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직직장암의 수술전 병기판정을 위한 경직장 초음파단층촬영술의 효용성

        이헌경,김창남,김진천,정훈용,양석균,유창식,조문경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1999 Clinical Endoscopy Vol.19 No.2

        Background/Aims: The precise preoperative staging of rectal cancer is of great im-portance for the selection of an appropriate treatment. Endorectal ultrasonography (EUS) has been proven as an efficient tool for staging in rectal cancer. Moreover, its technical advancement has been enhancing resolution and applications. We evaluated the accuracy of preoperative staging using EUS in rectal cancer and examined whether staging by EUS was an efficient procedure. Methods: EUS was performed in 79 patients with rectal cancer diagnosed by colonoscopic biopsy from January to December, 1996. Endoscopic examina-tion was used with Olympus, GF-UM20 and Br?l and Kjaer type 2001 Scanner. The staging by EUS was based on UICC classification. Results: Preoperative staging by EUS was equal to pathologic staging in 70.9% (56/79) of cases. Overstaging was found in 17.7% (14/79) and downstaging in 11.4% (9/79). The prediction of lymph node metastases was accurate in 50 of 79 cases (63.3%). Conclusion: EUS seems to be an efficient diagnostic method to assess rectal cancer staging. More accurate imaging and further experience in the interpretation is needed to improve the efficacy of EUS.

      • 북한의 핵무장과 동북아시아 핵도미노: 현황과 전망

        이헌경 한국평화연구학회 2013 한국평화연구학회 학술회의 Vol.2013 No.-

        북한은 세 차례에 걸친 핵실험을 통해 핵능력을 보여준 바 있다. 이는 한반도 및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을 크게 위협하고 있는 것이 다. 앞으로 북한이 무기급 플루토늄 추출량을 증가해 핵탄두를 늘리고, 핵탄두의 소형화, 경량화와 운반수단을 가질 때 그것은 바로 주변국을 직접적으로 위협할 수 있다. 특히 북한이 중장거리 미사일에 핵탄두를 장착할 수 있게 되면 동북아시아 전역이 사정권 안에 들어간다. 이는 비핵의 원칙을 고수하면서 비핵화를 지향하고 있는 한국, 일본 등이 핵무기를 가진 북한의 핵공격 사정권에 들어간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들 국가는 핵공포와 핵위협을 받을 수 있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따라 서 핵위협을 받는 주변국들이 억제와 상호작용의 논리하에 핵무기를 가지려 하는 것은 명분을 가지는 셈이다. 북한의 핵위협에 맞서 이미 핵과학기술 능력을 가지고 있는 주변국 가들이 핵무장에 나선다면 이는 곧 동북아시아 지역의 핵도미노 현상 을 유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바람직하지 않다. 하지만 북한의 핵능력과 운반수단이 완료될 때 배제할 수 없는 시나리오는 아니다. 그러므로 이러한 가능성이 현실로 닥아 오지 않기 위해 국제사회는 많 은 노력을 해야 한다. 그동안 미국과 중국은 북한의 핵포기를 위해 인 내심 있고 적극적인 역할을 해 왔지만 앞으로 두 국가는 공식 핵보유 국으로서, 유엔안보리상임이사국으로서, 그리고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주요국가로서 보다 주도적인 역할과 활동을 해야 하며, 이를 통해 북 한의 비핵화를 이끌어야 한다. 이는 핵확산금지조약 체제 유지는 물론 동북아시아 지역의 핵도미노 현상을 막는데 기여하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US Economic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 Situation and Impact - A Political Economy Analysis

        이헌경,박성조 한국통일전략학회 2013 통일전략 Vol.13 No.4

        This paper focuses on a political analysis on the US economic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o begin with, important connotations and trends of economic sanctions especially since the Cold War era are touched on pointing to the shift from comprehensiveness to smartness, from unilateralism to multilateralism. Then the paper concentrates on the US economic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their strategic trajectories standing for ups and downs of severity. Other focal point of the paper is placed on effectiveness of economic sanctions, analyzing punishment model, humanization of sanctions, cost and success rate, issue linkage, unilateralism vs. multilateralism. There is no comprehensive (not only economic but also non-economic) theory in this regard, so some approaches such as cost/welfare theory, issue linkage, game theory, prospect theory and so on are extensively discussed. Especially the prediction model by Hossein Askari et al is referred to.

