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브랜드 충성도 형성과정에서 소비자 특성의 조절적 역할에 관한 연구
이태민 충북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3 産業과 經營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충성도 형성과정에서 소비자 특성변수의 조절적 역할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브랜드 충성도 형성과정의 주요한 영향변수로 연구되어온 브랜드 품질과 브랜드 감정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제품에 대한 소비자 지식수준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제품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은 소비자들의 경우에는 브랜드 품질보다 브랜드 감정이 브랜드 충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제품에 대한 소비자 지식수준이 낮은 소비자들의 경우에는 브랜드 감정보다 브랜드 품질이 브랜드 충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결과를 바탕으로 브랜드 충성도 강화 전략에 있어 제품에 대한 소비자 지식수준에 따른 차별적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GPR 기반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두께 검측 기법 개발
이태민,강민주,최민서,정선웅,최하진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2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6 No.3
In this paper, we proposed a thickness measurement method of concrete slab using GPR, and the verification of the suggested algorithm was carried out through real-scale experiment. The thickness measurement algorithm developed in this study is to set the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based on the unique shape of parabola, and time series data can be converted to thickness information. GPR scanning were conducted in four types of slab structure for noise reduction, including finishing mortar, 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and noise damping layer. The thickness obtained by GPR was compared with Boring data, and the average error was 1.95 m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inishing materials on the slab, additional three types of finishing materials were placed, and the following average error was 1.70 mm. In addition, sampling interval from device, the effect of radius on the shape of parabola, and Boring error were comprehensively discussed. Based on the experimental verification, GPR scanning and the suggested algorithm have a great potential that they can be applied to the thickness measurement of finishing mortar from concrete slab with high accuracy. 국내의 공동주택 보급률 증가에 따라 층간소음으로 인한 문제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바닥 충격음 차단 구조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며 해당 구조에 대한 성능 인증이 이뤄지고 있지만 소음 차단 성능이 현장에서는 재현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해당 구조가 제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일정 두께 이상의 마감 모르타르 타설이 필요하며, 해당 구조의 시공 적정성 판정을 위하여 GPR을 이용한 두께 측정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두께 측정 알고리즘은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대유전율을 설정할 수 있어 정확한 두께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네 종류의 바닥 충격음 차단 인증 구조에서 GPR 두께 측정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GPR 데이터와 천공 측정 데이터 간 평균 오차는 1.95mm로 나타났다. 또한 마감재 유무가 측정값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총 3가지 종류의 마감재를 배치하고 실험을 진행으며, 평균 오차는 1.70mm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장비의 샘플링 오차, 개발 알고리즘 변수, 천공 오차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GPR 계측 및 제안 알고리즘은 매우 높은 정확도로 슬래브 마감 모르타르의 두께 측정에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활용이 브랜드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현명 쇼핑감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이태민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4 마케팅논집 Vol.22 No.2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가 확산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관한 기존 연구는 주로 온라인 환경에 서의 소셜 네트워크에 초점을 두어왔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과 브랜드 성과 간 관련성을 고찰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와 차별화되는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이용 동기를 고찰하고, 스마 트폰을 통한 모바일 쇼핑환경에서 소비자들의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활용이 어떻게 브랜드 성과에 연결되는지를 분석하 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이용 동기-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쇼핑 활용도-브랜드 성과로 연결되는 구조적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쇼핑 활용도와 브랜드 성과를 이어주는 주요 개념으로 지각 된 현명 쇼핑감을 제시하고 이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의 정황적 동기, 심리적 동기, 사회적 동기, 정보공유 동기가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쇼핑 활용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의 차별적 이용 동기인 정황적 동기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밝혀졌다. 모바일 쇼핑환경에서 의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활용도는 지각된 현명 쇼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들의 지각 된 현명 쇼핑감은 브랜드 감정과 브랜드 구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지각된 현명 쇼핑감과 브랜드 성과의 연관성이 확인되었다. 브랜드 감정이 브랜드 구전에 미치는 유의한 영향력도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 탕으로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기반의 모바일 쇼핑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브랜드 관리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re is a rapid increase in the smartphone-based mobile social network(MSN) usage. Previous research on social network service focuses on online environ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service usage and brand performance was not investigated. In the study, MSN-specific usage motive and the effect of mobile social network(MSN) usage in mobile shopping environment on brand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SN usage motive, MSN usage for mobile shopping and brand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Smart shopper feeling was suggested as the key mediating variable between MSN usage for mobile shopping and brand performance. According to empirical results, MSN usage motives such as contextual motive, psychological motive, social motive and information sharing motiv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MSN usage for mobile shopping. MSN-specific contextual motive has the strongest effect on MSN usage for mobile shopping. MSN usage for mobile shopping has a significant impact on smart shopper feelings. Smart shopper feelings triggered by MSN usage for mobile shopp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brand affect and brand word of mouth. Based on these empirical results, manageri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brand management strategy in MSN-based mobile shopping environments.
