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청소년의 행복과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중심으로

        임미향,박영신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6 교육문화연구 Vol.1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trust,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 one hand with gender, grade level and academic achievement on the other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 total of 567 adolescents (302 elementary and 281 middle school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 and Kim (2006).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more likely to report higher levels of happiness and life-satisfaction than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hose students with higher academic grade report higher levels of happiness and life-satisfaction. Third, male students report higher levels of life-satisfaction than female students. Fourth, those students who hav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are more likely to trust their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Fif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more likely to report receiving greater social support from father and teac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Sixth, male students report receiving more support from father than fe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report receiving more support from friends than male students. Seventh, students with higher academic achievement are more likely to report higher levels of self-efficacy. 이 연구는 초, 중학생들이 성별 학교급별 학업성취수준별로 행복과 관련 변인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는지 분석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총 567명으로서, 초등학생이 302명, 중학생은 281명이었다. 질문지는 박영신과 김의철(2006)에 의해 제작되었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행복감과 생활만족도에서 높게 지각하였다. 둘째, 학업성취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행복감과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생활만족도에서 높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업성취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그들의 부모님, 선생님과 친구에 대한 일반적인 신뢰가 높았다. 다섯째,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아버지와 교사로부터의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여섯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아버지로부터의 지원을 더 많이 받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친구로부터의 지원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학업성취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자기효능감도 높았다.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과 부모의 삶의 질 지각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임미향,박영신,김의철 한국아동교육학회 2005 아동교육 Vol.14 No.1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초등학생과 부모를 대상으로 삶의 질 지각과 관련된 토착심리를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233명과 그들의 부모 466명이 표집되었다. 분석 결과, 가정생활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소로서, '화목한 가족관계' '경제적 여유' '여가생활' '자기조절' '교육문제'와 같은 요소들이 확인되었다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삶의 질은 '친구관계'와 '학업성취'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부모집단의 직장생활에서 삶의 질은 '경제적 요인' '인간관계' '성취감' 등에 주로 결정되었다. 직장에서 성취수준이 낮은 집단일수록 '경제적 요인'을, 성취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업무에서의 '성취감'이 중요하였다. 여가생활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로, '다양한 취미생활' '경제적 여유' '시간적 여유' '자기조절' '원만한 인간관계'가 지적되었다. 종합적인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로, 초등학생은 '화목한 가정' '여가생활' '학업성취' '자기조절' '원만한 인간관계'를 부모는 '경제적 요인' '자기조절' '여가생활' '화목한 가정'을 주로 지적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digenous psychology of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primary students and their parents. Sample were composed of 6 grade 233 primary students and their 466 parents. The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are 'harmonious family life' 'financial security' 'various hobbies' 'self-regulation' and 'education'. Within the school sett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are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quality of life at work, parents responded that the important factors that enhance or reduce the quality of life are 'financial factor' 'harmonious relations' and 'occupational achievement'. With the adult sample, those respondents with low levels of achievement report 'financial factor'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ose respondents with high levels of achievement report 'occupational achievemen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s for the leisure setting, the factors that raise quality of life are 'various hobbies' 'financial security' 'time to spare' and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 For the overall quality of life, factors that raise quality of life for students are 'harmonious family life' 'leisure activity' 'academic achievement' 'self-regulatio?and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 For parents, they are 'financial security' 'self-regulation' 'leisure activity' and 'harmonious family life'.

      • KCI등재

        대학생의 사회적 지원, 성격, 자기효능감, 학업성취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임미향,박영신,김의철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ubjective well-being among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examines influence of social support, personality and self-efficacy on subjective well-being. A total of 135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a survey that includes self-efficacy scales developed by Bandura (1995) and Park and Kim (2000), NEO-FFI (Costa & McCrae, 1992) and subjective well-being developed by Park and Kim (2005). The scales for social support were social support from parents, friends and seniors. NEO-FFI measures the following five aspects of personality: Neuroticism, 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Conscientiousness, and Agreeableness. The following scales for self-efficacy was adopted: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self-assertiveness efficacy, resiliency efficacy, relational efficacy, overcoming stress efficacy, parent-child relational efficacy and coping with stress 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cluding academic expectation of students and parents are added. The results indicate that facets of personality and self-efficacy had direct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Specially, those students who receive greater social support from parents and have higher parent-child relational efficacy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scores on subjective well-being. But students with neurotic personality are more likely to have lower scores on subjective well-being. There'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subjective well-being

      • KCI등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진단에서 손목부착형 활동기록기의 보조적 진단가치

