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복부흉터에 발생한 자궁내막종

        이태민,김유진,김선구,이세일,Yi, Tae-Min,Kim, Yu-Jin,Kim, Sun-Goo,Lee, Se-Il 대한성형외과학회 2010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37 No.6

        Purpose: Plastic surgeon can easily misdiagnose the mass on the postoperative scar as hypertrophic scar. We present a case of endometrioma at abdominal scar after cesarean section. Methods: A 36 year-old female visited with a protruding, rubbery hard mass on her abdominal scar. The mass grew slowly after cesarean section performed 7 years ago. She has felt intermittent pain, not with menstrual cycle, for 2 months. The ultrasonography showed a solid irregular, ill defined mass with heterogenous echogenicity. The MRI finding is suggestive of malignant soft tissue tumor with deep fascial invasion. Incisional biopsy showed acanthosis, melanophage, lymphoplasmacytic infiltration. So we excised mass elliptically, we could see chocolatelike discharge from the mass, adhering to external oblique muscle fascia. The mass confirmed histologically as an endometrioma. Results: The mass was completely removed and did not recurr. The patient does not complain more about pain or any discomfort. Conclusion: Plastic surgeons should be aware of the possibility of endometrioma when the patient present with mass on her abdominal scar after surgery of the pelvis and abdomen.

      • KCI등재

        매스티지 브랜드 명품성 개념에 대한 측정항목과 구조규명에 관한 연구

        이태민,양하림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0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브랜드 명품성 연구와는 달리 매스티지 브랜드 명품성(MBL : Masstige Brand Luxury) 개념을 다차원적 위계 구조로 모형화하고 이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맨 상위수준의 매스티지 브랜드 명품성을 구성하는 3가지 기본차원으로서 기능적 가치(functional value), 상징적 가치(symbolic value), 경험적 가치(experiential value)를 제시하였다. 3개 기본차원들은 각각 2-4개씩의 하위차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모형화하였다. 기능적 가치의 하위차원으로서는 품질성(quality), 합리성(rationality), 대중성(popularity), 상징적 가치의 하위차원으로서는 과시성(conspicuousness), 소속성(membership), 유명성(reputation), 자아확장성(extended self), 경험적 가치의 하위차원으로서는 독특성(uniqueness)과 쾌락성(hedonism)이 포함되어 총 9개의 하위차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MBL의 3차원 위계구조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위해 3단계 분석절차, 즉 3개 기본차원에 대한 검증, 3개 기본차원의 상위차원으로서의 매스티지 브랜드 명품성에 대한 검증, 그리고 3개 기본차원-9개 하위차원 구조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검증과정을 통해 본 연구모형으로 제시한 MBL의 3차원적 위계적 구조가 실증적으로 지지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Through qualitative and empirical research, the authors find that masstige brand luxury (MBL) construct conforms to the hierarchical third-order factor structure that ties masstige brand luxury perceptions to distinct and actionable primary dimensions : functional value, symbolic value, experiential value. In turn, each primary dimension has two or four subdimensions that define the basis of masstige brand luxury perceptions. Specifically, nine subdimensions were proposed : quality, rationality and popularity as subdimension of functional value, conspicuousness, membership, reputation and extended self (symbolic value), uniqueness and hedonism (experiential value). According to Dabholkar et al. (1996), we decided to test the proposed model in three stages-a test of the four basic dimensions, a test of the second-order factor, and a test of the subdimensions. These tests reveal whether our proposed hierarchical structure is supported in part or who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three stage approach support the hierarchical third-order factor structure of MBL and validity of the scale as the measure of MBL.

