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ublic Library Services for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Then and Now

        임여주 한국정보관리학회 2009 정보관리학회지 Vol.26 No.2

        This study examines and compares public library services for immigrants in the U.S. in the early 1900s and nowadays. U.S. public libraries in the early 1900s supported the Americanizing movement by opening English language classes and providing information that is essential for U.S. citizenship. Public librarians also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foreign language materials; by providing foreign language materials and developing diverse services to reach immigrants, public libraries eventually hastened assimilation processes. Despite a gap of one hundred years, the situation today is not very different. Public libraries still try hard to serve their ethnic patrons with extensive foreign- language collections and culturally diverse library programs, while still emphasizing English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청소년의 소셜 미디어 참여에 관한 연구: 유튜브 메이크업 영상의 댓글 창을 중심으로

        임여주 한국비블리아학회 2021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2 No.1

        This study analyzed YouTube beauty videos that focus on makeup for teen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main viewers of the videos are teens. Through looking at the interaction between beauty information providers and receivers, communication among information receivers, and the way people participate in comment thread, the study examined how teens engage in social media. Many teens who posted comments on YouTube beauty videos praised and envied the beauty of beauty gurus, and tried to connect with them. The comment thread shows that teens answered to each other’s questions on makeup tips, shared thoughts and experiences on issues around teen wearing makeup, which helped them build a sense of community, and broaden their views on the way of life. Also observed was power dynamics among youth, such as lecturing or verbal abuse against children and pre-teens by older teens. 본 연구는 청소년 메이크업에 관한 유튜브 동영상의 주요 시청자가 청소년이라는 가정하에 청소년 메이크업을 주제로 한 유튜브 동영상과 그에 딸린 댓글 창을 집중적으로 분석한 사례연구이다. 청소년 메이크업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이와 그 정보를 수용하는 이 사이의 상호작용, 정보를 수용하는 이들 간의 소통, 그 안에서 제기되는 논의의 내용과 토론의 방식 등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이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는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청소년 메이크업 튜토리얼 영상을 시청하고 댓글 창에 참여한 청소년들 중 상당수는 뷰티 크리에이터의 미모를 찬양하고 부러워하며 그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였다. 청소년이 작성한 댓글에 딸린 답글 타래에서는 답변과 공감 등의 소통 방식을 통해 또래와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정보 요구를 해결하였으며, 각자의 경험과 생각을 주고받으며 시야와 사고를 확장하고 있었다. 그러나, 청소년 집단 내에서 상대적 약자인 초등학생에 심각한 언어폭력이 가해지는 등 나이에 따른 힘의 불균형 문제도 나타나고 있었다.

      • KCI등재

        만화 독서 프로그램이 이주배경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과 문화 적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임여주 한국비블리아학회 2019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0 No.1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omic book reading program on Korean proficiency and acculturation of youth with immigration background, by conducting a six-month reading program with five teenager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Ten comic books were selected from <Excellent comic books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published by School Library Journal, based on the themes - that are related to the lives of youth with immigration background - and interests of participating teens. According to the literacy skills test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reading program, the participating teens’ Korean proficiency has generally improved, particularly in the areas of interpretation and vocabulary. In terms of writing, grammatically incorrect sentences, phrases, and expressions have declined. Most participants showed stable adjustment to Korean culture, but one participant who felt still insecure of her ethnic identity deeply empathized with one of the characters of the books, and shared the difficulties of living as an outsider of a society.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learned or rediscovered the joy of reading through this comic book reading program; at the end of the program, many of them expanded their interest in reading novels, books without any illustrations. 본 연구는 소수의 이주배경 청소년이 연구자와 함께 6개월간 10권의 만화책을 읽고 그에 관하여 토론하는 독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독서 프로그램의 참여가 이들의 한국어 능력과 문화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학교도서관저널 도서추천위원회에서 엮은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권하는 주제별 좋은 만화책 365권> 중 이주배경 청소년의 삶과 연관 있는 주제를 다루거나 이주배경 청소년이 높은 흥미를 보이는 만화책 열 권이 독서 프로그램의 읽기 자료로 선정되었다. 독서 프로그램 전후로 실시한 독서 능력 평가 결과, 연구 참가자들의 한국어 능력은 대체로 향상되었으며, 특히 추론력과 어휘력 부문에서 큰 상승폭을 보였다. 쓰기 영역에서는 전반적으로 비문이 줄고 문장 내에서 문법적 오류가 줄었다. 연구 참가자들은 대체로 한국 문화에 안정적으로 적응하고 있었으나, 통합적 민족정체성을 획득하지 못한 참가자의 경우 작품 속 인물과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며 문화적응의 어려움을 털어놓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참가자들은 만화책을 통하여 독서의 즐거움을 상기하였으며, 독서 프로그램이 끝날 때 쯤에는 이미지 없이 텍스트만으로 구성된 소설 형태의 읽기자료에까지 관심을 확장하게 되었다.