        임미향,신홍범,이유진,이승희,원창연,이명희,이수영,정도언,Im, Mee-Hyang,Shin, Hong-Beom,Lee, Yu-Jin,Lee, Seung-Hi,Won, Chang-Yeon,Lee, Myung-Hee,Lee, Soo-Young,Jeong, Do-Un 대한수면의학회 2005 수면·정신생리 Vol.12 No.1

        목 적: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흔한 질환으로 심혈관계 합병증이나 주간 졸림증 때문에 점점 더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수면무호흡증 진단에 야간 수면다원기록법이 표준검사로 인정되고 있으나 비교적 고가의 검사비용과 검사시 각종 감지기 등을 부착하고 인위적 환경인 검사실에서 잠을 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수면다원기록법을 대치할 수 있는 약식 검사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손목부착형 활동기록기이다. 이 연구에서는 활동기록기가 수면무호흡증 진단에 어떤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수면분절의 관점에서 측정해 분석하였다. 방 법: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의심되어 서울대학교병원 수면다원검사실로 의뢰된 37명의 환자들에게 야간수면다원검사와 동시에 활동기록기를 착용시켜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체 연구대상자 37명 중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외에 주기성 사지 운동 등 다른 수면질환이 함께 진단된 10명의 환자를 제외한 2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면다원검사로 얻은 호흡장애지수(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RDI)와 활동기록기의 자료분석으로 얻은 수면분절지수(fragmentation index, FI)를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야간수면다원검사로 얻어진 총 수면시간, 호흡장애지수, 활동기록기로 산출된 수면분절지수는 각각 $401.37{\pm}57.83$분, $21.67{\pm}20.41$회/시간, $21.87{\pm}12.96$회/시간 이었다. 수면분절지수는 호흡장애지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553 p=0.003). 결 론:수면분절지수가 호흡장애지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손목부착형 활동기록기는 수면무호흡증의 진단에 보조적인 도구로 이용될 수 있으며, 수면무호흡증의 각종 치료 후 증상 변화에 대한 평가용으로는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OSAS) has drawn increasing attention as medical community has become to be aware of its co-morbidities and complications, especially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and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with accident proneness. As of now, polysomnography is the standard tool to diagnose sleep apnea and estimate the treatment validity. However, its being rather expensive and inconvenient, alternate diagnostic tools have been proposed including wrist actigraphy. So far, actigraphies have been adopted usefully to field-survey sleep apnea prevalence. In this study, we attempted in a sleep laboratory setting to assess the supplemental value of actigraphy in diagnosing OSAS. Methods: This study was done at the Division of Sleep Studies,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irty-seven clinically suspected cases of OSAS underwent the one-night polysomnography, simultaneously wearing an actigraphy on non-dominant wrist. We analyzed the data of 27 polysomnographically-proven OSAS patients (male:female 20: 7;age $47.6{\pm}12.9$ years old;age range 23 to 72 years) with no other sleep disorders. We calculated RDI (respiratory disturbance index) from the polysomnography data and FI (fragmentation index) from the actigraphy data. Pearson correlation was calculated in order to compare FI with RDI and to evaluate the supplemental diagnostic value of the actigraphy. Results: Mean total sleep time on polysomnography was $401.4{\pm}57.8\;min$ (range of 274.0 to 514.1 min). Mean RDI was $21.7{\pm}20.4/hour$. Mean FI was $21.9{\pm}13.0/hour$. RDI and FI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r=0.55, p<0.01). Conclusions: Wrist actigraphy in OSAS patients generates a comparable outcome to polysomnography, in measuring the nocturnal sleep fragmentation. The actigraphy could be used supplementally in inpatients, outpatients, and field survey subjects, if polysomnography is unavailable or impossible. In follow-ups related with nasal 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upper airway surgery, and oral appliance in OSAS patients, the actigraphy might play a more dominant role in the future.

