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옻나무톱밥 첨가에 따른 느타리버섯의 생육 특성 및 수량성

        이찬중,유영미,한주연,정종천,전창성,문지원,공원식,서장선 한국버섯학회 2014 한국버섯학회지 Vol.12 No.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d optimum mixing ratio of Korean natural Rhus verniciflua for production of functional oyster mushroom. Mycerial growth was some fast at addition of R. verniciflua sawdust, and not significant difference by increase of R. verniciflua substrate. Yields of fruiting body show the highest to 150.2 g/850 ml of medium which are addition 20% of R. verniciflua sawdust, and diameter of pileus and thick of stipes were the highest at addition 10% of R. verniciflua sawdust. The L value of stipes were the highest at addition 10% of R. verniciflua sawdust and the L value of pileus were decreased by increase of R. verniciflua substrat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 value and the b-value.

      • KCI등재

        양송이버섯 재배시 자주식 배지교반기 활용 배지의 특성 및 수량성

        이찬중,유병기,박혜성,이은지,Lee, Chan-Jung,Yu, Byeong-Kee,Park, Hye-sung,Lee, Eun-Ji,Min, Gyeong-Jin 한국버섯학회 2020 한국버섯학회지 Vol.18 No.3

        본 실험은 농가 관행인 굴삭기 뒤집기와 자주식교반기를 이용한 뒤집기 비교 시험을 통해 발효단계별 배지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야외발효배지의 온도는 자주식교반기 처리에서 뒤집기 후 온도 상승이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후발효배지의 온도는 농가관행인 굴삭기 처리구에서 온도가 높게 유지되면서 후발효과 진행되었다. 야외발효 단계에서 배지에는 고온성 세균 (Bacillus spp.), 방선균, 형광성 Pseudomonas 속, 사상균 등 다양한 미생물들이 분포하였고, 특히 배지발효 과정에서 배지의 분해와 발열에 관여하는 호기성 세균의 밀도는 자주식교반기 처리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았고, 고온성 발효과정 중 푸른곰팡이균과 중온성 방선균은 생육이 억제되거나 사멸되는 양상을 보였다. 유기물을 분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고온성 방선균은 자주식교반기 처리에서 농가관행보다 높은 밀도를 보였다. 처리별 볏짚의 길이는 자주식교반기를 사용하였을 경우 조금 짧았고, 수분함량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H와 EC는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a, b값은 자주식교반기에 의한 뒤집기가 진행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발효 단계별 배지의 CN율을 조사한 결과 농가관행인 굴삭기의 경우 23.1에서 시작하여 5차 뒤집기에서는 16.2까지 낮아 졌고, 자주식교반기의 경우 23.3에서 16.9로 낮아 졌다. 따라서 처리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처리별 수확량을 조사한 결과 1주기에서는 자주식교반기 처리에서 20%의 증수효과가 있었고, 2주기에서는 28%, 3주기에서는 26%의 증수효과가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23%의 수량 증대효과가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used on the composting step, comparing the excavator agitator with the self-propelled turner. The temperature of the outdoor composting medium tended to increase rapidly after flipping in the turner. The late composting medium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the excavator treatment area (farm practice), and the late composting effect progressed. During the field composting stage, various microorganisms such as Bacillus spp., Actinomycetes, fluorescent Pseudomonas spp., and filamentous fungi were distributed in the medium, and the density of aerobic bacteria involved in the decomposition of the medium was increased. Under high-temperature composting conditions, blue fungi, and mesophilic actinomycetes were inhibited or killed. Thermophilic actinomycet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decomposing organic matter, showed higher densities than those observed in farm practices in the self-propelled turner process. The length of rice straw was slightly shorter when the self-propelled turner was used, and the water conten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The a and b values tended to increase as the inverter was turned over. The CN ratio of the composting broth was lowered from 23.1 to 16.2 for the 5th turnover in the context of farming practices, and from 23.3 to 16.9 in the context of the self-propelled turner. The yield of each treatment was increased by 20% in 1 period, 28% in 2 periods, and 26% in 3 periods; the overall yield was 23%.