      • KCI등재

        어린이․청소년 대상 성교육 도서의 출판과 활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임여주 한국비블리아학회 2023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4 No.2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that examines the publication and use of sex education books for youth and considers their values and applicability to sex education for youth in the futur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book editors, sex education experts, and public librarians—those who play important roles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reading of sex education books—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articipants, parents and caregivers often rely on sex education books when they find it hard to deliver sex education to their children on their own. Sex education books are also often used by sex education experts in their classes. The research participants said many sex education books that were published in South Korea only focus on ‘the body education,’ which deals with body changes during puberty. Gender inequality is another subject that needs to be changed. The research participants agreed that a sex education book should not just be a simple medium that delivers fragments of knowledge on sexuality but a broader learning playground where children and young adults can learn independent perspectives on sexuality based on comprehensive views on life. This study suggests a guideline for sexuality education books, which will be useful for library collection development. 본 연구는 어린이․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성교육 도서의 출판과 활용 현황을 점검하고 앞으로 성교육 도서가 어린이․청소년의 성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가늠해 보는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어린이․청소년 독자가 성교육 도서에 접근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출판 편집자, 성교육 전문가, 공공도서관 사서와의 심층 면담을 진행하고, 성교육 도서에 관한 이들의 경험과 시각을 폭넓게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에 의하면 성교육 도서는 양육자가 어린이․청소년에게 직접 성교육을 실시하기 어려워할 때 쉽게 찾아 건네는 매체이며 성교육 현장에서 활용되는 교육 자료이기도 하다. 연구 참여자들은 현재 한국에 출판된 성교육 도서 중 다수가 사춘기의 신체 변화를 다루는 ‘몸 교육’에만 집중하고 있으며, 여전히 성평등하지 않은 관점을 강조하는 등 그 주제와 시각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이들은 성교육 도서가 키워드 중심의 단순한 정보 전달 매체이기보다, 인간 삶에 대한 포괄적인 시각을 바탕으로 주체적인 성을 배우는 교육의 장이기를 바랐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은 도서관에서 성교육 도서를 수서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좋은 지침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공공도서관 어린이 독서프로그램의 효과 측정 영역 개발에 관한 연구

        임여주,정연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1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8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public library reading programs for children in qualitative way and to apply the outcomes to identify areas to measure the success of library reading program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2013 Reading Books with Libraries’ program and adults who were in charge of managing the program. Observations on the program were also conducted. The findings indicate that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2013 Reading Books with Libraries’ program positively changed in various aspects. Selected areas to measure the success of library reading programs include: reading behavior; attitude to books; awareness of libraries and librarians; participation of library reading programs; the ability to read aloud; the ability to comprehend stories by listening; aggression; the ability to express one’s own feelings; speech ability; concentration power; and undiscovered potential. The elements that affect the success or failure of library reading programs include: librarian’s enthusiasm on running the reading program;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community child care center; age differences between child participants; running style of the instructor’s program; selection of books; child participants’ reading abilities and interests in reading; available time for free voluntary reading.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어린이 대상 독서프로그램의 효과를 정성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독서프로그램의 성과 측정 영역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3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에 참여하는 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어린이들, 프로그램 담당자들과 면담 및 관찰을 하였고 독서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프로그램에 참가한 어린이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독서프로그램의 효과 측정 영역이 책 읽기와 책에 대한 태도, 도서관과 사서에 대한 인식, 독서프로그램의 참여도, 소리 내어 읽는 능력, 이야기를 듣고 이해하는 능력, 공격성, 자신의 감정 표현 능력, 발표력, 집중력, 잠재력으로 나타났다. 또한 독서프로그램의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사서의 적극적인 노력, 지역아동센터의 환경, 학년 구성, 강사의 수업 구성 방식, 독서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책의 선정, 독서프로그램 참가 어린이의 독서능력 및 독서에 대한 관심, 자유시간의 제공 여부를 들 수 있었다.

