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괘변설의 변천과정에서 본 다산의 추이론

        임재규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15 다산학 Vol.- No.26

        This article aims at elucidating the feature of Cheong Yagyong(丁若鏞, 1762~1836)’s Tuiyi(推移)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Guabian(Hexagram changes) theory. Cheong Yagyong pay attention to Xunshuang荀爽128190 and Wucheng(吳澄, 1249~1333) in the his Yixuexuyan易學緖言(Collection of Critical Essays on Some Major Theories about the Zhouyi). It can be inferred that Xunshuang’s Guabian theory is a precedent of the Tasan’s Gua¬bian theory. But Cheong Yagyong’s Guabian theory is different from Xunshuang’s Guabian theory, Tasan not only asserted ‘Guabian from Bigua(辟卦) to Yangua(衍卦)’, but also asserted ‘Guabian from Bigua to Bigua’. Wucheng is also a precedent of the Tasan’s Guabian theory. But Cheong Yagyong’s Guabian theory is also distinct from Wucheng’s Guabian theory. Unlike Wucheng’s Guabian from one Bigua, Cheong Yagyong asserted Guabian from two Bigua. However, like Xunshuang and Wucheng, Tasan also insisted that Guabian is not ‘One meaning of Zhouyi(易中之一義)’, but is ‘The principal purport of writing Zhouyi(卦作易之本指)’, Nevertheless, the most creative feature of Tasan’s Tuiyi theory is that Tasan’s Tuiyi theory is not only applied to interpreting the Guac(i卦辭), but also applied to interpreting the Yaoci(爻辭). Unlike Xunshuang and Wucheng’s Yiology, Tasan insisted that Yao means Biangua(變卦). So Tasan’s Tuiyi theory can be applied to interpreting the Yaoci(爻辭). These applications to interpreting the Yaoci(爻辭) of the Tuiyi theory is the most creative feature in the history of Yiology. 다산 정약용17621836의 역학 이론은 역리사법으로 대표된다. 역리사법 중에서 다산 역학을 관통하는 하나의 이론을 들자면 추이론이라 할 수 있다. 이 점은 다산의 대표적인 역학 저작인 『주역사전周易四箋』의 「사전소인四箋小引」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첫째가 추이推移이고 둘째가 물상物象이며 셋째가 호체互體이고 넷째가 효변爻變이다” 물론 다산의 효변설이 다산 역학의 가장 특색있는 이론이지만 효변설은 『주역周易』 64괘 괘사 및 384효 효사 해석 중 64괘 괘사 해석에는 적용되지 않고 다만 384효 효사 해석에만 적용되는 이론이기 때문에 『주역』 64괘 384효를 관통하는 이론이라 할 수 없다. 반면에 추이설은 384효 효사 해석뿐만 아니라 64괘 괘사 해석에도 적용되는 이론이라는 측면에서 다산 역학을 관통하는 이론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다산이 자신의 대표적인 역학 저작인 『주역사전』의 첫머리에 「사전소인」을 제시하고 「사전소인」 중에서 추이를 첫 번째로 제시한 것이 아닌가 추측해볼 수 있다. 다산의 추이설과 관련하여 한대漢代 순상과 원대元代 오징의 괘변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다산은 그의 『역학서언易學緖言』에서 「이정조집해론李鼎祚集解論」과 「오초려찬언론吳草廬纂言論」을 지어 순상과 오징의 역학에 대해 긍정적인 관점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다산은 이정조의 『주역집해周易集解』에 대해 “괘변卦變과 효변의 법칙 호체 와 복체伏體의 예 교역交易·변역變易·반대反對·반합牉合의 묘가 하나라도 갖추어 있지 않음이 없다”라고 평가하고 있으며 오징의 『역찬언易纂言』에 대해 “비록 그 본령은 소옹邵雍의 역학을 벗어나지 않지만 간혹 명론名論이 옛 법에 합치하는 바가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 다산의 추이론은 기본적으로 괘기설과 괘변설의 2가지 요소가 결합되어 있다. 다산은 「괄례표括例表」에서 추이에 대한 정의에 이어 추이표를 만들었는데 추이표의 구성도 괘기설과 괘변설의 2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즉 1) 육괘위사시지본표六卦爲四時之本表 2) 감리위양윤지본표坎离爲兩閏之本表 3) 십이벽괘진퇴소장표十二辟卦進退消長表는 괘기설에 해당하는 내용이며 4) 일양지괘추이표一陽之卦推移表 5) 일음지괘추이표一陰之卦推移表 6) 이양지괘추이표二陽之卦推移表 7) 이음지괘추이표二陰之卦推移表 8) 삼양지괘추이표三陽之卦推移表 9) 삼음지괘추이표三陰之卦推移表는 괘변설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그런데 다산의 추이표 중에서 이전의 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었던 부분이 있는데 세 번째 십이벽괘진퇴소장표이다. 이는 괘기설의 12벽괘를 설명하는 표이지만 단지 12벽괘가 1년 12달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벽괘와 벽괘 사이의 추이’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기존의 괘변설에서는 ‘벽괘에서 연괘로의 추이’가 중요한 문제이었고 ‘벽괘에서 벽괘로의 추이’는 거의 다루지 못했던 부분이기 때문이다. 다산은 『주역사전』 「사전소인」에서 자신의 추이론의 원류로 주자의 괘변도를 지목하고 있다. “첫째가 추이이다. 주자의 「괘변도」가 바로 이 법이다.(『주역본의』의 주문注文에서 얘기하고 있는 괘변과는 같지 않다) 오직 중부괘와 소과괘가 벽괘에 들어가지 않지만 추이는 주자의 뜻이다” 그런데 『주역본의』의 「괘변도」에 대한 주자의 설명을 보면 “「단전 ...

