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에서의 교수․학습지원권에 대한 장애 대학생의 인식 조사 : 시각․청각․지체장애 학생들을 중심으로

        이효자,이정현,홍성두 한국통합교육학회 2011 통합교육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교수․학습지원에 대한 장애 대학생들의 만족도 조사를 목적으로 하 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에 위치한 장애인 전문고등교육기관인 H 대학에 시각장애 10명, 청 각장애 43명, 지체장애 37명 총 90명의 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학습지원에 대한 설문 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하여 교수․학습지원의 하위영역과 개별문 항 수준에서 기술통계 분석과 장애영역별을 기준으로 한 평균차이 분석이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장애영역별로 교수․학습지원에 대한 독특한 요구들이 있었고, 교수․학습지원 의 하위영역 중 도우미제도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는 각 장애영역간에 통계적 차이가 존재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논의에서는 장애 대학생의 교수․학습지원권 보장을 위한 실 제적 지원의 방향을 제시하였고, 관련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교육과정(총론) 개정연구

        이효자,신현기,이영숙,정동영,정인숙,이상조 국립특수교육원 2010 특수교육연구 Vol.17 No.2

        2010년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총론) 시안’을 구안하고,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비교를 통해 개정의 주요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는 ‘2010년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효과적, 효율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본 교육과정의 수준을 최하 5단계 이상으로 확대하여 각론을 개발하고, 비인지적 장애를 지닌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위한 보완 교과용 도서의 개발과 일반학급과 특수학급에 배치된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의 수정 적용지침을 개발할 것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중학생을 위한 진로탐색준비도 검사 타당화 연구

        이효자,양종국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5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진로발달과 준비도를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타당화 연구이다. 이 연구는 예술심리치료 및 콜라주 진로상담 프로그램 적용 후 결과 검증 및 중학생들의 진로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은 선행연구 및 진로성숙 발달관련 검사도구 고찰을 통해서 진로탐색준비도 검사의 모형과 하위요인을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이론적 모형에 따라 문항을 작성한 후 중학생 총 523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살펴보면, 첫째, 진로탐색 준비도 검사의 하위요인으로 진로계획, 진로정체감, 맥락배경, 자기효능감, 자기이해, 직업정보, 문제해결, 의사결정 등의 하위요인으로 구인되었다. 둘째, 진로탐색준비도 검사의 탐색적인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0이상의 문항을 구인되었고, 각 요인들의 신뢰도계수가 .565에서 .934로 일관성 있는 계수를 보이고 있다. 그러므로 진로탐색준비도 검사는 예술심리치료와 중학생들의 진로교육 및 상담과정에서 진로탐색의 발달정도를 측정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research of validity measuring scientifically and objectively the career development and read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intend to verify outcomes after applying the program of artistic and psychological treatment and collage career counselling and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career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the establishment of models and subfactors of the test of the degree of preparing career exploration through considering preceding research and test tools related to career, maturity, and development. The method of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and compute reliability coefficient by making out questions according to theoretical models and then conducting a test for a total of 523 middle school studen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subfactors of the test of the degree of preparing career exploration were divided into career plan, career identity, contextual background, self-efficacy, self-understanding, career information, problem solving, decision making. Second, as a result of carrying out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test of the degree of preparing career exploration, more than .30 of questions were found and reliability coefficients of each factor were showed consistently ranging from .565 to .934.