      • KCI등재

        어린이․청소년 대상 성교육 도서의 현황 분석 연구

        임여주 한국비블리아학회 202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3 No.1

        This study analyzed the 77 most popular sexuality education books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published in Korea, based on various criteria, including subject matters, format, implied readers, and author’s occupational background. Among the key topics of the International technical guidance on sexuality education developed by UNESCO, the most mentioned was that it is natural to have curiosity on one’s own feelings and body and that sex education books can help them learn about them. Respect on one’s own body, knowledge of sexual and reproductive organs, eggs and sperms, menstrual cycle, effect of hormones were also easily found topics from the books. The least mentioned topics were HIV/AIDS and Gender-based violence. 63.5% of the analyzed books were books with/without illustrations. Other formats include picture books, comic books, and photo-illustrated books. Publication of books aimed for particular gender started to increase from 2019. Diversity of authors’ occupation were also shown starting 2019. Further research on the role of sex education books is crucial to help all children and young adults develop their own sexuality and understand that of other people, and ultimately to live in a harmonious society. 본 연구는 국내에 출판된 어린이․청소년 성교육 도서 중 가장 널리 읽히는 도서 77권을 선정하여 도서가 포함하는 주제와 표현 방식, 주요 대상 독자의 특성, 저자의 직업 등 다양한 기준을 바탕으로 성교육 도서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유네스코 국제 성교육 가이드 2018 개정판에 제시된 주제 중 분석 대상 도서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것은 어린이․청소년이 자신의 감정과 몸에 관해 알고자 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며 책을 통해 스스로 배워나갈 수 있다는 이야기였다. 자신의 신체에 대한 존중, 성 및 재생산과 관련된 기관에 관한 지식, 난자와 정자, 월경 주기, 호르몬의 역할 등도 자주 등장하는 주제였다. 가장 언급되지 않은 주제는 HIV와 AIDS, 젠더 기반 폭력에 관한 내용이었다. 전체 도서의 63.5%가 줄글책이었으며, 그림책과 만화책, 사진 삽화 그림책 등의 형식도 있었다. 2019년을 기점으로 특정 성별의 독자를 염두에 둔 책의 출판이 활발해졌으며, 성교육 도서를 집필하는 저자의 직업군도 다양해졌다. 모든 어린이와 청소년이 자신을 충분히 탐색하고 성장할 수 있게 도우면서, 동시에 타인을 깊이 이해하고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도록 성교육 도서의 역할과 범위에 대해 더 많은 고민과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의 미디어 사용을 통한 정보 행태에 관한 연구 - 다문화 가정 자녀를 중심으로 -

