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통합 교육 방법론에 기반한 테이블탑 협업 게임 디자인

        임승현(Seunghyen Im),김형년(Hyoungnyoun Kim),박지형(Ji-Hyung Park)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9 No.2

        테이블탑 게임들은 다수가 동시에 인터랙션 할 수 있는 특성을 바탕으로 사용자들 간의 사회성 및 협업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다. 특히, 아동들에 대한 교육 심리학적 모델 및 행동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테이블탑 게임은 사회성이 낮은 장애아동들의 협업 능력을 향상시키는 도구로써 쓰일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테이블탑 협업 게임들은 유사한 수준의 장애아동들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통합교육 이론에서 제시하는 인성적 및 인지적인 효과들을 반영하기가 어렵다. 통합교육 환경을 위한 교구로써 테이블탑 게임이 활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비장애아동과 장애아동 모두에게 동등한 몰입도를 보장하고 자발적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디자인 요소들이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통합교육 방법론에 기반하여 인지적 및 사회적 지수가 다른 아동들을 위한 멀티터치 테이블탑 협업게임을 디자인하고 이를 구현한다. 사용자 평가를 통해 기존 통합교육 환경에서 사용되는 게임도구와의 몰입 수준 및 상호작용 유형을 비교한다. 실험 결과, 장애아동의 자리이탈 및 이상 행동과 같은 부정적인 상호작용이 감소하였고, 아동들 간의 신체적 및 언어적 의사소통과 같은 긍정적인 상호작용 횟수가 증가하였다. 또한 게임을 수행한 아동들이 장애유무와 관계없이 높은 참여 수준과 공통 집중 시간을 보임으로써, 제안된 게임이 아동들의 몰입도를 향상시켰음을 확인하였다. Tabletop games have been applied to improve the ability of social collabor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that more than two people simultaneously interact on the tabletop. Especially, the tabletop games can be used as an educational tool for children with autism when it is implemented by considering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odels for children’s behavior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 previous collaborative games were designed for only disabled children so that it is hard to reflect cognitive and humanistic effects in inclusive education, where disabled children and non-disabled children interact in a same spatiotemporal environment. In this paper, therefore, we design a collaborative game on a multi-touch tabletop to enable spontaneous communication between disabled children and non-disabled children. Through user study, we evaluate the improvement in terms of the positive interaction and the degree of attention by comparing with a conventional collaborative game(e.g., a board game). We found that negative interaction including disabled children’s abnormal behavior decreased and positive interaction such as body gestures and verbal communications increased. In addition, the tabletop game supported high immersiveness to all children by deriving equal level of attention time including individual and joint attention. We anticipate that the proposed game design can be utilized to develop collaborative contents for people with differences on sociality and cognitive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