      • KCI등재

        복토살균 조건에 따른 양송이 재배과정별 복토내 미생물 밀도 및 수량 특성

        이찬중,유영미,전창성,정종천,문지원,공원식,서장선,김용균,이병의,윤민호 한국버섯학회 2014 한국버섯학회지 Vol.12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t the proper sterilization standards of casing soil for the stable production of button mushroom(Agaricus bisporus) from mushroom disease that occurs in infection of casing soil material. Changes of aerobic bacteria are increased as the longer grow-out period and sharply increased after second flushes. Fluorescence Psuedomonas showed high density at high sterilization temperature and 100oC treatment has extremely high density at 30 min and 60 min in casing 22 days. Density of thermophilic actinomyces is sharply increase from casing with soil and the highest density at 22 days of casing and rapidly decrease after first flushes. Sterilizing temperature of casing soil affects quality and quantity of button mushroom. Treatment of 60 min, 90 min at 80oC and 30 min at 100oC produced the highest mushroom yields, especially mushrooms yields of A grads were the highest at treatment of 90 min at 80oC. Treatment of 60min at 100oC products many yields, however, this treatment has low economic feasibility for its yields. Sterilizing temperature of casing soil has an effect on generating diseases and insect pests. Treatment of 60 min, 90 min at 80oC and 30 min 100oC showed lower incidence than the other treatment. Although treatment of 30 min at 100oC causes low diseases and mushroom fly damage, it has low mushroom yields. Furthermore, although treatment of 60 min at 100oC has high mushroom yields, it causes high diseases and mushroom fly damage. Therefore the best conditions for the sterilization of casing soils was 60 min and 90 min at 80oC.

      • KCI등재

        버섯 세균성갈색무늬병원균(Pseudomonas tolaasii)의 독소 (tolaasin) 저해균 Pseudomonas sp. HC1의 대량배양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

        이찬중,유영미,한주연,전창성,정종천,문지원,공원식,서장선,한혜수,차재순 한국버섯학회 2014 한국버섯학회지 Vol.12 No.1

        Several bacteria are known as the causal agents of diseases of the cultivated button mushroom(Agaricus bisporus) and oyster mushroom(Pleurotus ostreatus). Pseudomonas tolaasii is the causal agent of brown blotch disease of commercial mushrooms. Pseudomonas sp. HC1 is a potent biological control agent to control brown blotch disease caused by Pseudomonas tolaasii. This can markedly reduce the level of extracellular toxins (i.e., tolaasins) produced by Pseudomonas tolaasii, the most destructive pathogen of cultivated mushrooms. To define the optimum conditions for the mass production of the Pseudomonas sp. HC1, we have investigated optimum culture conditions and effects of various nutrient source on the bacterial growth. The optimum initial pH and temperature were determined as pH 5.0 and 20oC, respectively. The optimal culture medium for the growth of tolaasin inhibitor bacterium was determined as follows: 0.9% dextrin, 1.5% yest extract, 0.5% (NH4)2HPO4, 4mM FeCl3, and 3.0% cysteine.

      • KCI등재

        느타리버섯 재배균상에서 분리한 세균의 특성

        이찬중,전창성,정종천,윤형식,오세종,조원대 한국버섯학회 2008 한국버섯학회지 Vol.6 No.2

        국내 버섯의 소비량은 국민소득 증가와 함께 생산량과 소비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총 생샌액은 약1조원 으로 농림업의 2.1%를 차지한다. 우리나라 버섯류는 느 타리, 팽이, 표고, 큰느타리(새송이), 양송이가 거의95% 이상을 차지하며 이중 느타리버섯이 총생산량의 35.1% 를 점유하여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가장 많은 실정이다. 느 타리 (Pleurotus ostreatus)의 경우 2004년 595 ha에서 2005년에 555 ha로 약간 감소하였고, 단위면적당 수확량 은 '91년 41kg에서 '04년에는 29kg/3.3㎡으로 감소하였 다. 이는 병해충의 발생에 의한 생산성의 불안정과 국내가 격의 하락에 의한 농가수입 감소로 재배기피 현상이 발생 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시험은 느타리버섯 균상재배 시 균상내 미생물상의 다양성을 구명하고 이들 미생물과 버섯균과의 상호작용 및 병원성과의 연관간계를 구명하 고자 수행하였다. 균상내 배지의 미생물상은 생육기간이 길어질수록 호기성세균 및 사상균의수가 증가하였고, 내 열성세균 및 형광성 Pseudomonas속은 종균 접종 초기에 높은 밀도를 보였다. 고온성 방선균은 전 생육기간 고른 분포를 보였지만 중온성 방선균은 재배과정 중 존재하지 않았다. 특히 발효 및 생육이 불량한 배지의 경우 접종 60 일에 사상균의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더 이상 버섯재배 가 불가능하였다. 생육시기별 분리세균의 버섯균주에 대 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살균 및 후 발효 초기에는 저해정 도가 적었으나, 생육이 진행될수록 저해균의 수가 증가하 였다. 또한 이들 분리세균은 균체 자체보다는 균이 내는 분비성물질에 의해 버섯균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균상배지에서 분리한 세균의 동정결과 Bacillus sp.와 Flavobacterium sp.이 우점하였으며, 세균 성갈병균인 P. tolaasii균도 분리되었다. 이는 세균성갈반 병균이 배지내에 존재여 생육함으로 재배환경이 열악해 지거나 버섯의 생육이 불량할 경우 심한 피해를 줄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 분리세균은 세균성갈반병균에 대해 약 13%만이 아주 약한 길항성은 보였으며, 분리 세균과 버 섯의 발이와 생육 그리고 병원성에 대한 상관관계는 추후 면밀한 연구를 통해 밝혀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면실박 대체 보리가루 첨가에 따른 느타리버섯의 생육 특성

