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간의 퇴화된 능력과 영재

        이충범(Choong Bum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4

        영재성이 무엇인가 하는 논의는 학계의 지속적인 물음으로 남아있다. 그러나 적어도 영재성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공동체의 요구와 시대적 변화를 고려해야만 한다. 현대의 교육은 영재성을 지능, 논리적 사고, 학습능력, 창의력 등 이성적이고 지적인 측면만을 고려하여 왔다. 이러한 경도됨을 수정하기 위해서 최근 새로운 영재 혹은 새로운 인간상으로 호모 엠파티쿠스 개념이 대두되고 있다. 공감하는 인간형인 호모 엠파티쿠스는 전통적인 철학의 언어로서는 쉽게 설명되지 않는다. 인간이해의 이론적 토대로서 전통적인 서구의 존재론과 인식론은 개물을 원자 혹은 개별자 중심으로만 파악함으로써 상호의존 및 침투의 가능성을 소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전통적인 존재론에 토대를 둔 인식론들은 인식의 기초를 주체와 객체로 이원화하고 주체가 대상을 포섭하는 관계로만 파악함으로써 인식론 자체를 이성 및 오성의 작용으로 국한시키고 있다. 그 결과 전통적인 인식론은 모든 차이들을 하나의 동일성으로 회귀시키려는 시도로 파악된다. 전통철학의 대안으로서 현대 프랑스 철학의 차이와 감응은 개물을 독립된 존재로 파악하기보다는 내재성 안의 지속적 힘들의 발생과 그 차이로 이해하고 있다. 그리고 인식이란 그러한 힘들의 마주침에 진동하고 감응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론을 G.Deleuze는 초월적 경험론으로 기술하였다. 단적으로 말한다면 초월적 경험론이란 머리로 아는 능력이라기보다 느끼고 작동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능력은 전통철학의 입장에서 신비주의와 미신 등으로 폄하되었고 언어발달로 인하여 퇴화되었다. 공감할 줄 아는 인간인 호모 엠파티쿠스는 이러한 기능의 회복을 전제로 한다. 또한 12세기 인물인 아씨시의 성프란체스코의 전기는 그가 호모 엠파티쿠스라는 개념과 매우 일치하는 인물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현대의 영재개념은 지적능력과 더불어 타자들과 공감하는 능력을 포괄해야만 한다. It has been a long and tedious debate what giftedness or its characteristics are. Today s education tends to deal with giftedness in terms of rational and intellectual perspectives. Accordingly, intelligence, logical reasoning, learning ability, and scientific or numerical ability have been the crowning factors for giftedness. Being different from the above concept of giftedness,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 homo empathicus is emerging as a new ideal model of the human being. In short, the notion of homo empathicus embraced human sensibility, sensuality, and sexuality, which are affected by others. Transcendental empiricism is a different way of thinking orientation, feeling, sensibility, sensuality, and living in order to affect others. Post-structuralists such as Gilles Deleuze, Michel Foucault, and John Caputo criticized that traditional ontology was a huge architecture that was uninhabited or deserted because it comprehended things as a bunch of particles or atoms. Thus, traditional ontology put the other and differences into the concept of identity. The possibility of interdependence, mutual penetration, and inter-connectedness has not been permitted from the outset. Based on the ontology, traditional epistemology dealt with cognition as the co-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Recent French philosophers blamed these two paths as dead ends that brought everything back to totality and identity. Their goal is to replace the philosophy of identity with a philosophy of the monstrous difference that makes a crack in the dictatorial power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identical. In the contrast to the tradition, poststructuralists understand the thing not as an independent particle but differences, which is a(the) force generated repeatedly in the field of the immanence. Thus, transcendental empiricism is not a certain type of theory, system, or alternative philosophical methodology but a different way of thinking to affect a(the) generated or virtual force. So to speak, transcendental empiricism is the ability to affect forces and the only methodology to become a homo empathicu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effect of forces on the examples of animals, insects, marshal arts and so on. Furthermore, it claims that the ability of affection is a type of rudimentary human power or capacity. In conclusion, as an example of homo empathicus, the study shows the 12th century figure, St. Francis of Assis, who affected to the creatures and the divine power. Conclusively, this study claims that the definition of the giftedness has to embrace the concept of affect.