직접 접촉식 막 증발공정에서 무기 막오염 특성 분석 및 저감방법
이태민,김승현 대한상하수도학회 2020 상하수도학회지 Vol.34 No.2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inorganic fouling and fouling reduction method in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DCMD) process. Synthetic seawater of NaCl solution with CaCO3 and CaSO4 was used for this purpose. It was found in this study that both CaCO3 and CaSO4 precipitates formed at the membrane surface. More fouling was observed with CaSO4(anhydrite) and CaSO4・0.5H2O(bassanite) than CaSO4・2H2O(gypsum). CaCO3 and gypsum were detected at the membrane surface when concentrates of SWRO(seawater reverse osmosis) were treated by the DCMD process, while gypsum was found with MED(multi effect distillation) concentrates. Air backwash(inside to out) was found more effective in fouling reduction than air scouring.
매스티지 브랜드 명품성 개념에 대한 측정항목과 구조규명에 관한 연구
이태민,양하림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0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브랜드 명품성 연구와는 달리 매스티지 브랜드 명품성(MBL : Masstige Brand Luxury) 개념을 다차원적 위계 구조로 모형화하고 이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맨 상위수준의 매스티지 브랜드 명품성을 구성하는 3가지 기본차원으로서 기능적 가치(functional value), 상징적 가치(symbolic value), 경험적 가치(experiential value)를 제시하였다. 3개 기본차원들은 각각 2-4개씩의 하위차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모형화하였다. 기능적 가치의 하위차원으로서는 품질성(quality), 합리성(rationality), 대중성(popularity), 상징적 가치의 하위차원으로서는 과시성(conspicuousness), 소속성(membership), 유명성(reputation), 자아확장성(extended self), 경험적 가치의 하위차원으로서는 독특성(uniqueness)과 쾌락성(hedonism)이 포함되어 총 9개의 하위차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MBL의 3차원 위계구조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위해 3단계 분석절차, 즉 3개 기본차원에 대한 검증, 3개 기본차원의 상위차원으로서의 매스티지 브랜드 명품성에 대한 검증, 그리고 3개 기본차원-9개 하위차원 구조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검증과정을 통해 본 연구모형으로 제시한 MBL의 3차원적 위계적 구조가 실증적으로 지지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Through qualitative and empirical research, the authors find that masstige brand luxury (MBL) construct conforms to the hierarchical third-order factor structure that ties masstige brand luxury perceptions to distinct and actionable primary dimensions : functional value, symbolic value, experiential value. In turn, each primary dimension has two or four subdimensions that define the basis of masstige brand luxury perceptions. Specifically, nine subdimensions were proposed : quality, rationality and popularity as subdimension of functional value, conspicuousness, membership, reputation and extended self (symbolic value), uniqueness and hedonism (experiential value). According to Dabholkar et al. (1996), we decided to test the proposed model in three stages-a test of the four basic dimensions, a test of the second-order factor, and a test of the subdimensions. These tests reveal whether our proposed hierarchical structure is supported in part or who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three stage approach support the hierarchical third-order factor structure of MBL and validity of the scale as the measure of MBL.
이태민,김성태,김영택,민지영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7 No.5
본 논문에서는 항만 계류시설 중 대표적인 구조형식인 케이슨식 안벽의 장기 거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센서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고, 약 10개월간의 데이터를 검토하였다. 문헌을 바탕으로 항만시설물의 피해 원인 및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이에 적합한 센서및 계측 시스템을 선정, 현장에 설치하여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확보한 데이터는 LTE 통신망으로 서버에 전달 및 저장된다. 현장상황을 고려하여 경사계, 이격거리계, 침하계를 설치하였으며, 서로 다른 케이슨간의 비교를 위하여 2개 함을 대상으로 센서를 부착하였다. 계측된 센서 데이터와 기온 및 인근 해역에서 계측된 조위 데이터의 상관성을 비교하였다. 이격거리계와 침하계의 경우 온도에 따른 영향이 지배적으로 나타난 반면, 경사계는 상대적으로 덜 민감한 경향을 보였다. 온도가 약 50도 변화 할 때, 변위는 10mm, 침하는 2mm, 기울기는 0.1도 가량 변화하였다. 한편, 조위 데이터와는 뚜렷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추후 심도있는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계측된 데이터의 특성을 바탕으로 중력식 안벽에 이상상태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탐지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중력식 안벽 대상 지속적인 장기 데이터 확보 및 분석을 통하여, 재해 및 재난 발생 시 구조물의 안전성 및 사용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a sensor-based monitoring system was established to analyze the long-term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caisson quay wall, a representative structural type in port facilities. Data was collected over a period of approximately 10 months.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anomalous behaviors of port facilities were classified, and a measurement system was selected to detect them. Monitoring systems were installed on-site to periodically collect data. The collected data was transmitted and stored on a server through LTE network. Considering the site conditions, inclinometers for measuring slope and crack meters for measuring spacing and settlement were installed. They were attached to two caissons for comparison between different caissons. The correlation among measured data, temperature, and tidal level was examined. The temperature dominated the spacing and settlement data. When the temperature changed by approximately 50 degrees, the spacing changed by 10 mm, the settlement by 2 mm, and the slope by 0.1 degre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clear relationship with tidal level, indicating a need for more in-depth analysis in the futu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ollected database,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 algorithms for detecting abnormal states in gravity-type quay walls. The acquisition and analysis of long-term data enable to evaluate the safety and usability of structures in the event of disasters and emergencies.
