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Fe/Ni 합금전착에 의한 다공성 그물군조 방열재료의 제조 연구

        이화영,이관희,정원용,Lee, Hwa-Young,Lee, Kwan-Hyi,Jeung, Won-Young 한국전기화학회 2002 한국전기화학회지 Vol.5 No.3

        다공성 그물구조 금속을 반도체 칩 방열재료로써 활용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다공성 그물구조 구리와 반도체 칩 사이의 열팽창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시도로써 다공성 구리에 대한 Fe/Ni 합금전착을 수행하였다. Fe/Ni 합금전착 실험으로 표준 Hull Cell을 구성하고 전류밀도 분포에 따른 Fe/Ni 합금층 내의 조성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실험결과 합금전착시 이상공석현상으로 인하여 전해액의 교반정도에 따라 합금층 조성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는 paddle type 교반기를 사용하여 전해질의 확산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원하는 조성의 Fe/Ni 합금층을 얻을 수 있었으며, 얻어진 Fe/Ni 후막을 대상으로 TMA 열분석을 실시한 결과 구리에 비해 훨씬 낮은 열팽창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실험에서 Fe/Ni 합금전착을 통하여 제작한 다공성 그물구조 금속을 대상으로 방열성능을 측정한 결과 구리 평판 대비 최대 2배 이상의 방열성능을 보여 반도체 칩 방열재료로의 활용 가능성을 높여 주었다. An attempt was made for the application of porous reticular metal to a heat dissipation material in semiconductor process. For this aim, the electrodeposition of Fe/Ni alloy on the porous reticular Cu has been performed to minimize the thermal expansion mismatch between Cu skeleton and electronic chip. Preliminary tests for the electrodeposition of Fe/Ni alloy layer were conducted by using standard Hull Cell to examine the effect of current density on the composition of alloy layer. It seemed that mass transfer affected significantly the composition of Fe/Ni layer due to anomalous codeposition in the electrodeposition of Fe/Ni alloy. A paddle type stirring bath, which was employed to control the mass transfer of electrolyte in the work, was found to allow the electrodeposition Fe/Ni with a precise composition. result showed that the thermal expansion of Fe/Ni alloy layer was much lower than that of pure copper. From the tests of heat dissipation by using the apparatus designed in the work the heat dissipation material fabricated in the work showed the excellent heat dissipation capacity, namely, more than two times as compared to that of pure copper plate.

      • KCI등재

        廢自動車 ASR의 風力 및 比中選別에 의한 處理 硏究

        이화영,오종기,Lee, Hwa-Young,Oh, Jong-Kee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5 資源 리싸이클링 Vol.14 No.2

        폐자동차 ASR으로부터 염소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풍력선별 및 비중선별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ASR플라스틱만을 분리하여 물을 매체로 한 비중선별을 실시하였다. ASR 시료는 모두 8 mm이하로 재분쇄하여 선별실험에 사용하였으며, 플라스틱은 3가지 입도로 나누어 비중선별 실험을 하였다. 풍력선별은 공기유량 9~20 M$^3$/hr 범위의 1단계와 공기유량 25~34 M$^3$/hr 범위의 2단계로 나누어 실시하고 각 산물의 비율과 재질분포를 조사하였다. 1단계 풍력선별후 underflow 산물의 비율은 62~66%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기유량이 큰 2단계 풍력선별에서는 overflow 산물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폐플라스틱만을 대상으로 한 비중선별 실험결과 부유물질이 침강물질에 비해 다소 많게 나타났으며, 염소함량에 있어서는 최대 수백개의 염소함량 차이를 보여 순수 플라스틱의 경우 매우 우수한 염소함유 재질의 분리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A study on the air and gravity separation has been performed for the removal of chlorine containing materials from ASR of end-of-life vehicles. The gravity separation was also conducted on waste plastics collected from ASR. In this work, ASR were previously shredded to pass through 8 mm sieve prior to separation tests and the gravity separation of waste plastics was conducted for three different particle sizes. The two-stage air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with the range of air flow rate of 9~20 M$^3$/hr at first stage and 25~34 M$^3$/hr at second stage, respectively. The fraction of overflow product was remarkably increased in the 2nd stage air classification because of high air flow rate while that of underflow product obtained from 1st stage air classification was found to be 62~66%. From the results of gravity separation on waste plastics, it was also found that the amount of the float product was much greater than sink product. It is believed that the gravity separation may be used very efficiently for the removal of calorine bearing materials from waste plastics.