      • KCI등재

        부시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반도 부시행정부 출범 이후 남북,북미관계와 답보,경색관계 해법

        이헌경 평화문제연구소 2002 統一問題硏究 Vol.14 No.1

        In terms of the relat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or between the US and the DPRK, whenever there has been a situation of stalemate or blocking the nations all tend to blame one of the other parties for the troubles. In other words, if something went wrong the fault was always someone else``s. In the same context the conservatives and the progressives have been arguing about their differing views toward the Bush administration``s and South Korea``s policy toward North Korea, such as the tour business to Mt. Kumkang and the Sunshine Policy. These arguments will not have much meaning if North and South Korea carry out mutual agreements and proceed onward with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However, the current reality is that the two Koreas are still in a stalemate. Reflecting on this situat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of the overall state of North-South Korea and US-DPRK relations has been advancing since the Bush administration took over. It also suggests that the Sunshine Policy should continue on course, as well as the fulfillment of mutual agreements between the two Koreas. There are also proposals for supporting North Korea with transparency issues, solving the separated family problem by way of simultaneity, and promoting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In addition, there is an analysis of the US`` policy toward North Korea concerning anti-terrorism. A solution for the blocked US-DPRK relations is also suggested. Finally, it concludes with policy directions for improving North-South Korea and US-DPRK relations .

      • KCI등재후보

        북한의 테러동향과 미국의 대테러 대북전략

        이헌경 북한연구학회 2003 北韓硏究學會報 Vol.7 No.1

        북한은 대한항공 폭파사건을 근거로 미국으로부터 테러지원국으로 지명되었으며, 그 지명은 계속되고 있다. 미국은 북한이 정치군사적 위기국면을 전쟁이나 테러 또는 다른 무력적 방법에 의해 해결하려는 의도가 여전히 남아 있고 테러지원에 대한 북한 측의 태도에 대한 의심 및 테러행위 중단에 대한 확실한 입증조치가 없다는 이유로 북한을 테러지원국가로부터 제외시키지 않고 있다. 그 동안 북한은 반테러를 계속해서 천명해 왔고 관련 유엔협약에 가입하는 등 긍정적 조치를 취하였다. 그러나 미국은 북한이 테러조직과 연계되어 있고, 이들에 대한 무기를 수출해 왔다는 이유를 들어 테러지원국으로 그리고 악의 한 축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보다 강도 높은 경계를 보이고 있다. 북한이 테러지원국으로부터 해제되기 위해서는 대량살상무기 비확산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켜야 한다. 우선적으로 북한의 핵개발을 포기해야 한다. 그리고 미사일 기술장비 수출을 영구히 중단하고 그 보상을 미국과 일본, 이스라엘 등 관련국들이 해 주면 된다. 이것은 충분히 가능한 것이며, 그 보상은 식량·석탄 등 현물로 가능하다. 이어 북한이 화학무기협정에 가입하고 미국과 북한이 생물무기협정 새 의정서에 서명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북한은 아직 가입하지 않은 테러관련 국제협약에 가입해야 할 것이다. 테러지원국 해제는 바로 미국의 대북지원과 국제금융기구의 차관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북·미간 교역에 있어 많은 경제적 이득을 가져다 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미국·일본·EU 국가들로부터의 대북투자진출 확대는 물론 경제관계를 확대시켜 북한을 끝이 보이지 않는 암흑의 긴 터널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북한의 경제회생에 기여할 것이며, 북·미간 대화의 장을 확대할 것이다. 또한 북·미관계 및 남북관계 진전은 북한의 테러이미지를 상당 부분 불식시키면서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활약하게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미국의 대외 정책과 국제사회의 대응

