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정 내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 주관적 지각 비교연구

        임아영,최명훈,유소이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24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Vol.35 No.2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three dimensions of motivationopportunity-ability (MOA), as well as purchasing behavior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household food waste disposal behavior. We utilized raw data from the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2022 conducte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for analysis. A total of 1,303 primary food purchasers who provided responses indicating whether they disposed of a large or small amount of food waste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analysis revealed that factors including motivation, opportunity, ability, and demography influenced both the objective disposal amount and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food waste disposal. In add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groups (accurate perception, underestimation, overestimation) based on the alignment between the objective disposal amount of food waste and subjective perception. These differences were evident in the food purchasing behavior, food waste disposal method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ing the underestimation or overestimation groups differed from those influencing the accurate perception group.

      • KCI등재

        자기보고 커플관계 다름 수용 태도 및 파트너의 다름 수용 태도에 대한 지각과 커플관계 질의 관계

        임아영,이훈진 한국건강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self-reported Acceptance for Differences(AD) and perception of partners’ AD on the quality of couples’ relationship, and explored perceptual accuracy and bias in the perception of partners’ AD in a sample of 200 couples. The actor effects as well as partner effects of self-reported AD, as well as the perception of partners’ AD on couple relationship quality, were found among men and women. The actor effect was greater than the partner effect. Additionally, the Truth and Bias (T&B) model was administer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self-reported AD, as well as the perception of partners’ AD. Results indicate a perceptual similarity bias, as well as a perceptual accuracy in men and women. The gender difference in perceptual accuracy was insignificant, and males showed greater bias than females, in perceptual similarity bias. Negative directional bias was found only in wome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고 커플관계 다름 수용 태도와 파트너의 다름 수용 태도에 대한 지각이 자기 및 상대방의 커플관계 질에 미치는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를 검증하고, 파트너의 다름 수용 태도를 지각할 때 나타나는 지각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200쌍의 미혼 커플과 부부를 대상으로 커플관계 다름 수용 척도에 대한 이자간 평정을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남녀 모두 자신의 다름 수용 태도가 자신의 커플관계 질에 미치는 자기효과가 파트너의 다름 수용 태도가 자신의 커플관계 질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파트너의 다름 수용 태도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신의 커플관계 질을 높게 보고했으며, 파트너의 다름 수용 태도에 대한 자신의 지각이 자신의 커플관계 질에 미치는 자기효과가 파트너의 지각이 자신의 커플관계 질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보다 컸다. 이어서 파트너의 다름 수용 태도 지각에 있어서 나타나는 정확성과 편향을 조사한 결과, 남녀 모두 자신의 다름 수용 태도가 높을수록 파트너의 다름 수용 태도를 높게 지각하는 유사성 편향을 보였으며, 파트너의 자기보고와 일치하는 방향으로 파트너의 다름 수용 태도를 평정하는 정확성을 보였다. 지각의 정확성에서 성차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지각의 유사성 편향은 여성보다 남성에서 크게 나타났고, 파트너의 자기보고 다름 수용 점수보다 낮게 평정하는 부정적 지향성 편향은 여성에게서만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F-30 : Free Paper Presentation ; Relationships of Serum Heavy Metal Level with Lung Function Based on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IV-V

        임아영,김송이,김은영,정경수,강영애,박무석,김영삼,김세규,장준,정지예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3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16 No.-

        Purpose: Heavy metal exposure may contribute to increased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in the lungs, resulting in tissue destruction manifesting clinically as obstructive lung disease (OLD). We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of serum heavy metal level with lung function based in Korean population. Methods: Pooled cross-sectional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1 were used for this study. OLD was defined as an FEV1/FVC ratio <0.7. Results: Our study included 4,912 subjects in Korea. The mean lead (3.12 vs. 2.6; P<0.001) and cadmium (1.35 vs. 1.22; P<0.001)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LD group than in non-OLD group. Upon adjusted analysis for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FEV1/FVC ratio was significantly elevat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serum lead (Estimated mean, -0.0022; P=0.006) and serum cadmium (Estimated mean, -0.0046; P=0.003).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prevalence of OLD and serum lead concentrations. However, in comparison with subjects with a cadmium concentrations <0.74μg/L (lowest quartile), the odds of OL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bjects with cadmium concentrations ≥1.55μg/L (highest quartile) among smokers (OR=1.60; 95% CI 1.08-2.39). Conclusion: We demonstrate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FEV1/FVC ratio and serum lead and cadmium concentrations. The risk for OLD was related to serum cadmium concentrations.Purpose: Heavy metal exposure may contribute to increased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in the lungs, resulting in tissue destruction manifesting clinically as obstructive lung disease (OLD). We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of serum heavy metal level with lung function based in Korean population. Methods: Pooled cross-sectional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1 were used for this study. OLD was defined as an FEV1/FVC ratio <0.7. Results: Our study included 4,912 subjects in Korea. The mean lead (3.12 vs. 2.6; P<0.001) and cadmium (1.35 vs. 1.22; P<0.001)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LD group than in non-OLD group. Upon adjusted analysis for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FEV1/FVC ratio was significantly elevat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serum lead (Estimated mean, -0.0022; P=0.006) and serum cadmium (Estimated mean, -0.0046; P=0.003).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prevalence of OLD and serum lead concentrations. However, in comparison with subjects with a cadmium concentrations <0.74μg/L (lowest quartile), the odds of OL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subjects with cadmium concentrations ≥1.55μg/L (highest quartile) among smokers (OR=1.60; 95% CI 1.08-2.39). Conclusion: We demonstrate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FEV1/FVC ratio and serum lead and cadmium concentrations. The risk for OLD was related to serum cadmium concentrations.