      • KCI등재

        특수교육 교사 현직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이효자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improvement directions of in-service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Korea. For the purpose, the study analyzed and reviewed literature related to the OECD countries' recent tendency of in-service education of teachers and current status, problems, and needs regarding tha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Korea.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roblems of the in-service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Korea we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not provided with enough opportunity of qualification training to get higher teacher certificates timely. Second, they have not been provided with opportunity of various professional job training. Third, lack in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of training institutes has existed. Four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not given incentive system for in-service education. Fifth, lack in collaboration system between training institutes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in-service education has exist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tudy presented five improvement directions for in-service educ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irst, the opportunity of various in-service education should be enlarged and strengthened according to development stages of their teaching profession. Second, the evaluation system of training institutes should be introduced in order to raise the quality of the institutes and their training program. Third, incentive system for in-service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and enlarged. Fourth, the system for role allotment and collaboration between training institute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ifth,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in-service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이 연구는 OECD 국가의 최근 현직교육 동향, 우리 나라 특수교육 교사의 현직교육의 현황, 문제점 및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특수교육 교사의 현직교육 개선 방향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OECD 국가의 최근 현직교육 동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현직교육에 있어서의 정부의 책임 명시 및, 재정적 지원강화, (2) 현직교육 결과를 보수나 재임용과 연계하거나 의무적 이수제 도입, (3) 신규임용 교사 연수 강화 (4) 점차 분권화된, 단위학교 중심의 연수 (5) 연수기관에 대한 평가 실시 (6) 다양한 연수과정 개설 및 제공 (7) 연수시간 확보 (8) 통합교육 정책에 따른 특수교사 역할 변화에 대한 연수 강화 등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국내 특수교육 교사의 현직교육 문제점은 (1) 적시에 제공되는 자격연수 기회의 부족, (2) 다양한 직무연수 기회 부족, (3) 연수기관에 대한 질 관리 체제 부족, (4) 연수 유인체제 부족, (5) 연수기관 간 협력체제 및 기타 행․재정적 지원 부족으로 나타났다. 국내 특수교육 교사의 현직교육 개선 방향으로 다음의 4 가지 즉, (1) 교직 발달 단계에 따른 다양한 연수 확대․강화, (2) 연수기관 및 연수과정의 질적 제고 위한 평가 체제 도입, (3) 연수 유인 체제의 확대․강화, (4) 연수기관 간 역할 분담 및 협력체제 강화, (5) 연수 발전을 위한 기타 행․재정적 지원 확대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장애학생을 위한 현실요법 콜라주 프로그램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에 미치는 효과

        이효자,양종국 한국아동발달지원연구소 2016 임상미술심리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장애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현실요법 콜라주프로그램이 진로결정 자기효능 감과 진로결정수준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현실요법 콜라주 프로그램 을 개발하기 위해서 선행연구와 로직모델을 기반으로 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하 였으며, 장애학생 12명을 실험집단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이들에게 2016년 9월부터 매주 목요일 120분씩 총 10회기를 콜라주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분석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에서 자기평가, 직업정보, 미래계획, 진로결 정 자기효능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를 나타내고 있으나 목표설정과 문제해결에는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다양한 특성을 가진 장애학생들 간의 구체적인 시각화된 콜라주 프로그램으로 진로계획이나 자신의 이미지 상을 바탕으로 상호 작용 및 피드백과정을 가지면서 자신의 진로결정에 확신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현실요법 콜라주프로그램이 장애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에 대한 자신감과 확신감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on what level the reality therapy collage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s the influence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nd career decis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eality therapy collage program was developed considering previous studies, logic model,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12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composed as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analysis result of carrying out total 10 times of 120 minutes each on every Thursday from Sep. 2016 is as follows. First, in the lower level factor of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self assessment, occupational information, future plan, and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had positive influence, but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oal setting and problem solving. Second, it was found that they have confidence in their career decision by having specific interaction and feedback process among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with specific visualized future plan or self-image. Such result can be said to be that the reality therapy collage career decision program is giving the confidence and conviction to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the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and career decision.

      • KCI등재후보

        대학에서의 교수․학습지원권에 대한 장애 대학생의 인식 조사 -시각․청각․지체장애 학생들을 중심으로-

        이효자,이정현,홍성두 한국통합교육학회 2011 통합교육연구 Vol.6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for supporting to teach and learn in the university. For this purpose, all 90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the university were tested the questionnaire about supporting the right to teach and learn. And on the basis of test data collected for perceiving about supporting to teach and learn of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physical disabilities and comparison among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physical disabilities, descriptive statistic, ANOVA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analysis by disability area, there were unique needs for supporting to teach and lear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bout learning-support systems of university.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on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교수․학습지원에 대한 장애 대학생들의 만족도 조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에 위치한 장애인 전문고등교육기관인 H 대학에 시각장애 10명, 청각장애 43명, 지체장애 37명 총 90명의 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학습지원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하여 교수․학습지원의 하위영역과 개별문항 수준에서 기술통계 분석과 장애영역별을 기준으로 한 평균차이 분석이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장애영역별로 교수․학습지원에 대한 독특한 요구들이 있었고, 교수․학습지원의 하위영역 중 도우미제도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서는 각 장애영역간에 통계적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논의에서는 장애 대학생의 교수․학습지원권 보장을 위한 실제적 지원의 방향을 제시하였고, 관련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