      • KCI등재

        심상정교화와 소리합치기 전략이 학령기 지적장애아동의 한글해독능력에 미치는 효과

        임미향,이효신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한글해독이 되지 않는 학령기 지적장애아동들에게 심상정교화와 소리합치기 전략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한글해독이 되지 않는 지적장애 초등학생 3명을 대상으로,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이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기간을 두어 약 3개월간 실험하였다. 기초선, 중재, 유지의 매 회기마다 의미단어와 무의미 단어로 나누어 해독점수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상학생들의 의미단어 읽기가 향상되었다. 둘째, 대상학생들의 무의미단어 읽기가 향상되었다. 따라서, 심상정교화와 소리합치기 전략은 학령기 지적장애아동의 한글해독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학령기의 지적장애아동들에게 가장 선행되어야 할 해독의 능력에 대한 직접적인 해결책을 제시 했다는 점에서, 지적장애아동의 특성에 맞는 한글지도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현장의 교사나 부모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그림 자료 및 자세한 지도안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imagery elaboration and sound match strategy on Hangul decoding abil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of school ag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 (a) Do imagery elaboration and sound match strategy have an affect on meaning word decoding ability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of school age? ; (b) Do imagery elaboration and sound match strategy have an affect on unmeaning word decoding ability i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of school age? To solve these questions,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was done aimed at thre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he tests were given at each time in period of experiment. Data was collected divided into meaning word and unmeaning word. After analyzing, the results were shown by table and graph.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of the baseline stage, the intervention stage, the maintenance stage. During the intervention stage of twelve times, meaning and unmeaning word's reading score were indicated upward tendency and it was mainta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magery elaboration and sound match strategy are effective for meaning word reading abil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of school age. Second, imagery elaboration and sound match strategy are effective for unmeaning word reading abil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of school age. Putting all the results together, it can be concluded that imagery elaboration and sound match strategy have an effect on Hangul decoding ability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of school age.

      • KCI등재후보
      • 청소년의 행복과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중심으로

        임미향 ( Lim Mi-hyang ),박영신 ( Park Young-sh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6 교육문화연구 Vol.12 No.-

        이 연구는 초, 중학생들이 성별 학교급별 학업성취수준별로 행복과 관련 변인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는지 분석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총 567명으로서, 초등학생이 302명, 중학생은 281명이었다. 질문지는 박영신과 김의철(2006)에 의해 제작되었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행복감과 생활만족도에서 높게 지각하였다. 둘째, 학업성취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행복감과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생활만족도에서 높게 지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업성취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그들의 부모님, 선생님과 친구에 대한 일반적인 신뢰가 높았다. 다섯째, 초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아버지와 교사로부터의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여섯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아버지로부터의 지원을 더 많이 받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친구로부터의 지원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학업성취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자기효능감도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trust,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 one hand with gender, grade level and academic achievement on the other among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 total of 567 adolescents (302 elementary and 281 middle school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Park and Kim (2006).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more likely to report higher levels of happiness and life-satisfaction than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hose students with higher academic grade report higher levels of happiness and life-satisfaction. Third, male students report higher levels of life-satisfaction than female students. Fourth, those students who hav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are more likely to trust their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Fif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more likely to report receiving greater social support from father and teac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Sixth, male students report receiving more support from father than fe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report receiving more support from friends than male students. Seventh, students with higher academic achievement are more likely to report higher levels of self-efficac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반성적 저널 쓰기를 통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수업 방해행동 개선

        이효신,임미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2 No.1

        This study performed to improve class interrupting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through reflective journal writing. Two ASD children were selected and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Also, through the whole experiment term, data was collected by partial interval recording and analysed by visual inspection using analysis of means and percentage of non-overlap data(P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was modified as picture diary writing and structured, in which A4 size paper was used and three kinds of sentence were included. As a result of this study, class interrupting behaviors of subjects were obviously improved. Mean line was definitely decreased and PND of subject A was 90%, that of subject B was 80%. Two points were discussed; One was application possibility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for ASD children, and the other one was validity of this study. Use of picture, organization of writing, and question prompts providing were considered as factors of successive application. Although weakness of this study on external validity, internal validity and social validity, this study had its meaning in the aspect that respective journal writing can be effectively applied for ASD children. 본 연구는 반성적 저널쓰기를 ASD 아동에게 적용하여 그들의 수업 방해행동이 개선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명의 ASD 아동을 선정하여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다. 자료수집은 교육실의 35분 수업 중 10분 동안 간격기록법으로 이루어졌고 30간격에 대한 행동발생 간격의 백분율로 방해 행동의 발생율을 산출하였다. 자료분석은 시각적 분석을 이용하였다. 반성적 저널쓰기는 수업 종료 후에 수행하였으며 대상아동의 특성과 수준을 고려하여 그림일기 쓰기로 변형하였다. 그림일기는 A4용지를 이용하였고 글의 구성은 설명문과 조망문 그리고 평가문이 포함되도록 하였으며, 각 문장을 쓰기 전에 문장에 맞는 질문을 제공하였다. 연구결과, 대상 아동들은 각각 중재가 시작된 이후 방해행동이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2주 후의 유지단계에서도 습득된 행동이 기초선 수준으로 복귀되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2명 모두 기초선 단계의 평균선과 중재 단계의 평균선이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고 PND도 2명 모두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반성적 저널쓰기는 ASD 아동의 방해행동 감소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ASD 아동에게 반성적 저널쓰기를 적용한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난 이유에 대한 논의와 타당도 측면에서의 논의가 이루어졌고, ASD 아동의 행동 통제에 대한 내적 동기부여와 자기 통제 방법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