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敎育行政의 理論構成을 위한 基礎的 硏究

        이형행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7 延世論叢 Vol.23 No.1

        The underlying theme of this paper is that the knowledge base of a profession such as educational administration consists largely of theories that have been widely supported through research. However, much of the skepticism about theor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incapable of becoming a science, a skepticism that plagued all the social sciences in their gestation. The practitioner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says "That's great in theory, but it'll never work in practice." Although this aphorism does not indicate a lack of faith in theory, it shows misconceptions about the nature of theory and the applicability of theory to practice. Theory is not simply idealistic speculation, nor is it "common sense." Because facts do not speak for themselves, an empirically verifiable framework is needed to give facts meaning. Theory-a set of interrelated concepts, assumptions, or generalizations that systematically describes and explains behavior-provides that framework. Theories are relevant to practice in several respects. They supplement individual admini-of theories-in-use. They provide a common language whereby professionals can communicate stratior's repertoire with and learn from each other. Finally, in conjunction with practice-oriented deductive research, they can reveal effective techniques for solving the real problems that confront adminstrators.

      • 學校法人 理事會의 構成과 組織에 關한 硏究

        李亨行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0 延世論叢 Vol.16 No.1

        The Private universities forming some 70%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give neither specific characteristics nor originality different from those of public universities and in between private universities themselves. The Private School Laws proclaimed in 1963 to prompt the sound development of private schools by enhancing autonomy and public spirit in the light of particularities of the private school, has, through a series of revision, seriously hampered autonomy and individuality in private schools, especially in private universities. The governing board, a university government established by the school juricical person and constituted of officers of school juridical person qualified to establish a private university: a fixed number and sorts in trustees, and their election and term, are uniformlystereotyped in all ten randomly sampled universities. The reason why is because a governing board shallbe formed in compliance with a charterbased on the working rules of charter under the control of the Private School Laws. Inasmuch as a private school, quite different from public one, has its own specific objectives for existance, and each of private schools has its own extraordinary establishment ideas and scholarstic spirits, every private university may have an alternative different from others, in the number of try steers, and the election and term cannot be same in all. So that trustees in a university may achieve their establishment ideas, the number of trustees may be three or thirty-three, and also the election and term may vary with universities. That is jus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r individuality different from that of public institutions and in between private institutions. It is desired that every private university should purse, even under the control of the Private School Laws, for flexibility for the promotion of sound school through the hard study and examination of its charter and by-laws.

      • 地方敎育行政組織에 관한 硏究

        이형행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연세교육과학 Vol.43 No.-

        따라서 우선은 사회교육체육과장(사회교욱체육국장 포함)과 학교보건과장을 장학관으로 보임하고, 공보담당관ㆍ기획감사담당관ㆍ행정관리담당관은 모두 그 앞에 "교육"을 붙이고, 장학관으로 보임하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볼 때 학무행정 부서에 모든 관리와 서무행정 부서를 예속시키지 않고서는 교육이 교육답게 될 수 없다는 것은 자명하다. 지금은 병참부대(관리부서)가 전투부대(학무행정부서)를 지휘하는 형식이어서 전투에 이길 수 없는 상황이다(윤형원, 1945, 5면) 이 관계는 시ㆍ군ㆍ자치구의 조직에서도 동일하다. 그러므로「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제40조를 고쳐 부교육감의 국가공무원 보임과 대통령에 의한 보조기관의 설치를 모두 시ㆍ도 교육위원회의 조례로 정할 수 있도록 하는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학무행정이 교육의 의사결정을 주도하고 일반직급은 현재의 장학관(사)과 교육연구관(사)이 하는 사무를 보조하는 방향으로 전반적인 교육행정 직제를 개선하도록 세심한 배려(특히 교육감과 교육위원회)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또한 학교의 잡무를 사무직이 담당할 수 없을진대 이를 없애는 대신 학습보조원(기능직)이라는 직급을 교육공무원 속에 만들어 교원들을 보조해 주도록 함이 절실하다는 점도 유의해야 할 것으로 본다. 아무리 교육자치제의 原理를 주장하고, 교욱위원회의 位相을 강화해야 한다고 역설해도 교육자치제가 일선학교의 교육여건을 조금이라도 개선시키지 못한다면 아무런 의미는 없는 것이 된다. 이미 새 지방교육자치제가 실시된지도 어언 3년이 지났는데도 일선 학교 교육여건에 있어 별다른 변화가 없고, 교원의 임용, 근무조건, 처우, 사기 등에도 별다른 변화가 없으며,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있어서도 하등의 변화가 없다면 교육자치는 과연 누구를 위해서 하는 것인가? 지방교육자치는 새로 선출된 교육위원을 위한 것도 아니고, 새로 생겨난 부교육감 자리에 앉은 사람을 위한 것도 아니며, 그리고 교육청의 엄무중대로 인해 추가된 자리를 채운 사람들을 위한 것도 아니다. 교육이 실제로 이루어지는 일선학교와 여기에서 무진 애를쓰고 있는 이름없는 교사와 또 그를 돕고 있는 학교행정과 그리고 학생들과 학부모들을 포함한 지역사회 주민들을 위한 교육자치라는 것을 명심해야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