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姙娠月齡에 따른 人胎盤의 成分 (Phosphates Fractionation 및 Transaimnase 活性)의 變動에 關하여

        林永善 中央醫學社 1963 中央醫學 Vol.5 No.6

        One hundred and sixteen human placenta(from the 2nd month to full term)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acid soluble phosphorus, lipid-phosphorus, protein phosphorus, nucleic acid (RNA & DNA) phosphorus and the activities of transaminase(GOT & GPT). The following results ware obtained : 1st Mid. Last (Trimester) 1. Acid soluble-P 29. 5 23. 0 52. 6 mg/100g wet tissue 2. Lipid-P 28.6 27. 6 35.6 mg/100g wet tissue 3. RNA-P 26. 7 23. 0 23.4 mg/100g wet tissue 4. DNA-P 19. 7 23. 0 29. 9 mg/100g wet tissue 5. Protein-P 13. 7 12. 1 13. 9 mg/100g wet tissue 6. GOT 5880 4523 2942 unit/g wet tissue 7. GPT 3757 3187 1957 unit/g wet tissu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Acid soluble-P of human placenta was 31. 8 mg per 100g of wet tissues in the 2nd month, 61. 9mg in the 10moth(94.7%a increased). 2. Lipid- P of human placenta was 28. 2 mg in the 2nd month, 41. 9mg in the 10th month (48.6 % increased). 3. RNA-P of human placenta was 29. 6 nag in the 2nd month, 22. 9mg in the 10th month (22.6 % decreased) . 4. DNA-P of human placenta was 19.3mg in the 2nd month, 33.4mg in the 10th month (73. 1% increased). RNA-P/DNA-P ratio was 1.53 in the 2nd month, 0.67 in the 10th month. 5. Protein-P of human placenta was 12-16mg, nothing any noticiable changes, during the gestational course. 6. GOT and GPT activities were observed of decreasing tendency from the 2nd month to the 10th month. GOT was 6660 units per gram of wet tissues in the 2nd month, 2325 units in the 10th

      • KCI등재

        손가락 짚어 읽기가 유아의 영어 읽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음소와 글자인지를 중심으로

        임영선,김수정 한국언어과학회 2010 언어과학 Vol.17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finger-point reading on preschoolers' phonemic awareness and word recognition in terms of 7-year-old Korean children learning English. Finger-pointing was considered a helpful method for word recognition and phonemic awareness in early stages of reading. Researches on finger-pointing have been conducted on early learners of a mother tongue. We extend finger-point reading to a foreign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and examine whether it also can be helpful to young ESL learners to increase word recognition and phonemic awareness.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two kindergarten classes of similar literacy ability. For the experimental group, finger-point reading was applied based on the Balanced Approach (Honig 1996; Kuccer 1998; Pressly 1998); the control group was administered without finger-point reading. The results show that finger-point reading i)is more effective for letter recognition than normal reading; ii)has a more positive influence on voice to print matching; iii)facilitates the ability to remember specific words or letters from the text. To incorporate the suggestions implied by the findings of this study, teachers in balanced literacy classrooms should incorporate activities such as shared reading and subsequent finger-point reading, and ensure that there is a good balance between direct instruction and proficiency in associated skills