        임여주 한국문헌정보학회 201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0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ormation behavior and media use of Korean young adult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their social and cultural context. 11 young adults between 13 and 18 with immigration background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provided data via daily logs about information needs, written surveys about media use, and two times of in-depth interviews. The data gathered from these diverse methods were used in analyzing the participants’ daily problem situations and attempts to satisfy information needs using media. The information needs of young adult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in their everyday lives included study, leisure, appearance, self-development, living, and career searching - study and leisure were the most needed information subjects. The young adul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actively using media to solve their information needs. For them, media was an emotional support, a tool to express their own identities, a solution that gives all the answers, and a good companion to spend time with. The proposed strategies about young adults’ media use in this study could be used in planning library services for children of familie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마주하고 있는 사회적, 문화적 요인이 그들의 일상 정보 행태, 특히 미디어 사용을 통한 정보 행태에 미치는 영향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3세에서 18세 사이의 다문화가정 청소년 11명을 대상으로 정보요구기록지, 미디어 이용에 관한 설문조사, 두 차례에 걸친 심층 면담이 실시되었으며, 이를 통해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일상 문제 상황과 미디어를 통한 정보 요구 해결의 양상을 다각적인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일상의 문제 상황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의 주제는 학업, 여가, 외모, 자기개발, 생활, 진로 등이었으며, 특히 학업과 여가에 대한 정보 요구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에 참가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정보 요구의 해결을 위해 능동적으로 미디어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들에게 미디어는 심리적 도피처이자 안식처였고, 자기표현을 위한 도구였으며, 지식과 생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해답의 책이자 여가 시간의 동반자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미디어 이용 관련 방안들은 추후 도서관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를 기획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서의 어린이청소년 문학 교육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임여주 한국비블리아학회 2023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과 대학에서 수행되는 어린이청소년 문학 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문헌정보학과의 학부와 대학원에 개설된 어린이청소년 문학 관련 교과목의 현황을 파악하고, 국내 대학 문헌정보학과에서 어린이청소년 문학 관련 교과목을 강의한 경험이 있는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과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국내 문헌정보학과 대학 학부 과정에서는 평균 1.7개의 어린이청소년 문학 관련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데, 개설 과목이 1개 이하인 학교가 전체 대학의 36%이며, 학부와 대학원 모두 개설 과목이 대체로 ‘독서지도론’에 편중되어 있었다. 설문 응답자 29명 중 자신이 담당하는 어린이청소년 문학 관련 교과목에서 ‘어린이청소년 문학’에 관한 내용을 가르친다고 응답한 이는 24명(83%)이었다. 교수자들이 수업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장르는 그림책이었으며, 적은 시간을 할애하는 장르는 SF, 판타지, 만화 등 다양했다. 상대적으로 소홀한 장르가 있을 수밖에 없는 가장 큰 이유는 수업 시간이 부족하다는 것이었다. 부족한 수업 시간은 어린이청소년 문학을 가르치며 느끼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 지적되기도 했다. 설문 응답자 중에는 스스로 어린이청소년 문학에 대한 이해 역량을 갖고 있으면서도 어린이청소년 문학의 전문가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이들이 일부 존재했는데, 면담 대상자들은 어린이청소년 문학과 관련한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강점을 스스로 인정하지 못하는 분위기를 안타까워했다. 면담 대상자 모두와 일부 설문 응답자들은 문헌정보학과에서의 어린이청소년 문학 교육이 현장 중심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교수자들은 토론, 스토리텔링 실습, 리뷰 작성 등 다양한 교수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졸업 후 실제 도서관에서 어린이청소년 서비스를 제공할 때 도움이 되는 지식을 습득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of children’s and young adult literature education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LIS) departments in Korean universities. Courses related to children’s and young adult literature in 34 LIS departments in Korea were investigated, and in-depth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with professors and instructors who have experience teaching courses related to children’s and young adult literature in LIS departments. The results show there are on average 1.7 courses related to children’s and young adult literature in undergraduate programs. 36% of schools had less than one course related to children’s and young adult literature, and most of them were Reading Guidance courses. 83%(24 out of 29 people)of the survey participants said they teach children’s and young adult literature in their classes. The professors and instructors spent the most of their lecture time on picture books. They spent the minimum time on genres such as SF, Fantasy, and manhwa. Lack of time to teach so many things in short 16 weeks made them feel rushed and distressed. Some survey respondents regarded themselves as non-experts in children’s and young adult literature, even though they had competency in that field, which shows the general atmosphere in the LIS field that LIS people are not qualified enough to be experts in children’s literature. All interviewees and some survey respondents insisted children’s and young adult literature education in the LIS departments should be practical. Professors and instructors tried their best to incorporate diverse teaching methods, including discussions, storytelling, writing reviews, so their students can acquire proper knowledge on children’s and young adult library services.

      • KCI등재

        다문화 어린이 문학에 대한 독자반응 연구 - 다문화가정 어린이를 대상으로 -

        임여주,Lim, Yeojoo 한국비블리아학회 2016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7 No.1

