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면역성혈소판감소성자반증이 동반된 기왕제왕절개술 임신부에서 성공적인 질식 분만 1 예

        이흥순(Heung Sun Lee),이영심(Young Sim Lee),정인배(In Bai Chung),장정호(Chung Ho Chang),황명증(Myung Jung Hwang),이영진(Young Jin Lee),어영(Young Uh)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8

        Thrombocytopenia is hematologic disorder commonly occurs during pregnancy (5%) with different severity. It doesn`t cause severe problem during pregnancy and after the delivery if it is not below certain level which will cause spontaneous bleeding. But in this case, patient was previous cesarean section status and platelet number didn`t arise more than 20,000/μl even after transfusion which will cause spontaneous bleeding. Vaginal delivery was done because transverse cesarean section was considered relatively safe although there was the risk of rupture of uterus, and was successful-both mother and baby is in good health condition. Here now we report this case because vaginal delivery of Immunologic thrombocytopenic purpuric woman with prior history of cesarean section has not report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인슐린 치료가 요구되어지는 당뇨가 합병된 임신에서 태반크기와 과체중아와의 상관성

        이영심,정인배,임지훈,이흥순,이영진,최현일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5

        목적 : 인슐린 치료가 요구되어지는 임신성 당뇨 (GDM A2)가 합병된 임신부에서 재태기간에 비해 신생아의 출생체중이 증가된 군에서 신생아의 출생체중과 태반크기의 증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과체중아와 거대태반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사하여, 과체중아의 출산을 예측 또는 예방함으로써 과체중아 출산으로 인해 주산기에 발생할 수 있는 임신부와 신생아의 합병증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받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인슐린 치료가 요구되어지는 임신성 당뇨 (GDM A2)가 합병된 104명의 단태 생존아를 출산한 임신부를 대상으로 하여, 신생아의 출생체중, 태반의 무게, 출산당시의 모체의 혈색소 수치, 50 gm 당부하 1시간후 혈당치, 100 gm 당부하후 혈당치, 분만직후의 식전과 식후 2시간째의 혈당수치 및 임신부와 신생아의 체질량 지수 등을 재태기간에 따른 신생아의 출생체중별로 분류한 각 군별로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 재태기간에 비해 신생아의 출생체중이 증가된 군에서 신생아의 체질량 지수와 태반의 무게 등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며, placental ratio는 재태기간에 비해 신생아의 출생체중이 감소된 군에서 가장 작은 수치를 보였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50 gm 당부하 1시간후 모체 혈당치, 100 gm 당부 하 후 모체 혈당치와 HbA1C, 산모의 체질량 지수 등은 재태기간에 따른 신생아의 출생체중별로 분류한 각 군간에 차이가 없었고, 분만직후 모체의 식전과 식후 2시간째의 혈당수치는 각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출생체중이 증가할수록 그 수치가 높았다. 결론 : 인슐린 치료에 의한 혈당조절에도 불구하고 재태기간에 비해 신생아의 출생체중이 감소된 군에서 placental ratio가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는 것은 태반무게 증가와 신생아의 출생체중의 증가가 불균형을 이루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는 당뇨가 합병된 임신에 있어서 태반과 태아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모체의 혈당수치 이외의 요인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모체의 체질량지수의 증가정도가 거대아발생을 예견 할 수 있는 인자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출산직후의 모체의 고혈당치 또한 비만등의 모체인자에 의한 이차적 변화로 생각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거대아 출산을 예측할 수 있는 모체 혈당치의 역치결정을 위한 연구와 임신성 당뇨시, 태반크기의 증가원인, placental ratio의 결정원인 등의 태반생물학적 연구와 보다 많은 인슐린 치료 실시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 등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