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 경찰활동의 주요 사례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임창호,박행렬 한국공안행정학회 2019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8 No.2

        Police agencies that reflect the spirit of the Smart Policing Initiatives are strategic, based on science and highly dependent on data, intelligence and technology. If the causes of specific crimes are clearly analyzed by smart police practices, the police will be able to use the findings for effective interv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oncepts, principles and major cases of the smart police practices formally supported by U.S. Bureau of Justice Assistance(BJA) in 2009, and to suggest the measures for activating smart policing practices in South Korea. The main elements of smart police practice are performance measurement and research partnership, outreach and collaboration,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change, strategic targeting, better use of intelligence and other data and information systems. In particular, smart police practices are local, focused on the role of science and research, multidimensional, result-oriented and striving for innovation. This study analyzed Glendale Police Case in Arizona, Newton Division Case in Los Angeles Police Department, Frisco Police Case in Texas and suggested that police agency should execute systematic research, accumulate the research findings, establish partnerships between local police agencies and local universities, and develop POP related education program for activating smart policing in South Korea. 스마트 경찰활동 계획(SPI)의 원리를 반영한 경찰기관들은 전략적이고, 과학에 기반하고, 데이터ㆍ정보ㆍ기술에 매우 의존한다. 스마트 경찰활동에 의해서 특정 범죄의 원인들이 명확하게 증명된다면, 경찰은 효과적인 개입을 위해서 스마트 경찰활동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09년에 미국 법무부 사법지원국(BJA)의 지원을 받아서 공식적으로 실시된 스마트 경찰활동의 개념, 원리, 주요 사례들을 소개하고, 한국의 스마트 경찰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스마트 경찰활동의 주요 요소는 성과 측정 및 연구 파트너십, 협력, 조직 변화의 관리, 전략적 실행대상 설정, 정보와 다른 데이터 및 정보 체계를 더 잘 이해하기 등이다. 특히 스마트 경찰활동은 지역적이고, 과학 및 연구의 역할에 중점을 두고, 다차원적이고, 결과 지향적이고, 혁신을 위해서 노력한다. 이 연구는 Arizona주 Glendale 경찰서 사례, Los Angeles 경찰국의 Newton Division 사례, Texas주 Frisco 경찰서 사례들을 분석한 결과, 한국의 스마트 경찰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경찰청은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그 연구 결과물들을 축적하고, 정보분석 시스템을 구축ㆍ활용하고, 지방경찰청-지역대학 간에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POP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미국 대테러리즘 정책의 시사점

        임창호 대전대학교 안보군사연구원 2019 안보군사학연구 Vol.- No.1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and types of terrorism, to introduce fusion center and information cycle, which are important strategies of counterterrorism, and to explain the current state of terrorism and counter-terrorism policies in the United States. Based on the analyses, the U.S. fusion center generally assesses the degree of terrorism threat and functions as an exchange agency of relevant intelligence that can be used to arrest the suspects of terrorism. Fusion center installed in the U.S. state government and large cities are the systems that South Korea needs to introduce urgently as well. In the case of South Korean police, there is a large shortage of intelligence officers with expertise in each process of the intelligence cyc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he competent intelligence officers with a high level of expertise. The six measures of the U.S. regional police to prevent terrorism are important references for the South Korean police to strengthen terrorism prevention measures. However, if it is well adjus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South Korea, it can effectively strengthen the local police department's capacity against terrorism.

      • 자치경찰제도의 도입모델 개발을 위한 제언

        임창호 大田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18 社會科學論文集 Vol.3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그 동안 역대 정부들이 도입하고자 시도했던 자치경찰제도 모델들 을 검토하고, 2017년 11월에 경찰개혁위원회가 발표한 자치경찰제도 모델의 주요 내용들을 설명하고, 자치경찰제도의 도입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서 참고해야 할 제 언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자치경찰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주요 방향은 ⑴ 주민의 참여를 보장하고, ⑵ 주민 요 구에 즉응하는 치안역량을 구비하고, ⑶ 필요한 법집행 권한을 자치단체에게 부여하고, ⑷ 지역 치안사무를 국가경찰과 자치경찰이 공동으로 수행하고, ⑸ 자치경찰의 선택적 실시를 보장하고, ⑹ 국가경찰과 자치경찰간 유기적인 협력을 위한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다.

      • 삶의 질(QOL) 경찰활동에 대한 고찰

        임창호 大田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16 社會科學論文集 Vol.3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삶의 질(QOL) 경찰활동의 개념, 목적, 모델을 살펴보고, 주로 미국에서 행해지고 있는 QOL 경찰활동의 사례, 함의 및 문제점을 분석한후 우리나라에서 QOL 경찰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무질서는 주민들에게 불안감 및 두려움을 야기하고, 주민들로 하여금 지역을 떠나도록 만드는 주요한 요인이므로, 무질서 단속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는QOL 경찰활동의 실행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우리나라에서 QOL 경찰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경찰관리자는 첫째, QOL경찰활동 실행의 4가지 요소인 (1) 높은 도덕적 근거 제시, (2) 문제해결 학습,(3) 재판에서 승리하도록 준비,(4) 지역사회 참여에 중점을 두고, 둘째, 증거 기반 연구를 활성화하고, 셋째, 경찰관에 대한 다양한 교육훈련을 강화하고, 넷째, QOL 경찰활동 수행시 조례를 활용하여야 한다.