콘크리트 시설물 내부 철근 및 공극 구별을 위한 GPR 기반 이미징 기법 개발
이태민,최하진,강수민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22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42 No.4
In this study, a GPR-based imaging algorithm was developed to detect void-like defects in concrete structures. With an increase in the complexity of concrete structures in the civil engineering domain, construction errors and quality control have been the important issues. To identify structural safety, the engineers must check the placement of reinforcing bars as well as unplanned materials inside concrete such as void and PVC pipes. A GPR-based imaging algorithm has several advantages of real-time measurement and visualization of internal structural information. Using the concept of reflection coefficient, phase information when electromagnetic waves are reflected at void and PVC was enhanced to the SAFT algorithm to differentiate the defects in steel bars. The developed algorithm was evaluated based on testing specimen including rebar, void, and PVC pipes and showed a great potential of detecting void-like defects inside concrete. 콘크리트 시설물 내 배근되어 있는 철근계측에 주로 활용되는 GPR의 알고리즘을 보강하여 공극을 구별해 낼 수 있는 알고리즘을 고안하였다. 건축, 토목 시설물의 대형화 및 복잡화로 인하여 시공오차율 및 부실시공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철근 배근의 정확도 판단뿐만 아니라 내부 공극 및 재료의 확인도 안전진단 및 시공품질 관리의 중요한 지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계측 및 데이터 시각화의 장점이 있는 GPR 기법을 활용하여 콘크리트 시설물 내부 공극 및 PVC 파이프를 구별해 내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전자기파 신호가 철근이 아닌 공극과 같은 재료에서 반사될 때 발생하는 위상 역전 현상을 확인하고, 이를 SAFT(Synthetic Aperture Focusing Technique) 알고리즘에 반영하여 시각화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철근, 공극, PVC 파이프가 포함된 검증 시편을 통하여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환경에서 브랜드 SNS 특성이 브랜드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브랜드 체험정보 공유성과 브랜드 이미지 적합성의 한미 간 영향력 비교를 중심으로
이태민,강진생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8 e-비즈니스 연구 Vol.19 No.1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SNS 환경에서 브랜드 SNS의 행동적/실용적 특성인 브랜드 체험정보 공유성과 심리적/상징적 특성인 브랜드 이미지 적합성이 브랜드 SNS 활용강도와 브랜드 구전에 미치는 영향력을 한국과 미국 간 비교 문화적 관점에서 비교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브랜드 체험정보 공유성과 브랜드 이미지 적합성은 모두 브랜드 SNS 활용강도와 브랜드 구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SNS 활용강도가 브랜드 구전에 미치는 영향력도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모형에 대한 한국과 미국 간 비교 분석결과 브랜드 체험정보 공유성이 브랜드 SNS 활용강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한국보다 미국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브랜드 이미지 적합성이 브랜드 SNS 활용강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미국보다 한국의 경우에 더 크게 나타났다. 브랜드 SNS 활용강도가 브랜드 구전에 미치는 영향력은 한국보다 미국의 경우에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모바일 SNS 환경에서 브랜드 SNS를 활용한 효과적인 글로벌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In the study, the effects of brand experience information sharing and brand image congruence on brand SNS intensity and brand WOM was investigated on the cross-cultural basis. According to empirical results, brand experience information sharing and brand image congruenc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SNS intensity. The effect of brand SNS intensity on brand WOM was also validated. There are cultural effects in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brand SNS characteristics and brand SNS intensity. The effect of brand experience information sharing on brand SNS intensity was greater for U.S. consumers than for Korean consumers. On the contrary, the effect of brand image congruence on brand SNS intensity was greater for Korean than for Americans. the effect of brand image congruence on brand SNS intensity was greater for Korean than for Americans. The effect of brand SNS intensity on brand WOM was greater for U.S. consumers than for Korean consumers. Based on empirical results, manageri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global brand communication strategy in smartphone-based mobile SNS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