      • KCI등재

        Ag 水溶液으로부터 還元反應에 의한 Ag 微粒子의 製造 硏究

        이화영,진선아,한영주,Lee, Hwa-Young,Jin, Seon-Ah,Han, Young-Ju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5 資源 리싸이클링 Vol.14 No.1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Ag fine particles was performed through a reduction reaction using ascorbic acids as a reductant, which is one of the indispensable processes for the recycling of silver-bearing wastes. Silver nitrate solution in the range of 10~120 mmole/l was used and Tamol NN8906 or PVP was also used as a dispersant in the preparation of Ag fine particles size analyze, SEM, and TEM to determine the particle size and morphology of them. As a result, the reduction reaction of silver ions with ascorbic acid reached equilibrium within 10 min. It was found that about 60% excess of ascorbic acid was required in order to reduce completely silver ions in the solutio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Ag particles prepared through the reduction reaction showed typically biomodal or trimodal distribution. Especially, initial Ag concentration in the solution, the type and amount of dispersant added during the reduction reac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mean particle size of Ag particles. 국내 폐은 원료로부터 고부가가치 Ag powder를 제조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써 ascorbic acid를 환원제로 사용한 Ag 미립자 제조실험을 수행하였다. Ag 수용액은 질산은을 10~120 mmole/l의 범위로 용해시켜 사용하였으며, Ag 미립자의 응집방지를 위한 분산제로는 Tamol NN8906 및 PVP를 각각 사용하였다. 환원반응을 통하여 제조한 Ag 미립자는 X-선 회절분석, 입도분석, SEM 및 TEM 분석을 실시하여 morphology 와 평균입도를 측정하였다. ascorbic acid에 의한 수용액중 Ag 이온의 환원반응은 10분 이내에 거의 평형상태에 도달하였으며, 완전한 Ag 이온의 환원을 위해서는 ascorbic acid 첨가량이 이론치의 1.6배가 소요되었다. 생성된 Ag 미립자의 입도분포는 bimodal 혹은 trimodal의 분포곡선을 보였으며, Ag 미립자의 평균입도는 분산제 종류 및 첨가량과 수용액 중 초기 Ag 농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하수(下水)슬러지 소각재의 특성(特性) 평가(評價) 및 재활용(再活用)을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

        이화영,Lee, Hwa-You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8 資源 리싸이클링 Vol.17 No.3

        하수슬러지 소각재를 대상으로 화학 조성과 물리화학적 물성을 측정하고 재활용을 위한 경량재료 제조실험을 수행하였다. 경량재료는 하수슬러지 소각재를 원료로 하여 경량충진제와 무기바인더를 첨가하여 성형 및 소성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제조 조건에 따른 비중과 압축강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비산재의 pH 경우 배기가스 중화를 위한 알칼리 첨가로 인하여 알칼리성인 pH 8.69로 나타났으나 바닥재는 중성인 pH 6.48이었다. 공정시험법에 근거하여 하수슬러지 소각재에 대한 중금속 용출실험 결과, Cd, Cu, Pb, As, Cr의 5개 원소 모두에 대하여 용출량이 검출한계치 이하로 나타났다. 동일한 혼합비율의 경우 비산재를 사용한 경량재료 시편의 압축강도가 바닥재에 비해 높게 나타나 비산재를 원료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measurement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SA(sewage sludge ash) has been carried out and the preparation of lightweight material has also been performed using SSA for reuse as building or construction materials. For this aim, lightweight material has been prepared by forming the mixture of SSA, lightweight filler and inorganic binder followed by calcination at elevated temperature and characterized in terms of den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The pH of fly ash was found to be slightly alkaline, pH 8.69, due to the addition of caustic soda in order to neutralize the acidic gas while the pH of bottom ash was 6.48 Heavy metal leachability based on the standard leach test was also found to be below the detection limit for Cd, Cu, Pb, As and Cr of SSA. As far as the compressive strength of lightweight material was concerne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lightweight material using fly ash was higher than that of lightweight material using bottom ash.

