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항만도시의 지속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이태휘 ( Tae Hee Lee ),여기태 ( Gi Tae Yeo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2 해운물류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최근 대두되고 있는 지속가능발전의 개념을 항만도시에 도입하여 항만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고 환경, 삶의 질,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항만 도시 운영 전략을 제시하였다. 항만도시의 지속가능 수준평가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병행한 KJ법을 토대로 8개 지표(인구, 도시면적, GRDP, 노동생산성, 1인당 GRDP, 아황산가스배출량, 컨테이너처리량, 정기선사 수)를 선정하였으며 Containerisation International YearBook(2010)을 통하여 13개 아시아 항만도시를 분석 대상에 포함시켰다. 연구 방법론으로는 다차원척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2차원 평면상의 표시된 13개 항만도시의 좌표를 독립변수로 하고, 8개 속성수준값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보다 심층적인 지속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A그룹에 속한 천진, 상해, 청도, 대련이 가장 낮은 수준의 지속가능성을 보였고, 나고야, 홍콩, 싱가폴이 속한 B그룹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중위권 그룹으로 요코하마, 오사카, 인천, 고베가 속한 C그룹이 중위권 그룹에 속하였으며, 부산과 카오슝의 D그룹이 낮은 지속가능성을 보였다. This paper is applied to recently emerging issu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n port-cit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maximization strategy for sustainable growth regarding environment, the quality of life, and economic profit of the port-city. To evaluate the sustainability of port-city, this paper adopted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MSA) and used eight indicators (population, urban area, GRDP, labor productivity, GRDP per sulfur dioxide emissions, container throughput, the number of direct calling). The selected targeted cities are 13 Asian port-cities that reveal same growth patterns according to the Containerisation International YearBook (2010). The MSA and the MRA are adapted as research methodology using 13 port-cities as dependent variables and 8 attributes as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Group B (Nagoya, Hong Kong, Singapore) has been analyzed as the most sustainable port cities while Group A (Tianjin, Qingdao, Shanghai, Dailian) is analyzed as the group with least sustainable port cities. Group D (Yokohama, Osaka, Incheon) has the middle level of sustainability and Group C (Busan, Kaohsiung) has low one.

      • KCI등재

        국내 주요 벌크터미널의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이세훈 ( Se Hoon Lee ),이태휘 ( Tae Hee Lee ),여기태 ( Gi Tae Yeo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2 해운물류연구 Vol.28 No.3

        벌크화물의 경우 국제 교역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가 시황 예측과 같은 시계열 분석연구에만 치우치고 있을 뿐, 효율성 분석을 다룬 연구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벌크 터미널의 효율성을 비교 분석하여 벌크터미널의 효율적 운영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효율성 분석기법으로 널리 사용되는 DEA(Data Envelopement Analysis)를 통해 효율성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대상은 항만물류협회에 등록된 회원사에서 건화물(Dry Bulk)을 주로 처리하는 하역수입 상위 20개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효율성 분석을 위하여 항만 운영과 관련된 야적장면적, 선석길이를 투입변수로 사용하고, 화물처리량과 하역수입을 산출변수로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포항항의 X14, X15, 인천항의 X1, X8이 BCC 1.0을 보여 상대적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re is scant of research regarding the efficiency measurement of the bulk terminals.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relative efficiency within the Korean Major Bulk Terminals, to select the relatively low effective companies, and to suggest the improvement strategies for those. As a research methodology,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applied to the top 20 domestic bulk terminals in terms of an annual profit which listed on the Korea Port Logistics Association (KPLA). To draw out the efficiency of targeted terminals, the area of the open-air stoage yard, the length of the berth are used as an input variables while the handling cargo volumes and the annual profits are represented as an output variables. As a result, 4 terminals such as X1 and X8 in Incheon Port; and X14, X15 in Pohang Port are found to be the most efficient ones in the sample which are scored BCC 1.

      • KCI등재

        3T MREIT 시스템을 이용한 실험견 사체의 두부 도전율 영상

        정우철,김영태,김형중,이태휘,강병택,박희명,우응제,Jeong, Woo-Chul,Kim, Young-Tae,Minhas, Atul S.,Kim, Hyung-Joong,Lee, Tae-Hwi,Kang, Byeong-Teck,Park, Hee-Myung,Woo, Eung-Je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09 의공학회지 Vol.30 No.2

        Magnetic Resonance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MREIT) is a new bio-imaging modality providing cross-sectional conductivity images from measurements of internal magnetic flux densities produced by externally injected currents. Recent MREIT studies demonstrated successful conductivity image reconstructions of postmortem and in vivo canine brain. However, the whole head imaging was not achieved due to technical issues related with electrodes and noise in measured magnetic flux density data. In this study, we used a new carbon-hydrogel electrode with a large contact area and injected 30 mA imaging current through a canine head. Using a 3T MREIT system, we performed a postmortem canine experiment and produced high-resolution conductivity images of the entire canine head. Collecting magnetic flux density data inside the head subject to multiple injection currents, we reconstructed cross-sectional conductivity images using the harmonic $B_z$ algorithm. The conductivity images of the canine head show a good contrast not only inside the brain region including white and gray matter but also outside the brain region including the skull, temporalis muscle, mandible, lingualis proprius muscle, and masseter musc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