      • KCI등재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확충 방안연구

        임영선,이원장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0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0 No.-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인 모자가정의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살펴보고, 그 요인들에 의한 요인들과의 관계와 그것들이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모자 가정의 사회적 적응을 증대시키기 위한 정책과 방법들을 연구 분석한 것이다. 사회 경제적 취약 계층의 여성 가구주 문제를 제도적 측면, 사회적 측면, 그리고 인적측면으로 구분하였다. 제도적 측면에서는 모자복지법과 국민기초생활보호 제도를 분석하여 공공정책 수혜 과정의 문제점과, 사회적 측면으로는 모자가정에 대한 사회의 편견과 가구주의 부재로 인한 경제적 부담 및 정서적 요인을, 그리고 인적 측면에서는 Olson 등의 가족체계 이론을 토대로 저소득 여성 가구주의 사회적 적응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저소득 모자가정의 가족 체계가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 하였다. 본 논문의 사회 경제적 취약 계층의 복지확충을 위한 정책적 제언에 목적을 두고 있으므로 여성 가구주의 사회적 적응을 위한 모자복지법과 국민 기초 생활 보호법 등 기존 보호 제도에 대한 내용에 한정하였다. 가족 체계유형을 살펴본 결과 중간 범위가족이 42.1%, 균형가족 31.5%, 극단가족 26.5%로 나타났으며, 균형 가족이 사회적 불리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가족 체계임이 밝혀졌다. 균형가족은 개인적 충족감과 사회적 만족감은 물론 가족간 의사소통도 원활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기에 처한 저소득 모자 가정이 사회적 적응을 위해서는 균형가족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중앙 정부나 지방정부에서 행해지는 복지 정책의 시행에 있어 저소득 모자 가정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등에 중점을 두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모자가정들마다 환경과 가족체계가 다르다는 점을 감안하여야 할 것이다. 중요 요소인 경제적 측면의 지원도 중요 할 것이나 그들은 자녀들의 안정적인 성장을 바라고 있다. 모자 가정은 지역과 살아온 과정, 모자가정이 된 원인, 가족 체계에 따라 지원의 방법이 다양해 질 수 있기 때문에 지역사회의 동원 가능한 자원과 연계하여 기초생활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의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고려시대 교방(敎坊)에 대한 재고찰

        임영선 국립국악원 2019 국악원논문집 Vol.39 No.-

        In this paper, I intended to reconsider the existing view that understands Gyobang (敎坊) in the Goryeo period only about performing Daegok (大曲) by female court musicians (女妓). In addition, I attempted to verify whether Gyobang, which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in previous studies, could be regarded as a musical institution in the Goryeo dynasty by examining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宋史 (History of Song dynasty), 高麗史 (History of Goryeo), and 高麗圖經 (Illustrated Book on Goryeo). Results show that Gyobang performed music in order of rituals such as the court banquet in Daekwanjeon (大觀殿宴群臣), the dynastic Buddhist Lantern Festival (燃燈會), and the assembly of the Eight Commandments (八關會), and they also performed Congratulatory Words (口號致語). Additionally, the court musicians of Gyobang