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형 수중구조물 보수를 위한 부유식 섹터케이슨

        이중우,이승철,이정수,곽승규,김기담,Lee, Joong-Woo,Lee, Seung-Chul,Lee, Jung-Su,Kwak, Seung-Kyu,Kim, Ki-Dam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1 No.5

        최근 건설구조물의 하자보수기간은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되었고 건설품질 및 유지관리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따라 교량, 댐, 항만 구조물의 수중부 은폐된 부분에 대한 유지관리를 위해 반영구적인 공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대형 강관 및 교각의 수중시공에서는 잠수부들의 기술능력부족과 수중에서의 작업조건의 까다로움 등으로 임시적인 작업이 되었던 현 실정을 고려하여 수중구조물 유지관리에 실용화 될 수 있는 공법으로 부체식 섹터케이슨을 제안하였다. 특히, 상부구조물이 수면에 가까운 경우 및 구조물간 간격이 좁은 경우 보수구간의 접근성과 교각과 같은 대형 수중구조물 유지 보수 시 드는 고비용의 문제 등으로 전체 구조체를 설치하는 대신 섹터케이슨을 개발하여 도입함으로써 비상시 이동과 장래 신속한 작업수행 및 작업수준 향상에 획기적인 역할이 기대 된다. Recently, the defect maintenance period of the new construction structure was extended from 5 years to 10 years. And according to change of realization on the quality of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 development of semi-permanent method of construction is required for maintenance of blind parts of underwater structure, such as bridge, dam, harbor, etc. In this study, we proposed a floating type sector dry caisson, which is effective to the maintenance of submerged large structures. These large structures were being maintained incompletely, partly due to unskilled divers and difficult working condition. Considering the easiness of access to the maintenance area and the cost for set up the working structure, especially for the case of structure slabs close to the sea surface and harrow pile span structures, we developed and introduced a sector dry caisson instead of the full caisson structure. By doing this, it is easy to move out the caisson rapidly in emergence case.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floating sector caisson will contribute to reduce working time and improve the quality of underwater work in future days.

      • 대형 수중구조물 보수를 위한 부체식 섹터케이슨 개발

        이중우(Joong-Woo Lee),김기담(Ki-Dam Kim),이승철(Seung-Chul Lee),김형철(Hyoung-Chul Kim),이정수(Jung-Su Lee),곽승규(Seung-Kyu Kwak)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 No.춘계

        최근 건설구조물의 하자보수기간은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되었고 건설품질 및 유지관리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따라 교량, 댐, 항만구조물의 수중부 은폐된 부분에 대한 유지관리를 위해 반영구적인 공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대형 강관 및 교각의 수중시공에서는 잠수부들의 기술능력 부족과 수중에서의 작업조건의 까다로움 등으로 임시적인 작업이 되었던 현 실정을 고려하여 수중구조물 유지관리에 실용화 될 수 있는 공법으로 부체식 섹터케이슨을 제안하였다. 특히, 상부구조물이 수면에 가까운 경우 및 구조물간 간격이 좁은 경우 보수구간의 접근성과 교각과 같은 대형 수중구조물 유지·보수 시 드는 고비용의 문제 등으로 전체 구조체를 설치하는 대신 섹터케이슨을 개발하여 도입함으로써 비상시 이동과 장래 신속한 작업수행 및 작업수준 향상에 획기적인 역할이 기대 된다. Recently, the defect maintenance period of the new construction structure was extended from 5 years to 10 years. And according to change of realization on the quality of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 development of semi-permanent method of construction is required for maintenance of blind parts of underwater structure, such as bridge, dam, harbor, etc. In this study, we proposed a floating type sector dry caisson, which is effective to the maintenance of submerged large structures. These large structures were being maintained incompletely, partly due to unskilled divers and difficult working condition. Considering the easiness of access to the maintenance area and the cost for set up the working structure, especially for the case of structure slabs close to the sea surface and harrow pile span structures, we developed and introduced a sector dry caisson instead of the full caisson structure. By doing this, it is easy to move out the caisson rapidly in emergence case.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floating sector caisson will contribute to reduce working time and improve the quality of underwater work in future days.