      • KCI등재

        수도권 지역의 고해상도 WRF 모델 기반 연직 해상도 및 경계층 모수화 방안 민감도 실험

        임아영,노준우,지준범,최영진 한국지구과학회 2015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6 No.6

        The effects of vertical resolutions and planetary boundary layer (PBL) physics schemes in a numerical simulation with a very high resolution over the metropolitan area were investigated. The numerical experiments using the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 model were conducted from 0000 UTC 25 October to 0000 UTC 26 October 2013. We verified the numerical results against with six hourly observation data from the radiosonde at Seolleung, which was located in southern part of Seoul, and forty three auto weather systems in Seoul. In the experiments of vertical resolutions in low level atmosphere with 44, 50, and 60 layers, which are set to be subdivided particularly under 2 km height. The experiment in 60 layers, which has the highest vertical resolution in this study, showed relatively a clear diurnal variation of PBL heights. Especially, the difference of PBL heights and 10-meter wind fields were mainly seen in the area of high altitude lands for the experiments of vertical resolution. In the sensitivity experiment of PBL schemes such as asymmetric convective model-version 2 (ACM2), Yonsei University (YSU), and Mellow-Yamada-Janjic (MYJ) to the temperature, all three PBL schemes revealed lower temperature than observed profile from the radiosonde in the entire period. The experiments with YSU PBL and ACM2 PBL schemes show relatively less biased in comparison with the experiment of the MYJ PBL scheme. 수도권 지역의 고해상도 수치실험에 있어 연직 해상도와 대기경계층 모수화 방안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WRF 모델을 이용하여 2013년 10월 25일 0000 UTC 부터 10월 26일 0000 UTC까지 수치 적분을 수행하였다. 수치 결과는 서울 남부에 위치한 선릉지역에서 관측된 6시간 간격의 라디오존데 자료와 서울지역의 43개 자동 기상 관측소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대기 하층의 연직해상도 비교 실험은 연직 44, 50, 60개의 층으로 구성되었으며, 특히 약 2km 고도 이하의 층을 세분화하였다. 연직 해상도가 가장 높은 60개층 실험에서 대기경계층 고도의 일 변동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고, 특히 산악 지형과 같은 고지대에서는 대기경계층 고도와 10m 바람장에서 연직해상도 실험 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WRF 모델 내 ACM2, YSU, MYJ 대기경계층 모수화 방안에 따른 온도의 민감도 실험에서는 모든 실험 수행 시간대에서 수치 모델 결과가 라디오존데 관측에 비교하여 온도를 과소 모의하였다. 지상 온도는 YSU 방안과 ACM2 방안이 MYJ 방안에 비해 상대적으로 편차가 낮게 나타났다.

      • 소아 입원환자의 영양불량 검색지표 개발

        임아영,김소연,신아름,염혜선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5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학술대회집 Vol.2015 No.-

        소아환자는 성인환자 대비 영양불량 위험도가 높으며, 영양상태가 불량한 경우 재원기간의 지연 및 질환과 관련된 합병증 발생률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를 선별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S대학병원에 입원한 만 1개월 이상, 18세 이하의 소아환자(남 50명, 여 39명)를 대상으로 영양상태를 반영해 줄 수 있는 유효한 지표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소아용 영양검색 도구인 SGNA (Subjective Global Nutritional Assessment in Children)를 활용하여 well-nourished와 malnourished 두 그룹으로 대상자를 분류하고 두 그룹간 생화학적 지표, 신체 계측, 임상적 지표 등을 Penalized Logistic Regression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그 후 통계적 결과를 바탕으로 환자의 영양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Nutrition Screening Index (NSI)를 개발하였다. 식욕상태, 연령별 체중(%), 신장별 체중(%), 체중감소는 두 그룹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p<0.05), Serum albumin, cholesterol, hemoglobin등의 생화학적 지표는 두 그룹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식욕상태가 나쁜 경우, 연령별 체중(%)와 신장별 체중(%)가 90% 미만일 경우, 체중감소 가 있는 경우 영양상태가 불량할 가능성이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소아 입원환자를 위한 NSI를 개발하였으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sensitivity와 1-specificity값을 이용하여 Yoden index 가 가장 높은 지점을 optical cut-off point로 설정하였다. 그 후 Regression Coefficient값을 근거로 식욕상태, 연령별 체중(%), 신장별 체중(%), 체중감소 각각의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두어 점수화 하였으며, cut-off point 이상을 영양상태 양호군으로, cut-off point 미만을 영양불량 위험군으로 분류하는 NSI공식을 산출하였다. 식욕상태, 연령별 체중(%), 신장별 체중(%), 체중감소는 소아의 영양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지표들을 반영하여 개발한 NSI는 소아 영양불량 검색지표로 이용 가능하며, NSI를 통해 선별된 영양불량 위험군의 경우 영양상태 평가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영양중재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타 영양 검색도구와의 비교를 통하여 NSI의 타당도 검증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