      • KCI등재

        주요우울장애에서의 전기경련요법

        이화영,강이헌,이민수,Lee, Hwa-Young,Kang, Rhee-Hun,Lee, Min-Soo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8 생물정신의학 Vol.15 No.2

        Major depressive disorder(MDD)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s with serious health consequences such as increased morbidity, disability, and mortality. Electroconvulsive therapy(ECT) has been used as a treatment for mental disorder since the 1930s. A growing number of recent publications support the conclusions that ECT is an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for depressed patients. Dosing strategies, frequency, safety, side effects and efficacy of ECT in MDD will be considered. ECT may be an alternative to treatment with antidepressants.

      • KCI등재

        맞춤형 통신 프로토콜과 서비스를 위한 액티브 네트워크 실행환경

        이화영,강보영,임경식,Lee Hwa Young,Kang Bo-young,Lim Kyungshi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1 No.7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new execution environment named Customizable Architecture for Flexible Execution Environment(CAFEs) that supports the mechanism of protocol customization and service referencing. We introduce a new concept as micro protocols and active services to enhance software reusability. Micro protocol represents a specific algorithm or functionality of existing network protocol and the active service is in charge of binding legacy application and releasing the active network oriented services. The pro-posed active network execution environment is made up of three parts, virtual network system, protocol and service manager, event engine. First, the virtual network system is used to connect each active nodes using virtual network channels which are based on multiple existing protocol layers. Second, the protocol and service manager is responsible for composing micro protocols and active services to develop new network proto-col and service easily. Finally, the event engine is used to detect the automatic transition of system components using event delegation model. To verify the CAFTs, we have an experiment about the delivery of web contents which are suitable for the user's terminals in the wireless Internet environment. As a result. we are able to obtain the availability of developed execution environment. 본 논문에서는 프로토콜 조합 및 서비스 참조 기법을 지원하는 Customizable Architecture for Flexible Execution Environment(CAFEs) 실행환경을 실제 및 구현한다. CAFEs 실행환경은 프로토콜 및 서비스 소프트웨어의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기존 프로토콜의 기능 또는 알고리즘을 구현한 마이크로 프로토콜과 기존 응용과 호환하고 액티브 네트워크 서비스를 배포하기 위한 수단으로 동작하는 액티브 서비스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한다. 제안된 액티브 네트워크 실행환경은 기능에 따라 세 부분으로 설계되어 있다. 첫째, 가상 네트워크 시스템은 기존의 다양한 프로토콜 계층을 기반으로 가상 네트워크 채널을 형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액티브 노드를 연결한다. 둘째, 프로토콜 및 서비스 관리자는 마이크로 프로토콜 및 액티브 서비스를 합성함으로써 새로운 프로토콜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마지막으로 이벤트 엔진은 이벤트 위임 모델을 사용하여 서비스에 존재하는 컴보넌트의 상태전이를 자동으로 감지한다. 그리고 개발된 CAFEs 실행환경을 검증하기 위하여 무선 인터넷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에 적합한 웹 컨텐츠를 전달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여 가용성을 확보하였다.

      • KCI등재

        수산화(水酸化)알루미늄으로부터 Aluminum Oxalate의 합성(合成) 연구(硏究)

        이화영,조병원,Lee, Hwa-Young,Cho, Byung-Wo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9 資源 리싸이클링 Vol.18 No.4

        수산화알루미늄을 원료물질로 하여 알루미늄 유기화합물인 aluminum oxalate 합성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산 99.7% 순도의 수산화알루미늄을 옥살산으로 용해하는 방법으로 알루미늄 수용액을 제조하였으며, 실험결과 옥살산 농도 1.0 mole/l, 반응온도 $90^{\circ}C$에서 16시간 용해시 거의 100%에 가까운 용해율을 얻을 수 있었다. 알루미늄 수용액으로부터 aluminum oxalate를 합성하기 위해서는 ethanol/Al solution 혼합비율을 2.0이상으로 유지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90% 이상의 회수율을 얻기 위해서는 혼합액의 pH를 8.2이상으로 조절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합성반응을 통해 얻은 aluminum oxalate의 화학분석결과 $NH_4$ 14.5%, Al 7.18% 및 C 17.4%이었으며, 이의 화학식은 $(NH_4)_3Al(C_2O_4)_3$ $3H_2O$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ynthesis of aluminum oxalate, one of the aluminum organic compounds, has been performed using aluminum hydroxide as a raw material. For this aim, domestic aluminum hydroxide of 99.7% purity was dissolved by oxalic acid to produce an aqueous aluminum solu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luminum hydroxide could be dissolved almost completely by the reaction with 1.0 mole/l oxalic acid solution at $90^{\circ}C$ for 16 hr. It was strongly required to keep the ratio of ethanol/Al solution more than 2.0 for the synthesis of aluminum oxalate from the aluminum solution. Furthermore, the pH should be controlled to be more than 8.2 in order to obtain the recovery of aluminum oxalate higher than 90%. From the chemical analysis of aluminum oxalate prepared in this work, the content of $NH_4$, Al and C was found to be 14.5, 7.18 and 17.4%,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aluminum oxalate synthesized from the aluminum solution was confirmed to be $(NH_4)_3Al(C_2O_4)_3$ $3H_2O$.