        본 연구는 Brooks와 Browne의 '문화에 바탕을 둔 독자반응이론(Culturally Situated Reader Response Theory)'에 근거하여 한국의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자신의 삶과 비슷한 이야기를 다룬 문학작품을 읽어나가며 자신의 삶을 인식하고 자아정체성을 확립해나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10세에서 16세 사이의 다문화가정 자녀 여섯 명과 세 차례에 걸쳐 네 편의 다문화 문학 텍스트를 읽었다. 연구에 사용된 텍스트는 이야기그림책 "함께 걷는 길"과 어린이소설집 "까만 달걀"에 실린 단편소설 세 편이다. 어린이들은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외국인으로서의 정체성, 한국인과 외국인 사이의 정체성, 다문화(이중문화)로서의 정체성 등 자신만의 고유한 민족정체성을 바탕으로 작품 속 등장인물의 감정에 공감하거나 작품을 통해 드러난 한국사회의 인종차별에 분노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텍스트는 어린이들이 자신을 비추어볼 수 있는 거울의 역할을 하여 어린이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자신의 정체성에 대하여 고민하고 재구성하며, 숨겨왔던 자신의 이야기를 꺼내놓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었다. 어린이들은 텍스트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의 무력함과 밝지 않은 결말에 불만을 표했으며, 보다 긍정적인 성향의 다문화 배경 주인공이 등장하는 이야기와 다문화가정 어린이와 선주민 한국인 어린이가 평화롭게 어울리는 이야기를 책에서 읽을 수 있기를 기대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readers' responses of children of familie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on children's literature that describes similar life experiences with the readers, based on Brooks & Browne's Culturally Situated Reader Response Theory. Six children between 10 and 16 met the researcher three times each, and read along four different texts about multiculturalism in Korea. The texts include On the Road Together, a picture book, and three short stories in The Black Egg. Participating children showed various ethnic identities - identity as a Korean; identity as a foreigner; identity between a Korean and a foreigner; identity as a child of a multicultural (bicultural) family. The children empathized with the characters or showed their frustrations against racism portrayed in the texts. The four texts used in this study worked as a mirror that reflects each child's own self, and further allowed the children to contemplate their own identities and speak out about their deepest thoughts and feelings. The children were dissatisfied with the main characters' powerlessness and depressing endings of the stories. They wanted the character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to be positive and bright, and expected stories about peaceful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of familie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and children with non-immigration background.

      • KCI등재

        어린이·청소년책에 등장하는 이주배경 등장인물의 비중과 그 의미 - 2000년 이후 출간된 작품을 대상으로 -

        임여주,Lim, Yeojoo 한국비블리아학회 2020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1 No.1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한국에서 출판된 어린이·청소년책 중 이주배경을 가진 등장인물이 나오는 책의 비중을 알아보고, 어린이·청소년책에서 이주배경을 가진 이들이 어떤 방식으로 표현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행복한아침독서에서 2005년부터 2017년까지 발행한 추천도서목록에 실린 도서 중 영유아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문학 분야의 도서 3,214권을 분석한 결과, 약 1%에 해당하는 32권만이 이주배경 등장인물을 포함하고 있었다. 32권 중 23권은 계몽적이며 사회고발적인 내용을 담고 있었고, 4권은 한국 문화로의 통합을 시도하는 내용, 5권은 서로 다른 문화를 그 자체로 존중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주배경 등장인물의 출신/배경 국가가 한국에 비해 경제적 수준이 낮은 경우에는 작품의 주요 갈등이 인종차별, 학교폭력, 외국인 부모에 대한 반감,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한국인 사업주의 횡포, 체류기간이 만료된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폭력적인 단속 등에 집중된 반면, 이주배경 등장인물의 출신/배경 국가가 한국에 비해 경제적 수준이 높거나 이주배경 등장인물의 인종이 백인 혹은 백인 혼혈인 경우에는 장래희망이나 개인적 고민이 작품의 중심 메시지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32권 중 작가 자신이 이주배경을 가진 경우는 단 한 건 뿐이었다. This study analyzed Korean children's books that include ethnically and racially diverse characters, focusing on representation of ethnic minority and cultural sensitivity. Drawing from fiction recommendations by Happy Morning Reading from 2005 to 2017, only 32 books out of 3,214 books, less than 1%, include people with racially and ethnically diverse background. Among the 32 books, 23 featured educative messages inspired by the belief of social justice; four could be categorized as so-called 'melting pot' books, five depicted stories featuring characters that respect different cultures from their own. The issue tackled in the stories differed with the economical standing of the character's country of origin. When a character or her/his parent is from a developing country, the main issues of the book were racial discrimination, bullying, hostility against foreign-born parents, or harsh experience of migrant workers. On the other hand, when a character or her/his parent is from a developed country, the plots often surround the character's hopes, wishes, or personal worries. Only one book was illustrated by a person with immigration background; the others were all written and illustrated by Koreans with no immigration backgr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