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차문화의 사회적 인식에 관한 분석

        이향숙,윤정진 국제차문화학회 2024 차문화ㆍ산업학 Vol.64 No.-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차 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차문화 활성화 방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텍스톰(TEXTOM)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인 '차 문화' 키워드를 활용하여 원시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 중 1, 2차 데이터 클리닝 과정을 완료한 데이터 중 빈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200개의 핵심 키워드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1-모드 매트릭스 데이터셋으로 변환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분석에서는 문화, 연구, 개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전체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연결중심성과 근접중심성에서는 문화, 매개중심성에서는 역사, 위세중심성에서는 대표가 가장 중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문화와 연결강도가 가장 높은 것은 연구, 연구와 연결강도가 가장 높은 것은 문화, 개최와 연결강도가 가장 높은 것 또한 문화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현대인들의 차문화에 대한 관심분야를 파악하고 그들의 차에 대한 욕구나 선호도를 예측하여 향후 우리나라 차문화의 저변확대와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plan to revitalize tea culture in the future by examining social perceptions of tea culture using big data. To this end, raw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keyword 'tea culture' which is big data provided by TEXTOM. Among the collected data, 200 key keywords were selected based on the frequency analysis result among the data that completed the first and second data cleaning proces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by converting them into a 1-mode matrix datase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frequency analysis, culture, research, and hosting were the most common. Second, in the overall network analysis, culture in connection centrality and proximity centrality, history in mediation centrality, and representatives in prestige centrality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centrality. Third, in the self-network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st connection strength with culture was research, and the highest connection strength with research was also confirmed as culture, and the highest connection strength was also culture and hosting and connection strength. Based on these results, we intend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the base of Korean tea culture in the future by grasping the areas of interest in tea culture of modern people and predicting their needs or preferences for tea.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미디어를 활용한 인성교육이 대학생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이향숙,윤정진 국제차문화학회 2023 차문화ㆍ산업학 Vol.61 No.-

        본 연구는 미디어를 활용한 인성교육이 대학생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D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189명으로 실험집단 89명, 통제집단 100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에게는 15주간 미디어를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일반교양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반교양 프로그램을 실시한 통제집단에 비해 미디어를 활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인성점수가 유의미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으며 인성 관련 하위요인 중 세계시민의식, 배려, 책임, 효 부분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미디어를 활용한 인성교육이 대학생의 인성 증진에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이는 향후 미디어를 활용한 인성교육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 of personality education courses using media on the personal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9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university ‘D’ in Busan, consisting of 89 stud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100 students in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attended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media for 15 weeks, and the control group attended a general education program for 15 week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tudy show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attended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showed a more positive effect on personality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mong the personality-related sub-factors of the analysis were global citizenship, consideration, responsibility, and filial p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ersonality education courses that use media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ersonality of university students. This is meaningful in that this assessment can be used i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using media in the future.

      • KCI등재

        진실성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적 욕구의 매개효과 검증

        이향숙,신희천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authenticity and subjective well-being. In study 1, Wood, Linley, Maltby, Baliousis and Joseph(2008)'s Authenticity Scale was translated and its psycholog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study 1 investigated the factor structure and reliability of authenticity. The Authenticity Scale showed good internal consistenc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und three factors. The overall goodness-of-fit was expected level And cross validity was good to independence sample. The reliability and inter-item consistency was good. And convergen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Authenticity Scale was good. Study 2 examined if basic psychological needs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uthenticity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relation between authenticity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partially mediated by basic psychological needs. Limitations of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진실성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기본 심리적 욕구가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1에서는 진실성에 대해 측정하는 Wood, Linley, Maltby, Baliousis와 Joseph(2008)의 진실성 척도를 번안하여 타당화 하였다. 연구 1에서 23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실성 척도의 요인 구조를 확인하고 신뢰도를 살펴보았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진실성 척도는 3요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적합도가 양호하였고 독립적인 표본을 통해 살펴본 교차 타당화 결과, 타당도 또한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신뢰도 분석결과, 내적 합치도가 양호하였다. 또한 진실성 척도는 자아존중감과 수렴타당도가 양호했다.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토한 결과, 정서경험 빈도와의 준거 타당도도 양호했다. 연구 2에서는 20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실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기본 심리적 욕구가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진실성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는 기본 심리적 욕구에 의해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