong, Yi Jeon-jak first began to write Ongninmong in hangeul before 1709, but was not able to complete it. Not until he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in 1714 did he finally finish writing the whole Ongninmong. From the Muntong, late Joseon writers' consciousness can also be discerned, as it is recorded, "it is not proper to jeopardize the kind hero and leave him in a bad situation. If writers do so, the same bad will come to the writer himself. This is a belief of incantation: if the hero were to be placed in a miserable situation, the same misery would happen to the writer. It is also this belief that fully explained why pre-modern novels in Korea invariably sought happy-ending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태원지> 연구

        임치균 ( Chi Kyun Lim ) 한국고전문학회 2009 古典文學硏究 Vol.35 No.-

        본고는 현재 중국소설로 알려져 있는 <태원지>가 우리나라 작품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그 근거로는 작품 속에 직접 서술되고 있는 `조선에 대한 찬양`, `중국인에 대한 부정적 서술`, `『동몽선습』의 내용` 등을 들었다. 또한 <태원지>에는 조선 후기에 확산되기 시작한 `세계에 대한 상대적 인식`이 드러나고 있다는 점도 근거로 하였다. <태원지>는 해양 탐험과 건국의 과정이 조합된 작품으로 부분부분 <삼국지연의>를 염두에 둔 흔적이 보인다. 그런데, 그 건국의 과정에서 천명이 매우 중요한 기제로 작용하고 있다. 천명만 있으면 누구나 황제 또는 왕이 될 수 있다는 데에는 의심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 천명이 실현되는 공간이 중국이 아니라는 점이 문제적이다. <태원지>에서 천명이 실현되는 공간은 허구적 나라인 태원이다. 그리고 그렇게 된 이유는 현재 중국을 다스리고 있는 오랑캐에게 천명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중국에 비록 오랑캐가 있더라도 그 역시 천명을 가지고 있다면 인정할 수밖에 없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당시 조선의 지식인들이 부정하던 오랑캐 청나라가 현재 존립하는 것 자체가 천명임을 분명히 하는 논리가 되며, 이러한 오랑캐에 대한 인식은 조선 후기 북학파를 중심으로 하는 의식과 상통한다. 이는 전통적인 화이관과 배치된다. 특히 작품에 드러나는 이러한 주제 의식은 중국을 세계 속에 속한 상대적인 공간으로 인식한 데에 기인한 것이다. 오랑캐에 대한 인정, 즉 청나라에 대한 인정은 <왕회전>, <징세비태록>과 같은 조선 후기 소설에 적지 않게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This study identifies Taewonji, known as a Chinese novel, as a Korean one based on such elements as glorifying Joseon, negative descriptions about the Chinese, and some details in Dongmongseonseup directly mentioned in the work. Also, it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Taewonji includes the relative understanding of the world which started to spread at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Covering the exploration of the ocean and the process of founding the country, Taewonji seems partly related to Samgukjiyeoneui. And, in the process of founding the country, Providence works as a very important factor. It is clear that anyone can be an emperor or a king with Providence; however, the problem is that it is China where Providence is realized. In Taewonji, the place where Providence is realized is Taewon, a fictitious country because barbarians who govern China has it. It argues that they should be admitted with Providence even though there are barbarians in China. This shows that barbarian China itself exists from Providence, which Joseon intellectuals has denied. Recognition of barbarians like this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at of the Bukhak school while against traditional Hwaigwan, or Sinocentrism. Especially, this kind of view in the work derives from the point of view that regards China as a relative place in the world. Recognition of the barbarian Ching often appears in the novels at the late period of Joseon such as Wanghoijeon and Jingsebitaerok.

      • KCI등재
      • KCI등재

        번역의 관점으로 본 한글 고전소설 현대어화의 실제

        임치균(Lim, Chi-Kyun) 돈암어문학회 2011 돈암어문학 Vol.- No.24

        이 논문은 지금까지 고전소설을 현대화하면서 느꼈던 필자가 어렵게 생각하였던 큰 문제와 그에 대한 나름의 해결책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대의 일반 독자들과의 소통을 기본 전제로 고전소설의 현대어화를 고려하였다. 소통을 위하여서는 내용과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이를 위하여서는 고전소설이 가지고 있는 어휘나 문체, 특징적 서술에 대하여 빼거나 전환해야 한다. 특히 현대소설에서 찾아볼 수 없는 요소들에 대하여서는 현대 일반인이 이해하고 납득할 수 있도록 조정해야 한다. 내용도 현대의 감각에 맞게 바꾸어야 한다. 단 고전소설의 의미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때문에 직역을 고집할 필요가 없다. 한 가지 덧붙일 것은 고전소설을 현대어화 할 수 있는 전문가의 육성이 필요하다는 사실이다. 우선 필사본을 읽고 해독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교육이 필요하다. 그리고 번역의 관점에서 고전소설을 현대어화하는 실습도 해야 할 것이다. 이때 번역자는 문학적 감수성과 재능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현대어화는 문학을 문학으로 바꾸는 일이기 때문이다. 그래야만 고전 소설이 주는 미감이나 표현 등을 잃지 않고 살려낼 수 있기 때문이다. This thesis deals with the main problems that I faced when I modernize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and as well as my own solution for that problems. What I want to say by this thesis is about the moderniza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s based on the communication with modern-general readers. Notifying content and meaning to the readers is an important point for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readers and the books. For successful modernization, some of elements like vocabulary, lingual style, or characteristic description should be removed or changed. Especially, the elements that exist only in classical novel should be adjusted, so the general readers can understand and comprehend. Also the contents should be changed modernistically. But there should be no distorting the original message in the progress of modernization. Because of this, modernization of classical literatures doesn"t mean literal translation. One more thing I want to say further is that we need to upbring the experts who are able to modernize the classical novels. First of all, education for decoding hand-written version is required to upbring the experts. And also that experts have to practice modernizing classical novels in the standpoint of translation.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for the translators to have literal sense and talent. Because the modernization is a progress of replacing literature with literature. In that way, classical sense of beauty or the expression that classical literature provides can be preser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