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원자력 수소 경제성 비교를 위한 수소 생산 방법별 생산단가 분석
임미숙,방진환,윤영식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 2006 한국수소 및 신에너지학회논문집 Vol.17 No.3
It can be obtained from hydrocarbon and water, specially production of hydrogen from natural gas is most commercial and economical process among the hydrogen production methods, and has been used widely. However, conventional hydrogen production methods are dependent on fossil fuel such as natural gas and coal, and it may be faced with problems such as exhaustion of fossil fuels, production of greenhouse gas and increase of feedstock price. Thermochemical hydrogen production by nuclear energy has potential to efficiently produce large quantities of hydrogen without producing greenhouse gases. However, nuclear hydrogen must be economical comparing with conventional hydrogen production method. Therefore, hydrogen production cost was analyzed and estimated for nuclear hydrogen as well as conventional hydrogen production such as natural gas reforming and coal gasification in various range.
시적 변용을 통한 이승훈의 일상시 ―시와 시론의 상호작용
임미숙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5 인문학연구 Vol.- No.62
이승훈의 일상시는 단순한 현실 재현을 넘어 깊은 철학적 사유와 새로운 미학적 가치를 창출했다. 이 연구는 이승훈의 시와 시론을 중심으로 그의 시적 세계와 철학적 사유의 발전 과정을 탐구한다. 이승훈의 시와 시론의 긴밀한 상호작용에 집중하여 그의 시가 어떻게 새로운 미학적 가능성을 열어주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승훈은 존재론적 사유를 통해 일상에서 실재의 흔적을 발견하고 이를 시로 옮기는 새로운 시쓰기 방식을 제시하였다. 그의 실재 개념은 하이데거의 현존재 개념과 선불교의 공(空) 사상을 포괄하며, 고정된 실체의 존재를 부정한다. 이러한 철학적 배경은 삶과 예술의 일치를 지향하는 시적 변용의 일상시로 구현되었는데 새로운 시적 언어와 형식을 탐구하는 이승훈의 시적 실천으로 메타시학적 접근과 실제적 적용을 동시에 보여준다. 그의 일상시는 그러나 독자와의 소통이나 전통적인 시적 감동에서 부정적일 수 있는데 이승훈이 시의 본질 자체를 부정하는 태도로 시와 비시의 경계를 허물려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의 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승훈이 일상에서 어떻게 실재를 포착하여 그의 시적 세계를 확장해 가는지 그 과정과 배경을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형식주의적 접근이나 주제 중심의 시선에서 벗어나 시와 시론의 유기적 관계에 집중한다. 이승훈의 시가 그의 시론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창출되는 그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시에 대한 그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는 기대이다. Lee Seung-hoon's everyday poetry goes beyond the simple reproduction of reality and creates deep philosophical thought and new aesthetic values. This study explores the development of Lee Seung-hoon's poetic world and philosophical thought, focusing on his poetry and poetic theory. It examines how his poetry opens up new aesthetic possibilities by focusing on the close interaction between Lee Seung-hoon's poetry and poetic theory. Lee Seung-hoon presented a new way of writing poetry by discovering traces of reality in everyday life and transferring them into poetry through ontological thought. His concept of reality encompasses Heidegger's concept of Dasein and the idea of emptiness in Zen Buddhism, and denies the existence of fixed entities. This philosophical background is realized in everyday poetry of poetic transformation that aims for the unity of life and art, and Lee Seung-hoon's poetic practice of exploring new poetic language and form simultaneously shows a metapoetic approach and practical application. However, his everyday poetry can be negative in terms of communication with readers or traditional poetic emotion, because Lee Seung-hoon tries to break down the boundary between poetry and non-poetry by denying the essence of poetry itself.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his poetry,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process and background of how Lee Seung-hoon captures reality in everyday life and expands his poetic world. This study focuses on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poetry and poetic theory, moving away from formalistic approaches or subject-centered perspectives. It is expected that by analyzing the process by which Lee Seung-hoon's poetry is created through interaction with his poetic theory, the scope of understanding of his poetry can be broadened.
An Investigation about Housing Attitudes of Korean Residents in American Apartment Houses
임미숙 대한건축학회 2005 Architectural research Vol.7 No.2
When people encounter a new cultural housing setting, their housing attitudes are more changeable and complicated than when they enter a new housing environment in the same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ultural impacts on housing attitudes, and to find the new design concepts based on the Koreans living experience in American apartments. Data were collected by the questionnaires of 125 Koreans who live in apartment houses in Pittsburgh. According to Korean common housing attitudes and transition by the time variable, the period of residence in the US, this research found that Korean residents housing attitudes consist of unchanged cultural factors that have been the basic design concepts of Korean style apartments, changeable mixed factors that can be used to diversify Korean apartments, and changed desired factors that will be applied to new design concepts. Also, this research showed different housing attitudes by marital status and rent. This information may be helpful to Korean housing experts who have tried to improve apartments, and it is possible that American professionals can provide more suitable housing to fit minorities unique living patterns in America.