      • KCI등재후보

        Fabric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i3N4/SiC/TiAgCu multilayered nanocomposites

        임재규,Do Won Seo 한양대학교 세라믹연구소 2004 Journal of Ceramic Processing Research Vol.5 No.3

        Two-layered Si3N4/SiC nano-composites with 20 vol.% SiC have been fabricated by two-step sintering of a powder mixture of α-Si3N4 and carbon powder with a mean size of 13 nm, and 5 wt.% Y2O3. Nano- sized SiC particles were formed through reactions: carbon and surface SiO2 on the Si3N4 particles, and carbon and Si3N4 particles. To combine the specific advantages of nanoscale ceramics with that of metals, they are often used together within one composite component. In this study, the fabric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 nanoscale SiC layer brazed with a Ti active alloy were investigated. It was shown that, with a variation of strain rate, the joints have a bending strength of 310-380 MPa, and the deflection of the interlayer increases with increasing strain rate. The fracture types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cracks grow into the metal-brazing filler layer, the ceramic-brazing filler layer or inside the ceramic.

      • SCOPUSKCI등재

        저변형률시험법에 의한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응력부식균열에 관한 연구

        임재규,최태수,Lim, Jae-Gyu,Choi, Tae-Su 대한기계학회 1996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0 No.11

        This paper was investigation of the stres corrosion cracking(SCC) mechanism and the properties of corrosion fracture surface of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s(GFRP) produced by hand lay up(HLU) method in synthetic sea water. Test material is GFRP, that was used vinylester type epoxy acrylate resin and an unsaturated polyester as the matrix and the chopped strand mat(CSM) type E-glss fiber as the reinforcement. The slow strain rate test(SSRT) was performed on dry, wet and saturated wet specimens in sea water. Here the pH concentration of synthetic sea water was 8.2 and the strain rate is 1 x $10^{-6}$($sec^{-1}$) and test temperature ranges varied from $-60^{\circ}C$ to $80^{\circ}C$. It could be confirmed the fact that wet specimens tested at a particular test temperature ranges were appeared the eviences of SCC such as con-planar, mirror and hackle zone. Moreover, SCC of GFRP in sea water was characterised by falt fracture surfaces with only small amounts of fiber pull-out, in partial.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Cr-Mo鋼 熔接熱影響部의 破壞靭性과 熔接入熱量에 관한 硏究 II

        임재규,정세희 대한용접접합학회 1987 대한용접·접합학회지 Vol.5 No.2

        Post weld heat treatment (PWHT) is carried out to increase the fracture toughness in heat affected zone(HAZ) and remove the residual stress. There occur some problems such as toughness decreement and stress relief cracking(SRC) in the coarse grained HAZ subjected to the effect of tempering treatment. Especially, embitterment of structure directly relates to the mode of fracture and is appeared as the difference of fracture surface, that is, grain boundary failure. Therefore, in this paper, PWHT was carried out under the stress of 0, 10, 20 and $30kg/cm^2$ to simulate residual stress in HAZ welded by heat input of 10, 30 and 40KJ/cm. Applied stress in weld HAZ during PWHT assisted precipitin of over saturated alloying element in the structure, and grain boundary failure according to welding heat input didn't almost appear at the heat input of 10 KJ/cm, but it appeared from being the applied stress of $30kg/cm^2$ at $30KJ/cm and 20kg/mm^2$ at 40KJ/c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