        이헌경 한국동북아학회 2005 한국동북아논총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Bush administration's foreign policy and international society's response. Most of nations looking for peace and freedom fully recognize terror and asymmetric threat as well as common threat that human being faced with, and show cooperative attitude in order to cope with such threats. However, in the process, as the U.S. adopting unilateralism, lots of nations has opposed it. China, Russia, even American allies and friendly nations show their displeasure over American unilateralism. Such American foreign policy based on unilateralism has proceeded for hegemony and strengthening self-protection, but it rather tends to make difficult to build up international alliance as well as international cooperation. This makes more unstable the international security environment. In order to analyze these generally, this article is to see not merely the US foreign policy and unilateralism but international antipathy. Moreover, considering major nations' and regional policies on the US foreign policy, it focuses on understanding a diversionary movement of China, Russia, Europe, Middle East, North Korea toward the US. Looking at such policies and movements, this article is to suggest not only creation of a desirable international security environment but also a road for world peace, stability, freedom, prosperity. 본 논문은 부시 행정부의 대외 정책과 국제사회의 대응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평화와 자유를 갈망하는 대부분의 국가들은 테러행위 및 비대칭 위협 그리고 인류가 직면한 공통의 위협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위협들에 대처하기 위해 협력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미국이 일방주의적 노선을 취하자 많은 국가들은 반발하고 있다. 중국, 러시아는 물론 미국의 동맹국 및 우방국들조차 불만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일방주의적 대외 노선은 자위권 강화와 세계 헤게모니를 잡기 위해 추진되고 있지만 오히려 국제사회의 협력과 국제동맹 구축을 어렵게 하고 있다. 이는 국제안보환경을 보다 불안정하게 하고 있다.이를 전반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본 논문은 반테러 및 새로운 위협 차단을 위한 미국의 대외 정책과 일방주의 노선 그리고 국제사회의 반발에 대해 알아보고 있다. 그리고 미국의 대외 정책에 대한 주요 국가 및 지역의 정책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면서 중국, 러시아, 유럽, 중동, 북한의 대미 견제 동태를 상세히 파악하고 있다. 이를 살펴보면서 본 논문은 바람직한 국제안보환경 조성과 세계 평화와 안정, 자유, 번영을 위한 길을 제시하고 있다.

      • SCOPUSKCI등재

        대장내시경 전처치제로서 Sodium Phosphate 와 Polyethylene Glycol 용액의 전향적 비교 분석

        이헌경,김승용,홍원선,민영일,정훈용,김해련,정성애,김석균,심기남,양석균,박의련,조문경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1999 Clinical Endoscopy Vol.19 No.3

        Background/Aims: Although some authors have suggested that sodium phosphate (NaP) is more effective than polyethylene glycol (PEG) in bowel cleansing, there has been no crossover study proving the superiority of NaP over PEG in bowel cleansing and patients' complian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wo solutions for colonoscopy, PEG and NaP, through crossover design with regard to patients' compliance, cleansing ability and side effects. Methods: Thirty patients underwent two separate colonoscopies for colonic polyp(s) with PEG and NaP, respectively. Before and after bowel preparation, blood pressure, body weight, and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were measured in all patients. In addition, a detail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side effects and the patients' preference. The presence of bubbles, types of residual stool, and overall quality of colon cleansing were assessed by one endoscopist blinded to the type of preparation used. In each colonoscopy, two biopsy specimens were taken at rectum. Results: In the NaP group, but not in the PEG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several biochemical parameters including sodium (+3.0±3.0 mEq/L), potassium (-0.3±0.3mEq/L), calcium (-0.5±0.5 mg/dL), phosphorus (+3.9±2.2 mg/dL) and osmolarity ( +10.1±9.3 mOsm/kg) after bowel preparation. In addition, the degree of body weight change was greater with NaP (-2.2±2.3 kg) than with PEG (-1.2±2.0 kg) (p=0.06) and the formation of bubbles that disturb luminal observation was more frequently found in the NaP group (p$lt;0.01). There was no difference, however, in the type of residual stool and the overall quality of bowel preparation between the two groups and no significant mucosal change was noted after bowel preparation in both groups. Moreover, PEG was found to be more difficult to take than NaP (p$lt;0.05) and among the 30 patients, 26 (87%) preferred NaP, while only two favored PEG (p$lt;0.01). Conclusions: We conclude that NaP can replace PEG at least in patients with good general condition. Further studies to decrease the incidence of bubbles and to establish subgroups suitable for NaP are need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