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LonWorks 네트워크 상의 ANSI/EIA709.1 패킷해석을 위한 프로토콜 분석기의 설계 및 구현

        임일영(Il Young Im),최기상(Gi Sang Choi),최기홍(Gi Heung Choi) 대한전기학회 2007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7 No.4

        Use of intelligent devices that work on the ANSI/EIA 709.1 protocol is increasing. In this study an ANSI/EIA 709.1 protocol analyzer that can monitor and analyze the packets on LonWorks network is designed and developed. The device is based on TMS320LF2407A processor for decoding data packets, and uses XScale processor for sending data to the application program on PC. The application program has various analysis features as well as basic monitoring function. The developed device can be used for debugging purposes in development of any kind of Lon Works devices, and also it is useful in maintenance of LonWorks network or LonWorks devices.

      • KCI등재

        한국과 미국 대학의 가정교육과 교과목 비교 연구

        임일영,윤인경 한국 가정과 교육 학회 199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subject matters opened on Dept ofHome Economics Education in Korea and U.S.A. For this study, 17 undergraduate catalog and college course guidelines of Korea and the 15 undergraduate catalog and course guidelines of U.S.A. were collected. Collected materia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thiscomparision and analysis, classified the subject matters as three steps based on these dat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rithmetic mean, percentage, frequenc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ings; 1. The number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relative subject matters opened in Korea is 10% below, and U.S.A.'s is 20∼30%. The ratio of U.S.A. is higher than that of Korea. 2. The domain of clothes & textiles and foods and nutrition is 50% i8n Korea, So, There is unbalance in Korea. 3. U.S.A. oftened various names of subject maters by characteristics more than in Korea.

      • KCI등재

        중등 가정과 1급 정교사 자격 연수 프로그램운영 실태 분석 및 연수 참여자의 인식

        임일영(Lim Il-Young),권리라(Kweon Li-Ra),이혜숙(Lee Hye-Suk),박미진(Park Mi-Jin),류상희(Ryu Sang-Hee)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가정과 1급 정교사 자격 연수 프로그램의 발전적 운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2000년 이후부터 실시되었던 6년간의 가정과 1급 정교사 자격 연수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연수에 참여한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연수 전반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 사항을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내용은 연수자의 일반적 사항, 참여한 연수에 대한 만족도, 자격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사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 Win ver 10.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카이검증, t-검증, 그리고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1급 정교사 자격 연수는 최근 6년간 5개 연수 기관에서 총 10회 실시되었다. 개설된 전공 영역의 과목뿐만 아니라 강좌 수(11개~29개)와 배정 시간(111시간~136시간)이 연수 기관 및 동일 기관의 연수 실시 년도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나타났다. 교사의 요구가 가장 높았던 교과교육에 대한 교과목(1개~7개) 개설 역시 차이가 크다. 이것은 연수기관 및 동일 기관의 연수 실시 년도에 따라 자격연수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의 편차가 심한 것은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수행 담당자가 상이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현직 교육을 통한 가정과 교사의 질적 수준 유지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표준화된 자격연수 프로그램 개발 주체가 있어야 할 것이며, 이 주체는 가능한 한 연수 참여자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 및 수행 그리고 지속적인 평가로 프로그램의 발전을 꾀해야 할 것이라고 본다. 둘째, 연수에 대한 만족도는 자격 연수 일반, 내용, 구성, 방법, 평가의 5개 영역으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5점 만점에 최저 3.08점에서 최고 3.72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수 내용을 잘 반영하지 못한 평가 내용 및 평가 방법(3.08)에 대하여 가장 만족하지 않았다. 셋째, 연수에 대한 요구는 가정과 교육 전문가에 의한 교육과정 편성과 현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교과 교육 영역에 대한 교과목 개설이 있었다. 특히 교과 교육 영역의 가정과 교수 학습 방법과 교과 내용 영역에서의 인간 발달과 가족관계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각 영역별로 요구가 높은 단원은 식생활에서는 식생활 관리, 의생활에서는 합리적인 의복 선택, 주생활에서는 새로운 주거문화, 인간발달과 가족 관계에서는 가족 문제, 자원관리와 소비자에서는 청소년과 소비생활이었다. 이외에도 학급당 26~30명 편성, 현장 학습으로 수업 진행, 수업 시 이론과 실습의 3:1 비율 운영, 절대 평가에 의한 합격여부 판정 등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따라서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고 교사의 현장 요구를 적극 수용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연수자의 일반적 특성 변인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수 기관이 유의미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즉, 어느 연수 기관에서 연수를 받았느냐에 따라 연수에 대한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났다(p<.05). 즉 교과교육을 가장 많이 개설하고 운영하였던 기관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현직 교사들의 요구가 많았던 교과교육에 대한 교과 개설이 확대된 표준화된 자격연수 프로그램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resources to the first-grade Home Economics Regular Teacher Qualification Program (FGHERTQP) in order to improve its operation plans. For the study, the three methods were carried out: an analysis on the curricula of FGHERTQP over six years since 2000, a questionnaire asking their satisfaction degrees and needs on the programs which was answered by the home economics teachers who were the participants of FGHERTQP, and several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a descriptive-test, a X²?test, a t-test, and one way ANOVA by using SPSS Win ver 10.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FGHERTQP has been operated ten times by five training centers during resent six years. Subject matters (1~7), whole numbers of lectures (11~29), and their allotted working hours (111~136) vary with individual training centers and operation years. Secondly, when using 5 point likert scales, Contents and Methods of evaluation marked 3.08 which were the lowest scores, and Qualification Training in General marked 3.72 which was the highest score among five fields of Qualification Training in General, Contents, Organizations, Methods and Evaluation. The overall scores were low. Thirdly, in needs analysis on offering subject matters, the participants wanted to study the fiel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more than that of subject contents. Looking about the highest needs classified by domains, Food Principles & Meal Management showed the highest in Foods. And Consumer Issues in Clothing & Textiles in Textiles, Upcoming Housing Cultures in Housing, Family Relationship in Child Development & Family Relationship, Juveniles and their daily life as a consumer in Family & Consumer Resources Management. Fourthly, training centers lectures availabl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degre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 variations of the participants. That is, as a training center offers more lectures in the field of subject education than those of subject contents, the participants showed higher satisfaction degrees (p<.05).