      • KCI등재

        한국감리교의 초기역사경관에 관한 고찰(1) -인천광역시 중구의 아펜젤러 선교사의 발자취를 중심으로-

        이충범 ( Choong Bum Lee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2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2 No.1

        본 논문은 한국 개신교 최초의 선교사이자 감리교 초대 선교사인 헨리 게어하르트 아펜젤러 선교사의 선교 영역인 인천광역시 중구 일대의 역사경관을 고찰하고 있다. 인천지역의 제물포항은 우리나라 개항기의 유일한 외국인 통로였고 이 통로를 통하여 서구의 문물 및 개신교가 유입되었다. 그리고 그 당시 매우 발달된 도시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 지역의 개신교 역사경관을 조사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밝힘으로써 우리 근대사의 역사성과 장소성의 회복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우리의 문화자산을 활용하고 발전시킴으로써 교육적효과와 관광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특히 개신교인들 중에서 감리교인들에게 새로운 영적 프로그램으로 개발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도를 통하여 우리가 보유하고 있는 소중한 문화자산의 보호와 활용, 그리고 더 나아가서 구도심 개발의 방법론을 모색하고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historic sites in the central area of Incheon Harbor where the vestiges of Henry Gerhard Appenzeller who was the first Methodist missionary remained. By researching these religious landscapes, represented the history of Korean Methodism and Protestantism, this article demonstrates the differences of this cultural landscape from the characteristics of other areas. In addition, the writer tries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bout Korean modern history by giving the meaning to the dispersed and segregated historic sites. By doing so, this article also demonstrates the historicity and spatiality of the specific religious culture. In conclusion, the writer has focused on making our effort to keep and to make good use of the historic sites as our cultural and historical assets.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고대교회의 금욕주의에 관한 한 연구 -은둔과 독신수행을 중심으로-

        이충범 ( Choong Bum Lee ) 한국중세철학회 2011 중세철학 Vol.0 No.17

        그리스도교의 가장 중요한 전통이자 덕목 중의 하나가 금욕주의이다. 금욕주의는 전통적으로 영혼을 정화하고, 세속의 때를 벗어버리며, 정신적인 가난과 정결을 지키기 위하여 그리스도교 초기부터 발전시킨 전통이다. 본 논문은 고대 그리스도교의 금욕주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러나 금욕주의가 중립적인 가치임에도 불구하고 초기 그리스도교 금욕주의의 동기, 과정, 방법론, 결과에 있어서 남녀의 상이점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고대 금욕주의에서 볼 수 있는 남녀의 차이에 대하여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이것을 위하여 은둔금욕수행과 독신동정수행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어 남녀 금욕주의자들의 금욕의 동기, 금욕의 과정, 방법론, 그리고 금욕주의의 결과에 대하여 서로 대조하고 이러한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를 드러냄으로써 이 차이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묻고 있으며, 이 차이를 통하여 현재의 삶의 교훈을 묻고 있다. The most important tradition in Christianity has been the tradition of asecticism. Traditionally, Christians have practiced ascetical disciplines for the purpose of purifying individual soul, setting apart themselves from the turmoil world, and keeping their chastity both of soul and body. From the beginning, Christianity has developed this type of ascetical tradition. However, even though the term, "asceticism" is neutral, the historical documents of Christianity did not demonstrate the neutrality. In the Late Antiquity, motive, process, method, and consequence of asceticism depended upon the gender. Therefore, this paper is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ale and female asceticism in the Late Antiquity. For this purpose, the writer will concentrate on reclusion and celibacy both of male and female ascetics. From the result, the writer is asking what the differences means and what the Christian be taught from the differences to the today`s Christians.

