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교사효능감,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이춘옥 ( Lee Chun-ok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 아동교육 Vol.26 No.1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교사효능감,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 간에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시 소재 6개 유치원에 다니는 어머니 180명과 교사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유아는 남아가 94명(52.2%), 여아가 86명(47.8%)이었으며, 연령은 만 5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교사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교사효능감 중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ich variables are relatively more predictable fo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mong parenting efficacy and teacher efficacy that showed statistically-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s in precedent research.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mothers whose children were attending kindergarten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criteria of parenting efficacy, teacher efficacy,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discussion which involved precedent research along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had conclusions as below: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arenting efficacy, teacher efficacy,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econd, the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on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th, the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and teacher efficacy on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with regard to the relative predictive power, parenting efficacy was more effective than teacher efficacy.

      • KCI등재

        원어민 교사와 함께 하는 체험중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이춘옥 ( Chun Ok Lee ),김판희 ( Pan Hee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원어민 교사가 진행하는 체험중심적인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편견감소와 다문화에 대한 인식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D시와 주변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유아교사 6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유아교사들의 다문화 인식과 요구에 기초하여 원어민에 의한 수업, 체험활동 강화, 다문화 포트폴리오 제작, 다문화 축제를 실시하는 체험중심의 다문화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6개국 나라 출신의 원어민 교사를 참여시켜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D시에 위치한 2개 유아교육기관의 만 4세와 만 5세 유아 120명으로 2개 실험집단 (30명), 2개 통제집단 (30명)을 구성하고, 원어민 교사가 진행하는 체험중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실험집단에서 6개국(중국, 페루, 케냐, 우즈베키스탄, 인도, 베트남) 6명의 교사가 4회, 총 24회 동안 체험중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 아동들은 평소 유아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사전-사후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원어민 교사가 진행하는 체험중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경우 통제집단에 비해 외모편견, 장애편견, 연령편견, 가족구성편견 에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다문화에 대한 인식 수준은 유의하게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experience-oriented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 delivered by foreigners in their own language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cultural prejudices scores an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es of korean kindergarteners. Based on a need assessment survey with 619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in D metropolitan city and interview with professionals, and analysis of the previous programs, the study developed goals and objective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organizing contents and activities and constructing specific daily lesson plan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is program were co-teaching of native speaking teachers, enforcement of experience-oriented activities, documenting multi-cultural portfolios, and holding cultural festival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based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that was developed, 60 four-and five-year-old children were assigned to two experimental groups and the other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to two controlled groups. For the experimental groups, six native speaking teachers (from China, Peru, Kenya, Uzbekistan, India and Vietnam) delivered the newly developed multicultural education instruction 4 times each with a total of 24 times in the experimental groups. A pre-and post-test was conducted and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tilizing the repeated measure ANOVA. Results indicated that while prejudices of children on physical appearance, handicaps, age differences, and family members decreased in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rejudices of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s decreased at a much higher rate. The results also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multicultural understandings in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교사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

        이춘옥 ( Chun Ok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1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교사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에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시 소재 4개 유치원에 다니는 어머니 180명과 교사 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유아는 남아가 94명(52.2%), 여아가 86명(47.8%)이었으며, 연령은 만 5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교사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교사효능감 중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ich variables are relatively more predictable fo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mong parenting efficacy and teacher efficacy that showed statistically-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s in precedent research.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mothers whose children were attending kindergartens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criteria of parenting efficacy, teacher efficacy,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discussion which involved precedent research along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had conclusions as below: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arenting efficacy, teacher efficacy,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Second, the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on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th, the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and teacher efficacy on th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with regard to the relative predictive power, parenting efficacy was more effective than teacher efficacy.

      • KCI등재
      • KCI등재

        전공과 내 식당사업체 참조 자립생활훈련이 자폐성장애인의 조리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김영준 ( Kim Young Jun ),도명애 ( Do Myung Ae ),이춘옥 ( Lee Chun Ok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6 중등교육연구 Vol.64 No.3

        본 연구는 전공과 내 식당사업체 참조 자립생활훈련이 자폐성장애인의 조리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정서장애 특수학교 전공과 내 자립생활훈련반의 1학년으로 재학 중인 자폐성장애인세 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 환경은 전공과 내 자립생활실습실과 식당사업체 내 주방으로 구성되었다. 실험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의 기법중 한 가지인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따른 실험 조건은 기초선, 중재, 유지, 일반화와 같이 네 가지로 구성되었다. 독립변인은 전공과 내 식당사업체 참조 자립생활훈련으로써, 연구 대상이 식당사업체 내 주방을 탐방하여 직원의 직무 수행 장면을 관찰한 이후 스마트 패드에 의해 동영상 촬영 및 모방하는 절차, 전공과 내에서 가상시연 및 직무교재 제작을 상호간 연계하여 전개하는 절차로 구성되었다. 종속변인(목표행동)은연구 대상이 식당사업체에서 비빔국수를 직접 조리하는 수행으로 조작적 정의되었으며, 과제분석을 통해 총 10가지의 하위 수행 단계들을 포함한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들은 중재프로그램을 통하여 목표행동을 효과적으로 습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 대상들은 중재의 적용이 종료된 이후 3주가 지난 시점에서 목표행동을 완전한 정반응으로 수행함으로써, 중재의 최종적인 적용 효과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는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이 갖는 기능적인 의의를 중심으로 논의 및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taurant workplace referenced independence life training in transition classroom on the cooking task skills of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For this purpose, three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ho have been studying in the transition classroom for 1 years after graduating high school course of special school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including independence life laboratory facilities in the transition classroom and kitchen at restaurant workplace/hom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single subject research, and the experimental design was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including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Restaurant workplace referenced independence life training in transition classroom was used as independent variable to create learning method based on virtual rehearsal, job materials production. Also in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making of virtual rehearsal and job materials production were applied with mutually connected procedure and method. The target behavior (dependent variable) was operationally defined as cooking of BIBIM GUKSU by the subjects and this performance was composed in a total of 10 stages through task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found to effectively acquire cooking task skills, the target behavior, through the intervention program. Also, the newly acquired skills were maintained following the termination of the intervention and generalized to different environmental settings.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he perspective of restaurant workplace referenced independence life training in transition classroom and cooking task skills for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