      • KCI등재후보

        Association of Complex Fractionated Electrograms with Atrial Myocardial Thickness and Fibrosis

        이태민,이소령,Myung-Jin Cha,최의근,Seil Oh 대한부정맥학회 2018 International Journal of Arrhythmia Vol.19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Although ablation of complex fractionated atrial electrograms (CFAE) in atrial fibrillation (AF) is one of the strategies for atrial substrate modification, the mechanism behind CFAE as an electrophysiological substrate remains unclear. We investigated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CFAE sites and their matched non-CFAE sites by comparing their histopathologic characteristics in canine AF models. Methods: Atrial electrograms of four dogs were obtained from the epicardial site. AF was induced through burst atrial pacing at 600 bpm for 30 min. CFAE sites were identified during AF according to patterns visualized on the electrograms, and their matched non-CFAE sites were selected in the adjacent region, within 5 mm of each CFAE site. Tissues were harvested from CFAE sites and their matched non-CFAE sites at various locations in both atria. Histopathologic differences were identified between CFAE and non-CFAE sites. Results: A total of 24 atrial tissues (12 with CFAE, 12 with non-CFAE) were evaluated. The atrial myocardium was significantly thicker at CFAE sites (1757.5±560.5 μm) than at non-CFAE sites (1279.5±337.2 μm) (p=0.036). At CFAE sites, it was filled with a significantly larger amount of fibrotic tissue than at non-CFAE sites (22.8±6.9% versus 7.2±4.7%, p<0.001). Results were consistent across various tissue locations. The distribution of autonomic nerve innervation was similar between CFAE and non-CFAE site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CFAE sites, namely a thicker wall and greater amount of fibrosis. These findings may be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CFAE and its pathophysiological contribution to AF.

      • KCI등재

        콘크리트 시설물 내부 철근 및 공극 구별을 위한 GPR 기반 이미징 기법 개발

        이태민,최하진,강수민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22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42 No.4

        In this study, a GPR-based imaging algorithm was developed to detect void-like defects in concrete structures. With an increase in the complexity of concrete structures in the civil engineering domain, construction errors and quality control have been the important issues. To identify structural safety, the engineers must check the placement of reinforcing bars as well as unplanned materials inside concrete such as void and PVC pipes. A GPR-based imaging algorithm has several advantages of real-time measurement and visualization of internal structural information. Using the concept of reflection coefficient, phase information when electromagnetic waves are reflected at void and PVC was enhanced to the SAFT algorithm to differentiate the defects in steel bars. The developed algorithm was evaluated based on testing specimen including rebar, void, and PVC pipes and showed a great potential of detecting void-like defects inside concrete. 콘크리트 시설물 내 배근되어 있는 철근계측에 주로 활용되는 GPR의 알고리즘을 보강하여 공극을 구별해 낼 수 있는 알고리즘을 고안하였다. 건축, 토목 시설물의 대형화 및 복잡화로 인하여 시공오차율 및 부실시공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철근 배근의 정확도 판단뿐만 아니라 내부 공극 및 재료의 확인도 안전진단 및 시공품질 관리의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계측 및 데이터 시각화의 장점이 있는 GPR 기법을 활용하여 콘크리트 시설물 내부 공극 및 PVC 파이프를 구별해 내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전자기파 신호가 철근이 아닌 공극과 같은 재료에서 반사될 때 발생하는 위상 역전 현상을 확인하고, 이를 SAFT(Synthetic Aperture Focusing Technique) 알고리즘에 반영하여 시각화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철근, 공극, PVC 파이프가 포함된 검증 시편을 통하여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활용이 브랜드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현명 쇼핑감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이태민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4 마케팅논집 Vol.22 No.2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가 확산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한 기존 연구는 주로 온라인 환경에 서의 소셜 네트워크에 초점을 두어왔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과 브랜드 성과 간 관련성을 고찰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와 차별화되는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이용 동기를 고찰하고, 스마 트폰을 통한 모바일 쇼핑환경에서 소비자들의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활용이 어떻게 브랜드 성과에 연결되는지를 분석하 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이용 동기-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쇼핑 활용도-브랜드 성과로 연결되는 구조적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쇼핑 활용도와 브랜드 성과를 이어주는 주요 개념으로 지각 된 현명 쇼핑감을 제시하고 이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의 정황적 동기, 심리적 동기, 사회적 동기, 정보공유 동기가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쇼핑 활용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의 차별적 이용 동기인 정황적 동기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밝혀졌다. 모바일 쇼핑환경에서 의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활용도는 지각된 현명 쇼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들의 지각 된 현명 쇼핑감은 브랜드 감정과 브랜드 구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지각된 현명 쇼핑감과 브랜드 성과의 연관성이 확인되었다. 브랜드 감정이 브랜드 구전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력도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 탕으로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모바일 쇼핑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브랜드 관리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re is a rapid increase in the smartphone-based mobile social network(MSN) usage. Previous research on social network service focuses on online environ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service usage and brand performance was not investigated. In the study, MSN-specific usage motive and the effect of mobile social network(MSN) usage in mobile shopping environment on brand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SN usage motive, MSN usage for mobile shopping and brand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Smart shopper feeling was suggested as the key mediating variable between MSN usage for mobile shopping and brand performance. According to empirical results, MSN usage motives such as contextual motive, psychological motive, social motive and information sharing motiv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MSN usage for mobile shopping. MSN-specific contextual motive has the strongest effect on MSN usage for mobile shopping. MSN usage for mobile shopping has a significant impact on smart shopper feelings. Smart shopper feelings triggered by MSN usage for mobile shopp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brand affect and brand word of mouth. Based on these empirical results, manageri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brand management strategy in MSN-based mobile shopping environments.

