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재가노인 방문요양보호사의 낙상관련 대처 경험에 관한 연구

        임선영 ( Sun-young Lim ),박혜선 ( Hye-sun Park ),마예원 ( Ryewon Ma ) 대한통합의학회 2021 대한통합의학회지 Vol.9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falls among care workers caring for the elderly. Methods: The participants comprised 10 care work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0, and the data were obtain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The main interview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event of a fall, “can you tell us about your experience and how you dealt with the fall?; second, “can you tell us about your role and the role of family members or the center that manages falls that occur outside of nursing visits.”, third, “can you tell us about the difficulties in managing falls based on your experience?”, and fourth, “how are falls that occur during nursing visits managed?”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nursing care workers of falls while caring for elders in their homes, five main themes were derived. These were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t home, understanding possible emergency situations, providing caring services, minimizing physical harm, and delivering clear information. Conclusion: A significant finding of this study was that care workers who visit and provide care to elders at home confirmed the need for standard guidelines on appropriate responses in the event of a fall at home and the importance of managing emergencies arising from falls among elders at home.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emergency response education programs, such as programs on fall care among nurses and care workers who provide care to the elderly, and for enhanced understanding of the fall risk of elders who live at home.

      • SCOPUSKCI등재

        리놀레산에 의한 인체암세포의 성장 억제효과 및 암세포막 인지질 지방산 변화

        임선영(Sun-Young Lim),이숙희(Sook-Hee Rhee),이세윤(Seh-Yoon Yi),박건영(Kun-Young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6 No.4

        MG-63 골육암세포 및 AZ-521 인체 위암세포 성장에 미치는 리놀레산(LA)의 성장 억제효과와 이때 암세포막의 인지질 유리지방산 조성 변화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LA 첨가 농도 0.005%에서 MG-63 암세포와 AZ-521 암세포는 대조군에 비해 각각 54% 및 52%의 암세포 성장이 억제되었다. 또한 LA 첨가(0.01%)시 이들 암세포의 [³H] thymindine 결합능은 90% 이상이 억제되어 암세포의 DNA합성이 크게 억제되었다. 한편 LA(0.005%) 첨가시 각 암세포의 형태학적인 변형을 유발시켰으며 세포막의 인지질 지방산 조성의 변화가 관찰되었다. LA처리는 이런 세포의 형태적 변형과 함께 세포막의 인지질 중 16 : 0과 18 : 0의 지방산은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탄소수가 20 이상의 탄소수를 가지거나 불포화도가 높은 지방산(20 : 4, 22 : 6, 24 : 4)은 증가되었다. Linoleic acid(LA) was examined to evaluate its potential as a chemotherapeutic agent for MG-63 human osteosarcoma and AZ-521 gastric cancer cells. The treatment of LA(0.005% for 6 days) to the MG-63 and AZ-521 cancer cells inhibited growth of the cancer cells by 54% and 52%, respectively as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s. It also exhibited that LA with 0.01% concentration decreased the [³H] thymidine incorporation by more than 90% in the both cancer cells. In additions we observed morphological changes in MG-63 and AZ-521 cells under inverted microscope, and the changes in membrane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cancer cells when LA was added at the level of 0.005%. The treatment with LA revealed that the contents of 16 : 0 and 18 : 0 decreased significantly, but fatty acids that C numbers are more than 20 and unsaturated(20 : 4, 22 : 6, and 24 : 4) increased, concomitantly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cells were observed.

      • 학생부종합전형 지원자의 소인수 과목 이수 현황 분석

        임선영 ( Lim Sun-young ),김이지 ( Kim Yee-jee ),김효희 ( Kim Hyo-hee ),조민경 ( Cho Min-gyeong ) 경희대학교 입학전형연구센터 2020 입학전형연구 Vol.9 No.-

