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한국 과학문화의 비판적 재구성

        이초식(Lee Cho-Sik) 한국과학기술학회 2001 과학기술학연구 Vol.1 No.1

        이 글은 한국의 과학문화를 역사적으로 서술하려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한국인이 지향하여야 하는 과학문화의 재구성을 위한 예비적 시론을 하고자 한다. 그 작업에 착수하기 위해서는 과학문화의 개념부터 규정해야 하므로 기존의 과학문화 개념들을 분류하고 이를 기반으로하여 인간화된 과학문화(Humanized Science Culture)를 잠정적 목표로 제시한다. 그 구체적인 사례 연구로서는 2061 프로젝트에 나타난 과학문화인(Science literacy)의 개념을 분석하고 실제로 한국의 과학문화를 설계할 사람인 KDSC(Korean Designer of Science Culture)를 상정한다. KDSC는 자연인이 아니라 바람직한 한국인을 대표할 이성적 인간(理人)을 지칭한다. 따라서 KDSC가 될 수 있는 조건을 아울러 제시하고 그 요건들의 철학적 기반을 음미한다. 끝으로 KDSC의 시각에서 한국의 과학문화를 설계하고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는 몇 가지를 제시한다. This paper makes a preparatory attempt to reconstruct 'the Korean Science Culture' toward which I think the Koreans should direct and orient themselves rather than describe the history of the science culture in Korea. This task requires us to define 'science culture.' So I propose, based on the definitions of science culture so far made, to consider the model of "Humanized Science Culture" as a regulating ideal of the Korean Science Culture. To support the model, analyzing the concept of "science literacy" of the 2061 Project, I posit the model of KDSC (Korean Designer of Science Culture) as the Koreans who will actually come to design the Korean Science Culture. KDSC refers to "a reasonable man" who will represent a desirable Korean, rather than to a natural Korean. Then I spell out the conditions of becoming a KDSC and scrutinize the philosophical backbones of those conditions. Finally, I make a few suggestions for developing a program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the Korean Science Culture from the viewpoint of a model of KDSC.

      • KCI등재

        윤리는 과학기술발전의 적(敵)인가?

        이초식(Lee Cho-Sik) 한국과학기술학회 2001 과학기술학연구 Vol.1 No.2

        윤리는 과학기술발전을 저해한다는 통념의 논변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여 검토한다. “경쟁 사회에서 살아가려면 남보다 앞선 과학기술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윤리문제를 따지다보면 과학기술을 발전시킬 수 없다. 그러므로 윤리문제를 제쳐놓고 과학기술부터 발전시켜야한다.” 이 논변의 구조가 타당하도록 재구성하여도 둘째 전제가 참이라고 할 수 없고 첫째 전제에서 잘 살기 위한 경쟁의 의미도 다양하므로, 결론을 받아드리기 어렵다는 논거를 제시한다. 특히 우리가 윤리학의 전체적인 영역을 고려하고 민주사회가 지향하는 자율 윤리를 기반으로 하게 될 때, 윤리는 결코 과학기술 발전의 적이라고 할 수 없다는 귀결이다. 뿐만 아니라 과학기술의 발전을 바람직한 과학문화 형성에 기여할 수 있게 하려면 문화인의 자율 윤리를 기반으로 하여야 함을 KDSC에 의거하여 논한다. 이와 같은 논의의 과정에서 오늘날 거론되는 생명 윤리법은 ‘윤리를 어기면 법으로 처벌하겠다’는 취지이니 만큼, 진정한 자율 윤리를 오도할 염려가 있으므로 그 명칭을 바꿀 것을 제의한다. Let us critique the common. notion that ethical 'examination retards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First, I shall reformulate such a notion in the following statements: "To survive the competitive society, we must develop science and technology before others do. It will cost too much time to examine ethically the influence of developing science and technology. Therefore, we cannot but suspend the ethical matters until we have developed science and technology." I will then show that even if we reconstruct the above argument in a deductively valid form, the second premise is not necessarily true and that we cannot accept the conclusion because the meaning of 'competing for better lives', in the first premise, is diverse. Especially if we are to take into account all the areas of ethics and base them upon the autonomous ethics of democratic societies, it cannot be concluded that ethics is an enemy of developing science and technology. In addition, I will argue that our moral considerations must be based upon autonomous ethics in order to make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tribute to enhancing the desirable science culture. In the midst of making the above argument, it is proposed that the title of the law of bio-ethics be changed, for it has a mistaken implication that acting against ethics results in legal punishments.

      • KCI등재

        서평의 사회인식론: 이영의 저, 『베이즈주의』의 경우

        이초식 ( Cho-sik Lee ) 한국과학철학회 2016 과학철학 Vol.19 No.3

        이 글은 서평의 사회인식론의 틀을 통해 이영의 교수의 저서 『베이즈주의』(2015)를 하나의 사례로 검토하는 데서 출발하여, 베이즈주의 철학의 연구 모임, 새로운 인식공동체를 한국에서 형성하기를 희망하는 발의의 결론에 이른다. 전통적 인식론이 인식주체를 개인에 치중한데 비해 인간 집단에까지 인식주체를 확장함으로써 인식의 사회적 관계를 새롭게 개발하고 있는 사회인식론의 접근법을 서평의 분야에 도입해 보았다. 골드먼의 사회인식론 분류에 따라 첫째(SE I), 다른 사람의 의견이 개인의 믿음을 형성하고 정당화하는 분야에서는, 서평 저서를 넓은 의미의 증언내용으로 검토했다. 둘째(SE II), 인간집단을 인식주체로 하고 그 가능근거와 집단의 믿음을 집성하고 정당화하는 분야에서는, 본 서평을 북 심포지엄의 형식으로 논하는 한국과학철학회를 인식주체로 하였다. 셋째(SE III), 하나의 집단 인식주체가 다른 집단과 대비하여 이룬 성과를 검토하는 분야에서는, 서평을 과학의 사회인식론으로 다루며 인식공동체를 제의하였다. 특히 제의된 베이즈주의 인식 공동체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한국인의 철학함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s to propose a group epistemic agent of Bayesian philosophy in Korea by means of Young E. Rhee`s book Bayesianism (2015) review from the point of social epistemology. For this purpose, three approaches to book review are considered in terms of Goldman`s a three-part taxonomy for social epistemology. The proposed collective doxastic agen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 doing philosophy by using computer simulations for the division of cognitive labo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