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기성인학습자를 위한 수리문해 프로그램 개발

        이형주 ( Lee Hyeung Ju ),고호경 ( Ko Ho Kyou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8 수학교육논문집 Vol.32 No.4

        본 연구는 후기성인학습자를 위한 수리문해 프로그램 개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수리문해의 성격을 조명하고 이를 통해 후기성인학습자들을 위한 수리문해 학습 내용을 선정하였다. 또한 선별한 수학 내용을 후기성인학습자의 경험에 기반한 실생활과 연관 지어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수리문해 프로그램을 후기성인학습자들에게 적용한 결과 학습초기 흥미와 같은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동반하며 학습이 지속됨에 따라 수학적 정형화 단계를 거쳐 수학적 정교화가 발현되는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후기성인들의 경험에 기반하여 후기성인을 위한 산술을 수리문해 측면에서 재정의함으로서, 비형식적인 후기성인학습자들의 문제해결과정을 정교한 수학적 문제해결 해결로 정당화시킬 수 있도록 후기성인학습자의 수학적 정교화에 기여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a numeracy program for late-adult learners. For this study, firstly, characteristics of numeracy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ose characteristics, numeracy learning contents for late-adult learners were selected. Also,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ere developed by linking the mathematics contents selected to experience-based real lives of late-adult learners. When this numeracy program was applied to late-adult learners, it was observed that there was a change in the affective domain like interest at the early stage of learning and that as learning continued, mathematical elaboration occurred by way of mathematical formaliz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re-defining arithmetic for late-adults from a perspective of numeracy, based on experience of late-adults, and making a contribution to mathematical elaboration of late-adult learners so non-formal problem-solving processes of lat-adult learners can be justified as elaborate mathematical problem-solving.

      • KCI등재

        초ㆍ중등 학부모 대상 수학교과 인식 및 요구 조사

        이형주 ( Lee¸ Hyeung Ju ),김형식 ( Kim¸ Hyeongsik ),고호경 ( Ko¸ Ho Kyou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논문집 Vol.35 No.3

        본 연구는 학부모의 수학에 대한 인식이 자녀의 수학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근원적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학부모의 수학 교과에 대한 가치인식과 만족도 등에 관한 내용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수학교육 및 자녀 교육과 학부모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전국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하였으며, 초등학생 학부모 133명, 중·고등학생 학부모 411명에 따른 학부모의 응답 결과를 비교 분석 하였다. 설문 결과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 모두 학부모가 수학 교과의 가치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자녀의 수학 교과에 대한 가치 인식도 긍정적이고, 학부모의 수학 관련 교육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교육 프로그램 참여 의지는 중·고등학생 학부모가 초등학생 학부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 교과 전반에 대한 만족도 또한 초등학생 학부모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부모들은 미래 신기술을 활용한 수업 및 인공지능이나 데이터 분석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수학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는 교육전문가들이 향후 진지하게 고민해보아야 할 과제로서 학부모가 참여하는 수학교육의 확대, 미래 수학학습을 위한 수학 학습 환경의 조성, 수학교육 관련하여 다양한 학부모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contents related to par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intended to deduce implications for mathematics education in schools, child education, and parent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the more positively the parents perceived the value of the mathematics learning, the more positively the child perceived, and the higher the parent's participation rate in mathematics-related education was. In terms of percep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t showed that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educational programs was lower for the par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an the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showed higher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parents have perceived the necessity of teaching and mathematics education to develop artificial intelligence or data analysis skills. It was also found that the par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experience in education had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ir children's math teacher's class preparedness. Parents perceived positively to how pragmatic mathematics curriculum can be and provided answers to what they wish in specific mathematics classes in learning methods and future mathematics learning. As this is for educational experts to consider much in-depth in the future,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diverse parents’ education related to mathematics including the expansion of mathematics education with parents’ participation, the creation of a mathematics learning environment for future mathematics learning.

      • KCI등재

        노인교육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이형주(Lee Hyeung Ju) 한국노년교육학회 2017 노년교육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노인교육 프로그램의 전문성 있는 교육과정개발 및 학제 간 연구를 위하여 최근 10년간의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노인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들을 메타분석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한 논문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2015년 10월 1일부터 14일까지 검색한 논문을 대상으로 총 288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논문 선정 기준에 따라 최종 20편의 논문을 선정 후, 각 136건의 개별연구를 노인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메타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교육 프로그램 효과성은 전체효과크기가 1.039로 매우 큰 효과크기를 보임으로서 전체적으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중재 효과영역의 효과크기는 노인의 사회적 건강, 심리, 회고/기억, 신체적 건강영역 중 심리영역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영역의 종속변인 중 노인의 자존감과 죽음/나이 듦의 수용, 태도 영역이 매우 큰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간별 효과크기에서도 6회기에서 15회기까지의 연구기간이 가장 유의미한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종속변인의 효과크기는 자존감, 죽음/나이 듦의 수용, 노인우울, 태도, 인지 등의 순으로 큰 효과크기를 보여 국내 학술지 논문의 노인교육 프로그램은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전문성 있는 교육과정 콘텐츠의 개발을 위한 준거와 노인교육 프로그램별 효과성을 제시함으로서 그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dvanced program in geragogy and thus contribute to related disciplines and their studies. The study meta-analyzed 20 domestic journals released in the last decade whose purposes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niors education on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288 journals were searched from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from the October 1st to 14th in 2015. Among them, 20 journals including 136 individual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to be meta-analyzed using standard in means difference and random-effects. The results were observed as follows: most of the studies had focused o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 and hospitals and facilities for elderly, and the number of sessions were mostly 6 to 15 times. They mainly used MMSE-DS, K-MMSE, KGDS and Self-Integration checklist as measurement tools. The whole effect size of the 136 individual studies turned out to be 1.039, of which value clearly indicates the great effectiveness of the senior s education. The effect size of psychology was the biggest among the Majoring Mediating Effect Category including societal health , retrospection and physical health . Also, among the dependent variables of psychological section, self-esteem , acceptance of aging and death and attitude showed quite a large effect size. In terms of frequency of observation, studies arranged 6 to 15 times of observation period were proved to have the most meaningful effect. Lastly, in order of effect size among the dependent variables was as following: self-esteem , acceptance of aging and death , depression , attitude , recognition and so on. Considering all these results together gives a clear indication that the geragogical programs included in the domestic journals were a success. This study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ose results suggest useful information for criteria in making advanced program an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for seniors.

      • KCI등재

        대학의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재학생과 교원의 인식 비교 연구: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진명화 ( Jin Myunghwa ),이형주 ( Lee Hyeung J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대학에서 실효성 있는 융합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대학의 융합교육을 고찰하고 재학생과 교원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여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19년 8월-9월 중 약 한달 간 A대학 재학생과 교원을 대상으로 융합교육에 대한 설문조사와 FGI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재학생 1,732명, 교수 187명의 응답지를 확보하였으며,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FGI는 학생과 교원 총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FGI 내용은 전사하여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융합교육에 대한 고찰, 교원과 재학생의 융합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대학에서의 융합교육에 대한 요구도 등으로 수렴된다. 본 연구는 대학의 융합교육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융합교육이 원활히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교육 수요자 중심의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and to explore ways to promote convergence education by comparing the perceptions of students and professors on convergence education to conduct effective convergence education at universities. FGI and survey on convergence education were conducted for a month in 2019. 1,732 students and 187 professo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32 participants including professors and students in total participated in FGI,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consideration about convergence education, comparison of professo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convergence eduaction, demand for convergenc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fundamental research that presents directions for convergence education reflecting on the needs of university stakehol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