        본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 지원자의 소인수 과목 이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여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적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K대학교 학생부종합(네오르네상스전형)경영대학, 의과대학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소인수 과목 이수 특성, 고교유형에 따른 차이 유무, 소인수 과목 이수 여부에 따른 전형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영대학 지원자는 사회, 생활교양 교과 순으로, 의과대학 지원자는 과학, 학교자율과정 교과 순으로 소인수 과목을 많이 이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교 유형별로는 경영대학은 고교 유형에 관계 없이 사회 교과를 가장 많이 이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2순위 과목의 경우는 일반고/자공고는 영어, 자사고와 특목고에서는 체육, 생활교양 교과로 나타났다. 의과대학은 고교 유형과 관계없이 과학 교과의 소인수 과목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소인수 과목 이수 여부에 따라 합격, 불합격 전형 결과의 차이가 있는지 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영대학, 의과대학 지원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소인수 과목 이수 여부에 따라 서류평가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 보기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한 결과, 경영대학, 의과대학 지원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학생부종합전형은 과목 선택과 소인수 과목의 단순 이수 보다는 대학 수학능력 차원에서 고교 졸업자로서 기초 학력을 갖춘 가운데, 지원학과 또는 계열과 관련하여 지적 호기심을 발휘하고 의미 있는 노력과정과 성취를 보일 때 그 평가적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evaluation meaning of the comprehensive school records screening through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mall-size class subjects(SCS) taken by students who applied for the university as the comprehensive school records screening(Neo-Renaissance type) in 2020. The applicants for the business department completed the largest number of SCS regarding society and living culture. On the other hand, the SCS taken by the largest number of students who applied to the medical department were science and school autonomy course. When it comes to the type of high school, most of the business department applicants had experience at taking social studies small courses regardless of the type of high school.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econd most frequently taken SCS depending on the type of high school. The largest number of the medical department applicants, regardless of the type of high school, selected science as a SCS. According to a cross-analysis to see if the completion of a small class subjects affects the passing and failure of the screening results, both the business and medical department applicants showed that the completion of SCS had nothing to do with the result of the admission. In addition, an independent sampling t-test was conducted to see if the completion of a SCS affected the paper evaluation score, also neither business and nor medical department applicants showed any significant difference.

      • KCI등재후보

        빈티지스타일 웨딩 연회 연출 연구 -2012년 해외 아웃도어 웨딩 사례를 중심으로-

        임선영 ( Sun Young Lim ),신지윤 ( Ji Yoon Shin ),이진민 ( Jin Min Rhie )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2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27 No.-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new type of wedding design in associated with Vintage style by analyzing overseas outdoor wedding reception cases based on understanding in terms of vintage and wedding. Modern people who are exhausted by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in 21 century and rapidly changing era recognize the past in a new way. Also try to build more differentiated images to emphasize their individuality in a standardized social environment with mass production. These movements arose the nostalgia for nature and concerned for old things that represented through the style of such as vintage, ethnic, hippy etc. over the all kind of design. In this study, I chose a field of wedding as a one of kind that is the most significant event in a lifetime regardless of era and culture and analyze overseas outdoor wedding reception cases in the year 2012. As a substitute for the similar form of wedding design that is prevailed in Korea, I analyze these wedding cases that can express their individuality and to seek the artistic value of natural vintage weddings. Furthermore, to suggest the new wedding design and coordination which engage well with ecological flow.

      • KCI등재

        한국산 현미 및 율무 추출물에 의한 돌연변이 및 인체 암세포주 증식 억제 효과

        임선영(Sun-Young Lim)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0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양질의 영양소를 가진 현미 및 율무 메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및 인체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Ames test를 이용한 돌연변이 억제 실험에서 AFB1 (0.6 mg/plate)에 대해 현미 메탄올 추출물은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돌연변이 억제 효과가 증가하여 첨가농도 2.5 및 5 mg/plate일 때 각각 70% 및 76%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율무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도 첨가농도 2.5 및 5 mg/plate일 때 각각 60% 및 76%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관찰 할 수가 있었다. 직접돌연변이원인 MNNG에 대해서도 현미 및 율무 메탄올 추출물들은 첨가농도 5㎎/plate에서 각각 79% 및 69%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인체 위암세포(AGS)에 현미 메탄올 추출물을 5, 10, 20 ㎎/㎖의 농도별로 처리했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증가하였다. 율무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도 현미 메탄올 추출물과 유사하게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첨가농도 20 ㎎/㎖일 때 77%의 증식억제효과를 살펴 볼 수가 있었다. 인체 결장암세포(HT-29)의 경우에서도 이들 현미 및 율무추출물은 낮은 농도에서부터 그 억제효과가 나타나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시켰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Orysa sartiva and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on mutagenicity using Ames test and growth of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and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Both treatments of methanol extracts (5 ㎎/assay) from Orysa sartiva and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to Ames test system inhibited aflatoxin B₁ (AFB₁) induced mutagenicity by 76%. In case of N-methyl-N'-nitro-N-nitrosoguamidine (MNNG) induced mutagenicity, the methanol extracts (5 ㎎/assay) from Orysa sartiva and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showed 79% and 69% inhibitory rate, respectively and the inhibitory effect was a little stronger in Orysa sartiva Inhibi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Orysa sartiva. and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on the growth of AGS and HT-29 human cancer cells were increased as dose dependent patterns and the inhibitory effects on AGS and HT-29 cells were similar.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sumption of these cereals, which contain many nutrients with good quality, may be recommended as potent functional foods for improving health.