      • KCI등재

        The Effects of eWOM Objectivity on Perceived Credibility: Investigating the Moderating Role of National Culture and Product Type

        이태민,박철 한국상품학회 2009 商品學硏究 Vol.27 No.3

        We examined how eWOM (electronic word-of-mouth) objectivity (factual vs. evaluative) affects perceived credibility. We focused on the moderating role of national culture (Korea vs. the U.S.) and product type (search vs. experience goods).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show that perceived credibility is higher for evaluative eWOM than for the factual eWOM, that Koreans perceive eWOM as being more credible than Americans, and that the perceived credibility is higher for search goods than for experience goods in the U.S. In contrast, in Korea, the perceived credibility is higher for experience goods than for search goods. In addition, the results support the moderating effects of national culture and product types regarding the eWOM objectivity-perceived credibility relationship. Specifically, the impact difference of factual and evaluative eWOM on perceived credibility is higher for the Korean sample than for the U.S. sample. The impact difference of factual and evaluative eWOM on perceived credibility is higher for experience goods than for search good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online marketing communic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모바일 상거래 환경에서의 기술수용모델 영향요인 분석

        이태민 대한경영학회 2004 大韓經營學會誌 Vol.17 No.5

        The key interest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propose ubiquitous connectivity and contextual offer as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mobile commerce environments but also to test if the addition of the two unique characteristic significantly improves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it compared with previous simple TAM.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addition of the two components(ubiquitous connectivity and contextual offer) improves the model fit in explaining mobile commerce adoption. Also, ubiquitous connectivity and contextual offer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especially, contextual offer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doption intention of mobile commerce directly. And subjective mobile internet knowledge is significantly related to perceived ease of use and innovativeness, social influence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perceived usefulness. Based on these empirical results, this study suggests managerial implications for new marketing strategies, focusing on the context-based marketing communication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상거래 환경의 독특한 특성으로 유비쿼터스 접속성과 상황기반 제공성을 제시하고, 이러한 모바일만의 특성변수를 반영한 기술수용모델이 기존의 기술수용모델보다 모바일 상거래 수용의도에 대한 설명력을 높이는지 여부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유비쿼터스 접속성과 상황기반 제공성이 새롭게 포함된 기술수용모델이 유의한 모델 적합도의 향상을 가져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비쿼터스 접속성과 상황기반 제공성이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도 확인되었으며, 특히 상황기반 제공성은 모바일 상거래 수용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인터넷관련 주관적 지식은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소비자 혁신성과 사회적 영향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느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고객 커뮤니케이션 채녈의 통합전략 및 상황에 초점을 둔 효과적인 CRM전략에 관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