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에서의 한국 인문지식교육 현황 및 향후과제

        이춘호 한중인문학회 2013 한중인문학회 국제학술대회 Vol.2013 No.1

        중국에서의 한국 인문지식교육,특히 1990년대 이후에 새로 개설된 중국 대학교 한국 어 학과에서의 대상국 인문지식 교육은 미래 지향적 인재양성의 시대적 요구와 함께 새로운 연구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한국 인문지식 체계와 내용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그것을 또한 어떻게 한국어 교육에 접목시켜 좋은 효과를 얻어내겠는가 하는 문제는 한국어 학과들에서 시급히 해결 해야 할 문제이다.따라서 본 논문은 현재 중국내 한국어 학과에서의 한국 인문지식 교육 실태를 토대로 존재하는 문제점과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분석 연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 KCI등재

        HEC-RAS 및 HEC-6를 이용한 낙차공 평가 및 제방설계 방안

        이춘호,이태근,임동화,심규성 한국방재학회 2016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6 No.2

        낙차공은 세굴 또는 퇴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하상변동을 방지하여 치수적인 안정성 확보를 목표로 한다. 낙차공 설치지점에서는 불연속적인 하천흐름이 발생하며 상·하류부의 수위차가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상·하류부의 수위변화나 하상변동 평가 없이 설치될 경우 상류구간의 수위가 낙차공의 영향으로 인해 상류의 흐름이 제한되어 수위가 높아지므로 제내지 침수 및 제방붕괴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순히 높은 제방을 설치한다면 제방종단경사가 급격하게 커지게 된다. 이는 제방의 활용성이 낮아질 수 있으며 제방종단경사 완화를 위한 추가적인 경제적, 시간적 비용 손실이 초래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양평군 덕평천의 낙차공을 대상으로 HEC-RAS를 이용하여 낙차공 상·하류부에 대한 홍수위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HEC-6 모형을 이용해 장래 하상변동을 모의하였다.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낙차공 높이와 기설 낙차공 존치 여부에 따른 수리특성을 검토하고, 제방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하천횡단시설물에 대한 평가 방법 및 절차를 체계화 한다면 향후 효과적인 하천설계 및 계획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rop structure prevents variation of river bed caused by bed erosion and deposition. However, discontinuous river flow and waterlevel difference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can occurs in near the drop structure. Without proper assessment, therefore, unalleviated upstream water level by the drop structure may cause flooding in interior area and levee breaks at the downstream. It would be a simple solution to make higher levees, however, stream longitudinal slope will increase rapidly. This will cause decline of levee usability and additional economic and time loss. In this study, evaluation of flood water level at the drop structure and, prediction of river-bed change are analyzed using HEC-RAS and HEC-6. Based on this study, we propose hydraulic characteristic about height and relocation of existing drop structure, and rational design of levee. Assessment method and procedures of stream crossing facilities systematizing might be provide efficient river design and plan for related field exper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도시 공간 구조를 통해 본 권력자의 속성 연구 : -샤자하나바드(Sha - hjaha-na-ba-d)와뉴델리(New Delhi)의 경우

        이춘호 동악미술사학회 2010 東岳美術史學 Vol.0 No.11

        빈난트 클라센(Winand W. Klassen)은 건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구성하는 네 가지 측면을 고려 해야 한다고 한다. 어느 특정 건물이 지어질 시점의 인문적 상황이 첫 번째이고, 두 번째는 건축적 실재이다. 이 건축적 실재에 대해 어떤 이는 작품과 작업으로, 다른 이는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으로 정의하기도한다. 세 번째는 건축 형태이고 건축의 의미가 네 번째이다. 어느 특정 건축에 대한 이해는 이러한 것들이바탕이 되었을 때 그 의미를 더욱 깊게 고찰해 볼 수 있다. 도시는 이러한 특정 건물들이 집단으로 모여 형성된 공간이다. 그리고 이러한 도시들은 긴 시간을 두 고 점진적으로 이루어진 사회 구조의 반영이다. 도시 내에 형성된 공간들과 그들의 성격 역시 더위나 추 위와 같은 자연적 요소들과 그것을 건설한 집단의 계층 속성을 반영하고 있다. 도시 건설은 집단 주도하 에 지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중세의 경우, 통치자 어느 한 개인의 주도하에 지어지는 경우도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점에 착안, 17세기 샤자한이 델리에 지은 샤자하나바드와 그 뒤를 이어 대영 제국이 지 은 뉴델리의 공간 구조를 비교해 보았다. 종교와 문화 그리고 정치 체제가 전혀 다른 두 통치자의 이념이 어떻게 동일 공간안에 다르게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그들 권력의 속성을 비교·분석하였다. According to Klassen, four thing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e. First is its social and cultural surroundings. Second is the architectural reality. There are several interpretations on this. Some people say the architectural reality means the works and workings and the others say interior and exterior space. Third is the architectural form and fourth is architectural meaning. The city is the formed space of the particular buildings. And this city is a reflection of social structure which was developed gradually through the ages. The spaces within the cities and its characters also reflect the elements of natural surroundings like the hot and cold as well as those groups’intention who built cities. Normally cities have been built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leading groups, but sometime only by one man like a king or emperor in case of medieval time. Based on these ideas, this paper tries to show differences of the urban structure between shajahanabad which was built by Shah Jahan in 17th centuries and New Delhi which was built in 20th centuries by the British. And a comparison and analysis have been done to show attributes of the power through checking the their ruling ideologies which have totally different religions, cultures and political structures and how those were embodied within the same space.

      • L_iF 紛末의 Exo-emission Parameter

        李春鎬,李起芳 全北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78 基礎科學 Vol.1 No.1

        We make use of a method for calculating the thermoluminescence(or T.L) parameters to deduce the activation energy and the frequency factor of Lif crystal powder from TSEE glow curve on the assumption that the second-order kinetics of TL is closely related to the exoemision of trapped electron. The activation energy, also, has been calculated by the method of Kelly and Laubitz for the calculation of the activation energy from two points of the glow peaks. The deduced values of the activation evergy and the frequency factor of LiF pawder at peak temperatures 120℃ and 225℃ are 1.34±0.12ev, 1.65±0.01ev, and 4.2×10 exp (-18) sec and 6.3×10 exp (-16).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we may conclude that the exo-emission of LiF powder follows the second-order kinetics of thermoluminescence.

      • 외수위를 통한 울산시의 수해 위험도 분석

        이춘호,심규성,김도형,정상만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가 심각해짐에 따라 자연재해 발생빈도 및 피해 규모가 대형화/광역화되고 있으며 자연재해 발생 유형 또한 다양화 되며, 자연재해에 의한 경제적 손실이 전 세계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특히 단시간 동안 특정지역에 집중되는 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산업화에 의한 인구의 도시지역 집중현상으로 토지이용도가 극대화되면서 하천변, 홍수터 등 저지대에까지 생활공간이 확대됨에 따라 과거에 비해 동일한 호우에 대해서도 침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수해 위험도 산정을 통하여 예방 및 대비 대책 수립에 활용함으로써 경제·산업적으로 피해를 완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울산시의 102개 하천을 대상으로 하천정비기본계획에서 제시된 계획홍수위를 이용한 홍수위 수치표고모델과 울산시의 지형적 특성이 반영된 10m10m 격자 크기의 지형 수치표고모델의 차이로부터 침수심 및 면적을 산정하여 수해 위험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