      • KCI등재

        중등학교 주생활 교육 관련연구 내용분석

        박미진,이종희,조재순,유인영,임일영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Housing Studie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 published in master's or doctorial theses and journals since 1985. The 24 research papers were analyzed by the type and time of publication, research subjects, data collecting methods, respondents & sample size, and statistical methods. The data were presented by tables with frequencies.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Housing educational research has been done as a type of theses and the number of published papers on Housing has been increased in somewhat. Over time there were two main theme of Housing educational research: general perception of housing and teachinglearning plans. Research methods, respondents and sample size, and statistical methods were obviously differed by the two research theme of Housing educational studies. This research suggested to broaden the research subjects as well as research methods beside to increase the number of studies on Housing area in Home Economics Education. 우리나라에서 중등학교 주생활 단원에 대한 연구 발표는 1985년에 시작하여 1989년 한국가정과교육학회와 1990년 주거학회지가 창간되면서 본격화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1985년부터 2006년까지 발표된 주생활 교육 관련 연구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주생활 교육 연구의 현황과 나아갈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1985년이후 최근까지 발표된 석박사학위논문, 연구 보고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생활과학학회지, 한국주거학회지, 대학논총 등에 게재된 연구와 논문 중에서 중등학교 주생활 단원만을 독립적으로 연구한 것으로 한정하였다. 기술가정교과 연구 중의 일부로 주생활단원이 포함되어 있는 연구나 논문 형식을 갖추지 않은 연구 자료는 제외하여 총 24편을 선별하였다. 24편 중 주생활교육 논문 14편과 주생활교수학습관련 논문 10편으로 나누어 내용분석 하였으며, 세부적인 항목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빈도와 백분율 등의 통계를 적용하였다.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주생활교육연구는 1985년 이후 발표되기 시작하여 학회지 발표 논문과 학위논문을 합쳐 24편에 불과하였으며, 학위논문의 경우 한국교원대에서 집중적으로 발표되고 있어 연구가 질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가정과교육을 연구하고 있는 대학을 중심으로 양적으로 증가될 필요가 있겠다.둘째, 연구주제는 주로 실태와 인식, 자료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로 대부분 두 주제로 다루고 있었다. 연구문제 선정 시 교육과정, 교육평가, 교사교육, 장학, 실험실습 등 연구영역과 주제가 다양화될 필요가 있겠다.셋째, 연구 방법은 조사연구가 대부분이었고 질적연구는 1편에 불과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사례연구, 질적 연구, 문헌 연구 등 연구 방법을 다양하게 확대할 필요가 있겠다.넷째, 통계처리 방법은 주로 빈도와 백분율, t-검증, ANOVA 등 단순통계를 활용한 경우가 많았다. 심층적이고 종합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고급 통계 방법을 사용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해 볼 필요가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