      • KCI등재

        인공 사육 동물 모델 시스템을 이용한 n-3 지방산 결핍이 쥐의 뇌, 망막, 간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임선영(Sun-Young L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에서는 인공 사육 모델 시스템과 인공 쥐용 분유를 이용하여 출생 직후 12시간 이내에 엄마 쥐들로부터 신생쥐를 분리하여 n-3 지방산 결핍분유와 n-3 지방산 적절분유로 3주 동안 사육한 후(이유기) 각각 장기들을 취하고 또한 성숙 쥐(15 wks)의 뇌, 망막, 간을 취하여 뇌 성장 발달 과정동안 n-3 지방산 결핍이 이들 장기들의 지방산 조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유기와 성숙기 쥐의 뇌지방산 조성은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n-3 지방산 결핍군의 경우 n-6 지방산의 함량은 높았으나 (p<0.05), 총 monounsaturated 지방산과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낮았고(p<0.05), 총 saturated 지방산의 경우는 변화가 없었다. 기대했듯이 뇌 DHA의 경우 n-3 지방산 결핍군은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이유기 때 50%, 성숙기에는 70%까지 감소하였고 반면 n-6 계열인 DPAn-6의 함량은 상당히 증가하였음을 살펴볼 수가 있었다. 이유기의 망막의 총 saturated 지방산과 총 monounsaturated 지방산에는 식이군 사이에 변화가 없었고 22:4n-6, DPAn-6와 총 n-6 지방산의 함량은 n-3 지방산 결핍군에서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p<0.05), 22:5n-3, DHA와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상당히 감소하였음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p<0.05). 성숙 쥐 망막의 지방산 조성의 경우 20:4n-6, 22:4n-6, 22:5n-6와 총 n-6 지방산의 함량은 n-3 지방산 결핍군에서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나(p<0.05), 22:5n-3, DHA와 총 n-3 지방산의 함량은 상당히 감소하였다(p<0.05). 특히 n-3 결핍군의 망막 DHA는 이유기 때 57% 감소에서 성숙기에 63%까지 감소하였다(p<0.05). 간의 경우, 이유기의 n-3 지방산 결핍군의 DHA는 65% 감소한 반면 간의 DPAn-6는 59% 증가하였다. 흥미로운 것은 이유기의 간 지방산 조성과는 대조적으로 성숙기의 n-3 지방산 결핍군의 18:2n-6, 20:3n-6, 20:4n-6와 22:4n-6 지방산 함량이 현저히 감소된 것과는 달리 DPAn-6의 함량이 n-3 지방산 적절군보다 143%까지 증가되었음 관찰할 수가 있었다(p<0.05). 이상의 장기들의 n-3 지방산 결핍군은 이유기와 성숙기에서 DPAn-6/DHA비와 n-6/n-3비 또한 n-3 지방산 적절군과 대조군에 비해 컸으나(p<0.05) DPAn-6와 DHA의 합에는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뇌 성숙 발달 과정 동안 n-3 지방산 결핍은 뇌의 DHA의 결핍을 초래하고 이러한 비정상적인 조건에서 DPAn-6의 증가를 유발하였으며 이러한 지방산 조성의 변화와 공간과 후각에 기초를 하는 기억 학습 능력 저하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앞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Docosahexaenoic acid (22:6n-3, DHA) is highly enriched in membrane of brain and retina,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an optimal function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n-3 fatty acid deficiency on rat brain, retina and liver fatty acyl composition at two different ages (3 wks and 15 wks) under DHA deficient condition. Rat pups born to dams fed a diet with 3.1% of total fatty acids as α-linolenic acid (LNA) were fed using an artificial rearing system either an n-3 deficient (n-3 Def) or n-3 adequate (n-3 Adq) diet. Both diets contained 17.1% linoleic acid (LA) but the n-3 Adq diet also contained 3.1% LNA. Rats consuming the n-3 Def diet showed a lower brain (50% in 13 wks and 70% in 15 wks, p<0.05) and retinal (57% in 13 wks and 63% in 15 wks, p<0.05) DHA than those on the n-3 Adq diet, which was largely compensated for by an increase in docosapentaenoic acid (22:5n-6, DPAn-6). In the liver of the n-3 Def group, the percentage of DHA decreased by 97% at 3 wks of age with an apparent increase in DPAn-6 relative to the n-3 Adq group (p<0.05), while there was a 65% lower liver DHA in n-3 Def group at 15 wks of age than the n-3 Adq group (p<0.05). Liver arachidonic acid (20:4n-6, AA) was increased at 3 wks of age but decreased at 15 wks of age in the n-3 Def group compared with n-3 Adq group (p<0.05). In conclusion, the replacement of DHA by DPAn-6 in brain and retina fatty acid composition may be related to the suboptimal function in spatial learning, memory and visual acuity. This artificial rearing method presents a first generation model for n-3 deficiency that is similar to the case of human nutrition that commonly employed two generation model.