      • KCI등재

        한국교회 통일교육의 시스템화 가능성 모색

        임창호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7 기독교교육논총 Vol.51 No.-

        Korean churches have prayed for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for over seventy years. Today, most Korean churches regularly receive public prayer requests that focus on a Korean unification. When viewed in such a light, one could conclude that the day of unification is undeniably getting closer. And relatedly, prayer meetings, as well as theoretical and theological research into a “Christian” unification, have been developing rapidly. However, a comprehensive system that brings together the Korean Church’s unification movement and its related theories does not yet exist. Nor have any churches or academic institutions implemented a systematized approach to unification education. And more to the point, not a single Korean Christian order has attempted to put together and disseminate educational material to train and prepare the forthcoming post-unification generation. Building on these issues, this paper proposes a systematized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geared toward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 proposal takes inspiration from the systematized unification education movement that is currently utilized by Korean research institutions and the government. However, this paper does not seek to merely copy the research institutions and the government’s system. The paper’s proposal is a distinctly Christian one that draws from the theologies of both the Korean Church as a whole and from each of its respective orders. In particular, the proposal advocates the “Gospel unification” approach that is widely supported by all Korean churches. 한국교회가 통일을 위해 기도해 온지 70년이 넘어섰다. 여전히 한국교회 대부분의 공적 기도문에서 통일의 소원이 담긴 기도가 이어지고 있다. 이를 통해서 볼 때, 분명히 통일의 일정은 이전보다 가까워져 오고 있음이 분명하다. 산발적이기는 하나 통일을 위한 기도회, 기독교통일 신학연구, 기독교통일 이론 등의 연구도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한국교회가 힘을 모아 함께하는 통일운동이나, 기구, 시스템 등은 전무하다. 교단별로 시스템화 된 통일교육을 시행하는 곳도 없다. 단적으로, 한국 기독교교단 어느 곳도 기독교통일을 위한 통일교재를 발행하여, 자라나는 통일세대들을 준비시키는 곳도 없다는 사실이 그 대표적 사례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문제의식을 갖고, 국가와 정부, 관련 연구단체의 시스템화된 통일교육 운동을 본 받아 한국교회와 기독교시민단체, 혹은 교단들의 시스템화된 기독교 통일교육 실시를 제안하고 있다. 단, 국가나 정부 혹은 연구소 등의 통일교육 시스템과 내용을 그대로 답습하자는 것이 아닌, 한국교회와 각각 교단 고유의 신학적 특성은 살리되, 복음통일을 지향하는 한국교회의 공통된 염원이 담긴 통일교육운동으로서의 시스템을 추구하자는 것이다.

      • KCI등재
      • 지역사회 경찰활동과 범죄예방 기법

        임창호 大田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17 社會科學論文集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community policing, crime prevention theories, an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and to introduce the main methods of crime prevention techniques for specific crimes to South Korea. Specific crime prevention techniques outlined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oblem-oriented Guide for Police" published by The Office of Community-Oriented Policing Service of United States. To att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community policing was defined, and as the key elements of community policing activity, community partnerships and problem solving were presented. Concerning crime prevention theories, the Chicago Area Project (CAP), Neighborhood Watch Programs, Physical Design, Routine Activity Theory and Rational Choice Theory, Broken Window Theory were briefly described. In particular, 25 strategies for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presented by Clarke were introduced, which divided crime prevention goals into five main goals, and will help the police develop the effective 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the concepts of Environmental Design Crime Prevention(CPTED) and 2nd generation CPTED were presented. As a specific crime prevention technique, prevention techniques for theft, robbery, assault and prostitution were introduced. Finally, so as to apply problem solving techniques to KNP, this paper proposes the systematic study of crime prevention techniques,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local police officers, and the sharing of problem solving techniques among police agencies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경찰활동, 범죄예방이론, 환경 설계 범죄예방(CPTED)의 개념들을 살펴보고, 특정 범죄들을 대상으로 한 범죄예방 기법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 범죄예방 기법들을 한국 경찰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소개된 범죄예방 기법들은 미국의 「지역사회 경찰활동 서비스 국」(The Office of Community Oriented Policing Services)에서 발행된 「경찰을 위한 문제 지향 가이드」 (Problem-Oriented Guide for Police)라는 보고서들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먼저,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개념이 정의되고,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주요 요소로서 지역사회 파트너십과 문제해결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범죄예방이론들로서 Chicago Area Project(CAP), 이웃 돌봐주기 프로그램, 물리적 설계, 일상활동이론과 합리적 선택이론, 깨어진 유리창 이론, 상황적 범죄예방 이론의 개념이 간략하게 제시되었다. 특히, Clarke에 의해서 제시된 25가지 상황적 범죄예방 전략들이 소개되었는데, Clarke는 범죄예방의 목표를 5가지 주요 목표로 구분하였다. 이 전략들은 지역사회의 특정 문제들을 위한 해결방안들을 개발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기초가 될 수 있다. 또한, 환경설계 범죄예방(CPTED) 및 2세대 CPTED의 개념이 제시되고, 특정한 범죄예방 기법으로서, 절도 예방, 강도 예방, 폭행·협박 예방, 성매매 예방에 대한 기법들이 소개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범죄예방 기법의 한국 경찰에의 적용방안으로서 범죄예방기법의 체계적인 연구, 지역 경찰관의 인식 변화, 경찰관서 간 문제해결 기법의 공유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