      • KCI등재

        유기산(有機酸)을 이용(利用)한 Aluminum Hydroxide의 미량원소(微量元素) 제거연구(除去硏究)

        이화영,조성백,Lee, Hwa-Young,Cho, Sung-Baek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8 資源 리싸이클링 Vol.17 No.5

        본 연구에서는 국산 99.7%순도의 수산화알루미늄을 대상으로 미량원소로 함유되어 있는 Na, Ca및 Fe의 제거실험을 수행하였다. 용출액으로는 유기산인 oxalic acid와 citr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수산화알루미늄은 초기 입도가 서로 다른 2종류의 시료를 사용하였다. 수산화알루미늄의 미립화를 위해 ball mill을 사용하여 미분쇄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용출조건에 따른 미량원소의 용출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0.1$\sim$1.0mole/l 농도범위에서 oxalic acid에 의한 원소 용출율이 citric acid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기산 농도가 증가할수록 또한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원소의 용출율은 증가하였다. 미분쇄 공정시 순수한 물에 의한 Na의 용출율은 약 45%에 달해 aluminum hydroxide에 함유된 Na성분의 상당 부분은 수용성 화합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removal of minor elements such as Na, Ca and Fe has been performed from domestic aluminum hydroxide of 99.7% purity with organic acids. Oxalic and citric acid were used as the leaching agent, respectively and aluminum hydroxides of different particle size were also employed for the purification with organic acid leaching. Fine grinding of aluminum hydroxide has been tested using ball mills and leaching characteristics of each element have also been examined in terms of leaching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acid concentration, and solid densit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oxalic acid showed higher leaching efficiency than citric acid 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0.1 to 1.0 mole/l and leaching amount of each element was also increased with the acid concentration and reaction temperature. It was observed that about 45% of Na was leached out during ball milling process which implied that the majority of Na contained in aluminum hydroxide was water soluble compound.

      • KCI등재

        염화(鹽化)알루미늄 수용액(水溶液)으로부터 Aluminum Tartrate의 합성(合成) 연구(硏究)

        이화영,Lee, Hwa-Young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1 資源 리싸이클링 Vol.20 No.2

        An investigation on the synthesis of aluminum tartrate, one of the aluminum organic compounds, has been performed using aluminum chloride solution as a raw material. For this aim, the effect of the ratio of ethanol/Al solution and pH on the synthesis of aluminum tartrate has been examined and aluminum tartrate synthesized has also been characterized in terms of the chemical composition, X-ray diffraction pattern,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d SEM analysis. As a result, the synthesis more than 97% could be obtained under the conditions of pH more than 3.0 at the ratio of ethanol/Al solution of 3.0. From the chemical analysis of aluminum tartrate synthesized in this work, the content of $NH_4$, Al and C was found to be 9.10, 4.83 and 25.8%, respectively. In addition, aluminum tartrate synthesized from the aluminum chloride solution was found to be $(NH_4)_3Al(C_4H_4O_6)_3$. 염화알루미늄 수용액을 원료로 하여 알루미늄 유기화합물인 aluminum tartrate 합성실험을 수행하였다. 합성시 ethanol/Al solution 혼합비율 및 pH가 합성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합성된 aluminum tartrate는 화학분석, X-선 회절분석, 입도분석 및 SEM 분석을 통하여 시료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ethanol/Al solution 혼합비율 3.0에서 pH 3.0 이상인 경우 aluminum tartrate 합성율은 97% 이상으로 나타났다. 합성반응을 통해 얻은 aluminum tartrate의 각 화학분석결과 $NH_4$ 9.10%, Al 4.83% 및 C 25.8%이었으며, 이의 화학식은 $(NH_4)_3Al(C_4H_4O_6)_3$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