        이찬중,이은지,박혜성,공원식 한국버섯학회 2017 한국버섯학회지 Vol.15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additive ratio of barley flour when used instead of cotton seed meal for the cultivation of oyster mushrooms. Mycelial growth was the fastest to 11.4 cm in medium containing 5% barley flour and to 9.0 cm in medium containing 30% barley flour. The mycelial density was slightly lower at 5% and 10% of barley powder addi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ther treatments. The yield of the fruiting bodies was 158 g/850 mL, which was highest on treatment with 10% barley flour as a substitute for cotton seed meal. However, this was lower on treatments with only barley flour than in the control (156 g/850 mL). The diameter of the pileus and the hardness of stipes were highest with 10% barley flour and 10% in cotton seed meal, respectively. The L value was highest with 10% added barley flour, but the a-value and the b-valu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The pH of the mixed media before inoculation with Pleurotus ostreatus was 4.7–5.0, and the total nitrogen content was 1.7–2.2, which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total carbon content was 44.6–45.0,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However, the content of trace elements such as Cu and Fe was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 KCI등재

        버섯 자실체 갈변증상에서 분리한 세균의 특징 및 병원성

        이찬중,전창성,정종천,윤형식,오세종,조원대 한국버섯학회 2008 한국버섯학회지 Vol.6 No.2

        버섯은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 작목 중의 하나로 전체 재배면적은 2002년 1,212 ha에서 2005년 1,359 ha 로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느타리 (Pleurotus ostreatus)의 경우 2004년 595 ha에서 2005년에555 ha로 약간 감소 하였고, 양송이(Agaricus bisporus) 또한 2004년 196 ha에서 2005년에 176 ha로 약간 감소하였다. 최근 느타리와 양송이버섯에서 갈변증상을 보이는 병반에서 여러 병원균이 분리 동정되어 보고 되고 있으며, 이들 중 세균성 병해는 갈반병(brown blotch), 미이라병(mummy disease), 세균성부패병 (bacterial rot), 세균성구멍병 (bacterial pit), 위축병 (weeping disease) 등이 알려져 있 다. 비록 Pseudomonas tolaasii에 의한 세균성갈반병이 가장 많이 알려져 있지만, 세균성 갈반병에 관여하고 있는 병원균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많은 논쟁이 되어오고 있다. 이 연구는 버섯재배 과정 중 발생하고 있는 갈변증상으 로 부터 분리한 세균의 분포, 특징 및 그 병원성을 조사하 고자 수행 하였다. 버섯 재배 중 갈변증상을 보이는 병반 으로 부터 60균주의 세균을 분리한 결과, 13균주가 흰색 침강선(white line)을 형성하였고, 우점균은 P. tolaasii (13균주)와 Ewingella americana (12균주)였다. 또한 병 원성 검정에서는 느타리버섯에 32 균주, 양송이버섯에 29 균주가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느타리버섯 재배 중 Pseudomonas tolaasii에 의한 세균성갈반병은 갓과 대에 전형적인 진한갈색의 움푹 패인 병징을 나타내었고 수확 기 버섯의 상품가치를 떨어뜨려 농가에 심각한 피해를 주 고 있다. 그리고 장내세균과 (Enterobacteriaceae)에 속 하는 E. americana는 양송이의 대속 갈변과 관련있는 병 원균으로 양송이 대속괴사병 (internal stipe necrosis)의 원인균으로 밝혀졌다. 이 병의 증상은 수확을 한 후에 확 인이 가능하고 대의 중앙에 갈변증상을 일으켜 상품가치 의 저하를 초래한다. 이들 분리균주를 여러 버섯에접종시 험을 한 결과 전형적인 갈변증상을 보였고, 특히 양송이의 대속에 접종하였을 경우 괴사 증상이 뚜렷하였지만, 일반 적인 세균성 무름병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또 하나의 특징적 무름병 세균인 Burkholderia gladioli pv. agaricicola가 느타리버섯의 갈변증상으로 부터 분리되었 으며, 이 균주는 양송이, 느타리버섯, 큰느타리에 강한 병 원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느타리버섯에서의 초기 병징 은 P. tolaasii에 의한 세균성 갈반병과 구별하기 힘들며, P. tolaasii 보다 강한 갈반의무름증상을 보였다. 이들 분 리균 중 E. americana와 B. gladioli pv. agaricicola는 버섯 병원균으로 분리동정은 국내에서 첫 보고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산림 간벌목인 소나무톱밥 첨가에 따른 느타리버섯의 생육 특성