중년기 부부의 편집증과 심리치료 - 도널드 위니캇의 이론을 중심으로 -
임미숙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1
인간발달 과정에서 중년기는 성인 초기의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가정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더욱 안정된 위치에서 생산적으로 일하게 되는 시기이다. 이 중년기에 자신의 지나온 삶을 되돌아보고 자신의 존재에 대하여 생각하게 되며 자존심, 실패감, 경제적 위기감과 같은 중년의 위기를 겪게 되고, 그에 따라 수면 패턴의 변화, 식욕감퇴, 성생활에 대한 관심의 저하와 염려가 나타난다. 이때 중년기 부부에게는 의심증이라는 이른바 편집증이 서서히 고개를 들기 시작한다. 특히 중년기에서의 편집증은 개인이 중년기에 이르기까지 외부적인 가치를 추구하면서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고, 또한 중년기에 이르기까지 외부적인 가치를 추구해왔다고 보아야 한다. 그 반면에 자신의 내면 가치를 이루지 못한 것이라는 무의식의 신호에 의해 점점 피곤하고, 쉬고 싶은 생각이 강하고, 그리고 무기력이나 절망의 상태로 빠지게 된 데서 비롯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도널드 위니캇(D. W. Winnicott) 이론이 중년기 부부의 편집증의 극복에 도움이 되는지를 연구한다. 중년기 부부의 편집증은 중년기에 발병하기 쉬운 증상으로서 노인성 편집증과는 그 증상적인 측면에서 다른 매우 특이한 점이 있다는 점에 초점을 두어 연구한 것이다. 특히 이 편집증, 즉 의처증이나 의부증은 중년기 부부에게는 자기실현과 관련하여 가장 큰 심리적인 상처가 됨에 주목한 것이다. 이들의 상처가 잘못되는 경우에는 결혼생활의 파탄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연구자는 중년기 부부의 편집증적인 증상을 분석하고 파악하고자 시도했다. In human development, middle aged is a time to work productively in a more stable position in homey, social and economic, based on the knowledge and the experience of early adulthood. In this middle-aged, people reflect on their own past lives, think about their own existence, and undergo a mid-life crisis such as self-esteem, failure, or economic crisis. Accordingly, they have a sleep pattern change, a loss of appetite, a loss of interest in sex, and an anxiety. At this time, middle-aged couples slowly begin to show suspicion symptom so-called paranoid. Individuals consume a lot of energy while seeking external value when they grow up to middle aged. On the other hand, the unconscious signal sends a message that they did not achieve their inner worth. Therefore they are getting tired, strongly feel like resting, and fall into a state of helplessness and of despair. Paranoid, especially in middle-aged seems to be derived from this. Considering this, in this paper, it is studied whether Winnicott's theory is helpful to overcome the paranoid of middle-aged couples. The paranoid of middle-aged couples is a symptom which easily occurs in middle aged. It shows very unique symptom which is different from senile paranoid. This research is focused on it. Indeed, the paranoid, that is a morbid suspicion about one’s wife’s or husband's chastity, is the biggest psychological wounds which is related to the self-realization of middle-aged couples. If goes wrong, it could lead to the collapse of marriage. Considering this, the researcher tries to analyze and to understand the symptoms of paranoid of middle-aged couples.
발달지체 유아의 어휘력 향상을 위한 동화와 그림카드 활용
임미숙,이효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4 No.3
본 연구는 일반유아들의 어휘력 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동화와 그림카드가 발달지체 유아들에게도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나아가 동화를 활용한 방법(중재A)과 동화/그림카드를 함께 활용한 방법(중재B)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3명의 발달지체 유아를 대상으로 하였고 6권의 동화책을 선정하여 그로부터 60개의 명사와 동사를 선정하였다. 두 가지 중재방법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조건변경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동화를 활용한 중재를 통하여 발달지체유아의 어휘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동화/그림카드를 병행 활용한 중재를 통하여 발달지체유아의 어휘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동화 활용 방법과 동화/그림카드 병행 활용 방법 중 발달지체 유아의 어휘력을 더 많이 향상시킨 방법은 동화/그림카드 병행 활용 방법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동화책을 활용한 언어지도 방법이 발달지체 유아들에게도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Convergence Technologies by a Long-term Case Study on Telepresence Robot-assisted Learning
임미숙,한정혜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7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aimed to derive suggestions for convergence technology for effective management of distance education by analyzing a long-term case. The experiment was designed with notebook, smartphone or tablet based robot controlled by a remote instructor and a learner, who have experience of distance learning including robot assisted learning. The tablet based robot has the display system of feedback to speakers. During five months, three typ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randomly and a participant was interviewed thoroughly. The result, like the previous research, demonstrates that the task performance of the learner in telepresence robot-assisted learning was better than that in the notebook, and smartphone based. However, it is believed to be necessary to adjust the system for eye-contact and voice transmission for the remote instructor. The instructor required an additional sight by supplementing an extra camera and automatic direction control to source of s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