      • KCI등재

        논문 : 생태신학자 빙엔의 힐데가르트

        이충범 ( Choong Bum Lee ) 한국중세철학회 2009 중세철학 Vol.0 No.15

        생태와 환경의 문제는 현재 지구적인 문제이다. 당면한 문제에 대하여 종교계들도 서둘러 해법을 내놓고 있는 실정에서 본 소고는 그리스도교 역사 속에서 그 어떤 인물보다 자연친화적이었던 중세의 여성 신학자 빙엔의 힐데가르트와 그녀의 창조 줌심적 자연관을 소개한다. 힐데가르트의 창조 중심적 자연관은 첫째 모든 피조물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사고로 나타난다. 그녀에 있어서 피조물들은 상호 연결 되어 유지되며 인간 역시 피조물인 자연과 괴리되어 존재할 수도 유지될 수도 없다. 이러한 힐데가르트의 사고는 피조물과 육체에 대하여 존경과 긍정적인 태도로 묘사되고 있다. 둘째 이 중세의 여신학자는 세계를 정적인 면보다 동적인 면을 강조하여 바라보고 있다. 그녀는 여러 비유들을 통하여 자신의 동적 세계관을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힐데가르트에 있어서 가장 특별한 개념은 녹색생명의 힘(viriditas)인 바 힐데가르트는 이 용어를 신의 속성으로 묘사하면서 자연만물을 관통하여 흐르는 건강한 생기로 서술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힐데가르트의 자연관과 신학은 인간과 자연의 통합과 조화를 강조하고 있다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Today, the crisis of ecology and environment is a global issue. This study has probed into life and works of an environmental-friendly women mystic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Hildegard of Binge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ology of Hildegard focused on creation rather than salvation. Her creation centered theology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Hildegard emphasized on the very interconnectedness of creatures including human beings. All creatures could not exist or keep their identity without others. For her, everything is to be related. Secondly, by dint of several metaphors such as living light, blazing fire, music or melodics, Hildegard demonstrated her kinetic world view. Finally, Hildegard introduced the most specific concept, viriditas which can be read as vitality, greenness, fecundity, fertility, and fruitfulness. Considering it as an attribute of God, she delineated viriditas as healthy power or force penetrating creatures. In conclusion, it is suffice to say that Hildegard`s theology on nature is more wholistic and harmonic than any other medieval male thinke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금식하는 성녀와 거식증 소녀 -성 카타리나(St. Catherine of Siena)와 현대거식증을 중심으로-

        이충범 ( Lee¸ Choong-bum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9 가톨릭철학 Vol.0 No.13

        본 논문은 경이적인 금식을 하는 중세의 성녀와 거식증에 걸린 현대의 여성들을 비교하면서 가부장적 문화와 억압적인 사회구조를 드러내려고 시도하였다. 금식과 거식은 매우 유사한 이웃항(terms)들을 갖고 있다. 두 현상은 일정시대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유행성 현상이라는 점, 젠더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는 점, 매우 유사한 증상들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사하다. 금식과 거식을 현상으로 드러내는 하부구조는 우선 여성의 순결이 숭배되는 문화이다. 여성의 성과 성욕을 소거해왔던 중세는 성욕을 느끼는 여성들을 탐욕스럽고 비정상적인 존재로 전락하였고 이것이 바로 여성들에게 내면화된 자신들의 이미지였다. 따라서 육체를 제압하려는 열망으로 드러났다. 두 번째, 현대의 거식증과 중세의 금식은 상업자본과 가부장적 기독교가 요청하는 이상적 여성상에 자신들을 순응시키려는 노력으로 나타났다. 매혹적인 몸매를 자랑하는 깡마른 모델이 현대의 이상형이라면 중세의 이상형은 육체를 제압하고 자기고문을 통해 육체성을 극복한 여성들이었다. 세 번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식증과 금식은 일종의 저항을 함축하고 있다. 먹기를 거부함으로써 거식증은 몸 숭배 소비주의에 항거하고 금식은 단조로운 삶을 숙명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여성들이 영웅적 금식을 통해 교권에 도전하는 일종의 항거였다. 마지막으로 금식과 거식은 육체에 머물러 있는 여성들의 자기통제를 통한 희열을 담지하고 있다. 금식이나 거식은 여성이 정치사회적으로 자신의 역할을 재조정하거나 자기 목소리를 낼 시기에 등장했다. 따라서 금식이나 거식증은 권력관계를 잘 반영하고 있는 현상이며 그 권력관계는 가부장적 사회-문화 구조라 아니할 수 없다. This study paralleled, contrasted, compared heroic fasting women saints in the Middle Ages with today’s anorexic girls. By doing these, the writer tries to demonstrate the patriarchal structure in the religious and popular culture. As a matter of fact, there are several commonalities between religious fasting and anorexia: sharing similar symptoms, closely connecting with gender, tieing with specific time and era. Beneath heroic fasting and anorexia, the infrastructure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s. First of all, heroic fasting and anorexia relate to the ideology of chastity of women. Second, fasting and anorexia are by-products of women’s adaptation themselves to the ideal model of woman which was required by patriarchal Christianity and commercial capitalism. Nevertheless, thirdly, these two phenomena imply a type of resistance or subversion against existing established structures. Lastly, both heroic fasting and anorexia functioned as an apparatus by which oppressed women obtained counter-pleasure by self-torturing or self-contro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