consisted of guardians with the awe-inspiring deportment (衛仗), and they played drumming and blowing music (鼓吹) when a king marched outside of the court. In addition, Gyobang was not a separate institution from Daeakseo (大樂署) or Gwanhyeonbang(管絃坊), but a group distinguished from other musicians in that it had expertise in Yeonak (燕樂) of the Song Dynasty (宋). In the Joseon period, the meaning of Gyobang was changed. The court musicians of Gyobang not only referred to the musicians who were experts in the entertainment music of Chinese origin (唐樂), but also the musicians who were expert in the indigenous music (鄕樂). On the other hand, the custom of Gyobang-gayo (敎坊歌謠) continued and Gyobang-gayo was selected and listed as one of the contemporary Joseon court dances (時用鄕樂呈才) in The Guide to the Study of Music (樂學軌範). 본고는 여기(女妓)의 대곡(大曲) 연행에 한정하여 고려의 교방을 이해하는 기존의 견해를 재고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선행연구 간에 쟁점이었던 교방을 고려의 음악 기관으로 볼 수 있는 가에 대한 검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宋史』 및 고려시대 문헌 사료를 통해 송대 교방의 연행양상과 송-고려 간의 음악 교류를 살펴보고, 『高麗史』를 중심으로 고려의 의례에서 교방이 연행한 양상을 검토하였다. 먼저 송나라의 교방은 여악(女樂)뿐 아니라 소아대(小兒隊)·고취부(鼓吹部)·백희(百戱)·여제자(女弟子) 등이 소속되어 연악(燕樂)을 총괄하는 기관이었다. 이러한 송의 교방은 고려와의 지속적인 음악 교류를 바탕으로 고려의 교방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고려 교방의 연행 집단·연행 종목·복식 등이 송 교방과 상당히 유사하다는 점을 통해 확인된다. 다음으로, 고려의 의례 중에 대관전연군신·연등회·팔관회, 세 개의 의례에서 교방이 주악을 담당하였는데, 이들 의례에서 교방의 무대(舞隊)가 대곡을 연행한 것뿐 아니라 교방악관이 왕의 입장·거잔(擧盞) 등의 절차에서 음악을 연주하였으며, 구호와 치어를 올리는 역할도 담당하였다. 또한 왕의 행행(行幸)을 수행하는 모든 종류의 위장(衛仗)에 교방악관이 구성되어 왕의 출궁 및 환궁 때에 고취를 연주하였다. 『高麗史』에서는 교방악관과 양부악관을 동일한 대상으로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교방은 양부악, 즉 대악서·관현방과 구분되는 별도의 음악 기관이 아니며 교방악관은 대악서와 관현방에 소속된 악관이라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럼에도 교방이라 특정한 것에는 교방이 다른 악인과 구분되는 전문성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으로 생각되는데, 이 전문성이란 고려 교방의 형성과 연행에 큰 영향을 준 송 교방의 음악을 연행에 있는 것에 있다고 생각된다. 고려 교방이 연행한 대곡, 치어 및 구호, 고취 등이 모두 송 교방이 담당한 연악의 범주에 들어간다는 점은 고려 교방의 전문성에 대한 해석을 뒷받침한다. 결론적으로 교방은 여기의 대곡 연행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대관전연군신·연등회·팔관회에서 의례 절차에 따른 주악, 치어와 구호, 왕의 행행에서 고취 연주에 이르는 광범위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또한 교방은 대악서 및 관현방과 별도의 음악 기관이 아니라 송 연악에 전문성을 가졌다는 점에서 다른 악인들과 구분되는 집단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고려시대 교방은 조선 건국 후 그 지칭 대상에서 변모양상이 확인되는데, 당악기뿐 아니라 향악기를 담당한 악공까지 교방악공이라고 부르거나, 지방의 여기들을 관리하는 기관을 교방이라 하는 사례가 확인된다. 반면에 고려 교방의 관습이 이어지는 양상도 보이는데, 왕의 환궁 때에 교방이 가요를 바치던 공민왕대의 관습이 이어서 『國朝五禮儀』 부묘의 중 거가환궁에 교방이 가요를 올리는 절차가 포함되었으며, 『樂學軌範』에도 향악정재 중 하나로 <교방가요>가 수록되었다.