      • KCI등재

        된장 메탄올 추출물의 인체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및 DNA 합성 저해 효과

        임선영(Sun-Young Lim),이숙희(Sook-Hee Rhee),박건영(Kun-Young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6

        본 연구는 된장 메탄올 추출물의 항암효과를 검토하기 위해서 다른 콩 관련 발효식품과 원재료인 콩과 밀가루의 메탄올 추출물과 비교하면서 여러 인체 암세포들의 성장 억제 실험과 DNA 합성 저해 실험을 행하였다. AGS 인체 위암세포의 경우 첨가농도 200 ㎍/mL에서 콩된장과 70% 콩된장 메탄올 추출물은 각각 80%, 78%의 저해효과를 가졌으며 청국장 메탄올 추출물은 65%, 일본의 미소 메탄올 추출물은 54%의 저해효과를 보였다. Hep 3B 인체 간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 결과에서도 콩된장과 70% 콩된장의 경우, 첨가농도 200 ㎍/mL에서 각각 77%, 73%의 저해효과를 가지는 반면, 청국장, 일본의 미소는 각각 60%, 56%의 억제효과를 보였고 콩과 콩/밀가루의 경우 각각 56%, 40%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HT-29 인체 대장암세포에서도 이상의 간암, 위암세포의 결과와 유사하게 증식억제효과를 보여 콩된장과 70% 된장 메탄올 추출물이 각각 86%, 87%의 저해효과를 나타내면서 다른 콩관련 발효식품들과 원재료 콩에 비해 큰 활성을 보였다. 또한 DNA 합성 저해 실험에서 AGS 인체 위암세포는 된장 메탄올 추출물 100 ㎍/mL, 200 ㎍/mL 투여시에는 각각 65%, 76%의 DNA 합성 저해 효과가 관찰되었고, 반면 콩의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첨가농도 100 ㎍/mL, 200 ㎍/mL 때 각각 47%, 68%의 DNA 합성 저해 효과를 가졌으며 된장의 경우보다 낮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Hep 3B 인체 간암세포는 된장 메탄올 추출물 100 ㎍/mL, 200 ㎍/mL 투여시 각각 43%, 59%의 DNA 합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로부터 된장이 다른 콩 발효식품 및 원재료 콩보다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와 DNA 합성 저해 효과를 가지는 것은 콩만으로 3개월간 발효시킨 된장의 우수성과 함께 발효과정을 거치는 동안 원재료인 콩에서는 없었던 혹은 함량이 적은 성분들이 생성되거나 증가되어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Doenjang (Korean soy paste) is one of the popular soybean based fermented foods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rowth and DNA synthesis inhibitory effect of doenjang methanol extracts on AGS human gastric adenocarcinoma cells, Hep 3B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cells and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In order to determine an anticancer effect of doenjang methanol extracts, other soybean fermented foods and original materials were compared. The treatment of doenjang methanol extracts (200 ㎍/mL) to the AGS, Hep 3B and HT-29 cancer cells inhibited the growth of cancer cells by 80%, 77% and 86%, respectively. Compared to other soybean fermented foods and original materials, doenjang methanol extracts showed the highest growth inhibitory effect on different cancer cells. In addition, doenjang methanol extracts (200 ㎍/mL) significantly inhibited DNA synthesis of AGS and Hep 3B cancer cells by 76% and 59%,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is anticancer effect of doenjang may be due to specific active compounds, which will be newly produced during soybean fermented process and not contained in soyb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