        이찬중,이은지,박혜성,공원식 한국버섯학회 2018 한국버섯학회지 Vol.16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using pine tree sawdust in thinning-out tree as a substitute for poplar and douglas-fir tree sawdust in oyster mushroom cultivation. Mycelial growth was 10.8 cm in medium supplemented with 70% pine sawdust after 18 days of culture and 10.2 cm in control medium. Mycelial density showed high density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Fresh weight and diameter of fruiting bodies were slightly lower in medium supplemented with pine tree sawdust. The hardness of pine tree sawdust was slightly higher i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20% and 30% of pine tree sawdust. The L value showed a tendency to be higher in the pine added medium, but the a and b values d 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reatments. The yields of fruiting body were 157 g / 850 ml for the control and 170 g / 850 ml for the 40% added pine tree sawdust

      • KCI등재

        양송이버섯 재배 후 폐상퇴비가 토마토 생육에 미치는 영향

        이찬중,정종천,전창성,김승환,윤형식,Lee, Chan-Jung,Cheong, Jong-Chun,Jhune, Chang-Sung,Kim, Seung-Hwan,Yu, Hyung-Sik 한국유기농업학회 2009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17 No.1

        양송이버섯 재배 후 문제가 되고 있는 폐상퇴비는 다음 버섯 재배의 촉박성 때문에 폐상하여 재배사 주변에 방치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들은 병해충 및 수질오염의 원인이 됨으로 신속한 처리가 필요하다. 폐상된 양송이재배 부산물에는 형광성 Pseudomonas속, 방선균 등 다양한 미생물이 분포하였고, 양송이 재배농가별로 폐상퇴비 중의 미생물상 차이가 많았다. 폐상퇴비에서 분리한 세균들은 토마토 시들음병균. 풋마름병균에 대해 길항성을 보였다. 농가별 양송이 폐상퇴비의 이화학성은 pH는 $5.8{\sim}6.7$이었고, EC는 $316{\sim}528\;dS\;m^{-1}$로 농가마다 많은 차이를 보였고, T-N의 농도는 $151{\sim}1.99%$, $P_2O_5$은 $0.27{\sim}0.55%$, $K_2O$은 $1.71{\sim}3.57%$, CaO는 $1.79{\sim}5.85%$, MgO는 $0.88{\sim}1.33%$였다. 양송이 폐상퇴비의 농가실증 시험결과 시기별 토마토의 생육과 당도는 농과관행퇴비 처리구와 뚜렷한 차이가 없었고 생육시기별 토양이화학성은 농가관행에 비해 EC와 K, Ca는 증가하였지만, 인산은 감소하였다. 처리별 토양미생물상의 변화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수량은 농가관행구에 비해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풋마름병 발병률은 무처리에 비해 폐상퇴비 처리구에서 상대적으로 낮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spent mushroom compost(SMC)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tomato growth. After the mushroom has been harvested, the SMC contains a lot of organic material, different microorganism and high density of mushroom hypha. SMC of white button mushroom(Agaricus bisporus) contained diverse microorganisms including fluorescent Pseudomonas sp. and actinomycetes. These isolates showed strong antagonistic to bacterial wi1t(Ralstonia solanacearum) and fusarium wi1t(Fusarium oxysporum) of tomato. The growth and sugar content of tomat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other treatments by stage of maturity. The EC, exchangeable K and Ca contents of the soil during growing stage were increased in comparison to those of farmhouse practice, but available phosphate decreased. Microbial population in the soil in all growing stag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other treatments, but yield of tomato decreased in some way in comparison to farmhouse practice.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chemical property of soil and plant growth and yield of tomato, it seems likely that SMC of white button mushroom(Agaricus bisporus) may be used as substitute of practice compost on cultivation of tomat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