      • KCI등재

        조선시대 등가(登歌)와 전상악(殿上樂)

        임영선 국립국악원 2017 국악원논문집 Vol.36 No.-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differences between deungga and Jeonsangak, which have been regarded as the same orchestras in the past. To this end, it examined the origin of both deungga and jeonsangak through the Chinese classics and historical documents of Chinese. Also it scrutinized the operation of the two orchestras in Joseon dynasty by investigating historical documents. The first written reference to the deungga appears in the Confucian classics such as Sŏgyŏng and jurye. It mainly consisted of only singer, geum and seul. Since Sui Dynasty, it had started to include of Po and Juk, which were placed below stairs. As a result, deungga had included both wind instruments and  string instruments after that period. Deungga was brought into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eriod of Koryŏ dynasty. Deungga was designated as a court orchestra after depth discussions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On the other hand, jeonsangak is a orchestra designed in the Joseon Dynasty which can not be found in the Chinese historical documents. In the ancestral rites of Joseon dynasty, the earliest deungga was modeled on the deungga of the ancients Chinese, and geum, seul, and singer were centered and po and juk was excluded. Since the reign of King Sungjong, deungga of Abujerye had included po and juk, and deungga of Sogbujerye had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for court rituals until the late period of Joseon. Jeonsangak was a orchestra for Wonmyojerye (Royal’s private ancestral shrine), which was lower in position than national rites such as Chongmyojerye or Sajikjerye. It was excluded of jong and gyeong and mainly consisted of instruments of dangak and played sogak, not aak. When it comes to court banquet music of Joseon dynasty, the early type of deungga was recorded at Sejongsillok Orye Karye. It is a form po and juk added to the deungga of gillye, which was the result of referring to the deungga of Sui Dynasty. Deungga consisted of only instruments of aak, played music of aak, sang akjang by singers, and accompanied ilmu. This deungga was set at the period of only King Sejong,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when aak was used as banquet music. In the banquets of the other period, jeonsangak was set and played sogak. A comprehensive view of the documents during the early and the late period of Joseon, jeonsangak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deungga by several facts. First of all, jeonsangak is composed of instruments of sogak, not aak. Secondly, jeonsangak accompanies jeongjae not ilmu. Thirdly, jeonsangak is set up behind of dancers, so it is farther from royal seats than deungga. This distinction has continued until the reign of King Jeongjo, but after King Sukjong’s rule, jeonsangak was also called deungga and the name of the band was mixed. All in all, distinction between jeonsangak and deungga became ambiguous after the reign of Sukjong, but these two orchestras were clearly distinguished by the reign of King Jeongjo. According to Akhakkwebeom,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of music treatises published in the early Joseon, euigwe of Yeongjo period and Chungwantonggo, deungga and jeonsangak were clearly distinct. Therefore, it make more explicit understanding about Joseon court orchestras to distinguish deungga from jeonsangak. 본 논문은 기존에 동일한 것으로 간주되어온 등가와 전상악의 정체와 양자 간의 차이점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경서(經書)와 사서(史書)를 통해 등가와 전상악의 연원을 살펴보고, 조선 전기 및 후기 문헌을 통해 조선조 두 악대의 운용에 대해 고찰하였다. 등가는 중국 상고시대 경서로부터 연원을 찾을 수 있으며 본래 노래와 금․슬을 중심으로 편성되었으나 수대 이후로 계단 아래에 포(匏)․죽(竹)을 배치하기 시작하여 현악기와 관악기가 모두 포함되었다. 이러한 등가 제도는 고려조에 유입되었고 조선 초기 심도 있는 논의 과정을 거쳐 궁중의례의 악제로 제정되었다. 반면 전상악은 중국 문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조선조에 고안된 악대이다. 조선조 제례에 있어 『世宗實錄』 五禮 吉禮의 등가는 상고시대 제도를 본받아 금슬과 가자(歌者)가 중심을 이루며 포죽의 악기는 없었다. 성종대부터는 아부 제례 등가에 포죽이 포함되었고 속부 제례 등가가 마련되어 조선 후기까지 지속되었다. 전상악은 사직․종묘와 같은 국가적 제례보다 격이 낮은 원묘 제례의 당상 악대이며 의례의 격을 높이는 종경 등의 악기가 배제되었고 당악기 위주로 구성되어 속악만을 연주하였다. 조선조 연례에 있어 등가는 『世宗實錄』 五禮 嘉禮에서 처음 확인되는데 길례의 등가에 포죽이 추가된 형태이며 이는 수나라 제도를 참조한 결과이다. 이때 등가는 아악기로만 구성되어 아악을 연주하고, 가자가 악장을 부르며, 일무를 반주하였다. 이러한 등가는 예연에 아악이 사용된 세종․영조․정조 연간에만 설치되었다. 이 외의 시기에는 예연에 전상악이 설치되어 속악을 연주하였다. 조선 전기와 후기 문헌을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아악기가 아닌 속악기로 구성된 점, 일무가 아닌 정재를 반주한 점, 무(舞)의 뒤에 배치되어 등가에 비해 어좌에서 멀리 떨어진 점에서 전상악은 등가와 분명히 구분된다. 이러한 구분은 정조대까지 이어져왔으나, 숙종 이후에는 전상악을 등가라고도 지칭하여서 악대명이 혼용되었다. 비록 숙종 이후 전상악과 등가의 구분이 모호해졌으나, 조선 전기 음악의 집대성이라 여겨지는 『樂學軌範』을 비롯하여 영․정조대에 전상악과 등가를 명확히 구분하고 있으므로 양자를 구분하여 파악해야 조선조 악대 운용에 대한 보다 정확한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