      • KCI등재

        개선된 산 클러스터링 방법

        이중우(Jung W. Lee),손세호(Seo H. Son),권순학(Soon H. Kwo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1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1 No.1

        본 논문에서는 정규화된 데이터 공간과 가우스함수에 의한 산 함수 형성 그리고 형성된 산의 기울기를 이용한 산봉우리 붕괴를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산 클러스터링 방법을 제안한다. 이 개선된 방법은 기존의 Yager등에 의하여 제안된 방법이 조정해야 하는 매개변수가 3 개이고 발견된 클러스터 중심 주위에 원치 않는 다른 중심이 발생할 수 있는데 반하여 단지 하나의 매개변수 ω의 조정으로 더욱 타당한 중심을 찾아내는 점에서 유용하다 할 수 있다. 또한 매개변수 ω에 대한 적절한 선정 방법을 제시하고, 수치 자료에 대한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하여 개선된 산 클러스터링 방법의 유용성을 입증한다. We introduce an advanced mountain clustering method which uses a normalized data space, a gaussian type mountain function and a destruction method based on a mountain slope. This advanced method is more useful than Yager's mountain method because it needs just one parameter to tune instead of three and finds out more resonable cluster centers having no another centers neighboring to the first center. In addition, we present an adequate selection method for the only parameter ω. Finally, computer simulation results on numerical examples are presented to show the validity of the advanced mountain method.

      • KCI등재

        대형 수중구조물 보수를 위한 부유식 섹터케이슨

        이중우(Joong-Woo Lee),이승철(Seung-Chul Lee),이정수(Jung-Su Lee),곽승규(Seung-Kyu Kwak),김기담(Ki-Dam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1 No.05

        최근 건설구조물의 하자보수기간은 5년에서 10년으로 연장되었고 건설품질 및 유지관리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따라 교량, 댐, 항만구조물의 수중부 은폐된 부분에 대한 유지관리를 위해 반영구적인 공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대형 강관 및 교각의 수중시공에서는 잠수부들의 기술능력부족과 수중에서의 작업조건의 까다로움 등으로 임시적인 작업이 되었던 현 실정을 고려하여 수중구조물 유지관리에 실용화 될 수 있는 공법으로 부체식 섹터케이슨을 제안하였다. 특히, 상부구조물이 수면에 가까운 경우 및 구조물간 간격이 좁은 경우 보수구간의 접근성과 교각과 같은 대형 수중구조물 유지.보수 시 드는 고비용의 문제 등으로 전체 구조체를 설치하는 대신 섹터케이슨을 개발하여 도입함으로써 비상시 이동과 장래 신속한 작업수행 및 작업수준 향상에 획기적인 역할이 기대된다. Recently, the defect maintenance period of the new construction structure was extended from 5 years to 10 years. And according to change of realization on the quality of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a development of semi-permanent method of construction is required for maintenance of blind parts of underwater structure, such as bridge, dam, harbor, etc. In this study, we proposed a floating type sector drγ caisson, which is effective to the maintenance of submerged large structures. These large structures were being maintained incompletely, partly due to unskilled divers and difficult working condition Considering the easiness of access to the maintenance area and the cost for set up the working structure, especially for the case of structure slabs close to the sea surface and harrow pile span structures, we developed and introduced a sector dry caisson instead of the full caisson structure. By doing this, it is easy to move out the caisson rapidly in emergence case.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floating sector caisson will contribute to reduce working time and improve the quality of underwater work in future days

      • KCI등재

        모바일하버 운영을 위한 국내 무역항 후보지 분석

        이중우(Joong-Woo Lee),국승기(Seung-gi Gug),정대득(Dae-Deug Jung),양상용(Sang-Young Yang),김태형(Tae-hyung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4 No.10

        본 연구에서 하역크레인을 장착하여 모선과 연안항만간 컨테이너를 단거리 운송하는 것으로 새로운 개념의 해상운송시스템인 모바일하버를 소개하였다. 초대형 컨테이너선박이 직접 연안항만에 접이안하는 대신에 모바일하버가 해안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모선이 정박하기에 수심여건이 양호한 작업장까지만 이동한다. 따라서, 모바일하버의 적용을 위한 국내 무역항의 해안환경, 기술적 조건 및 한계에 대한 조사는 필연적 과정이다. 모바일하버의 접근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환경조건, 화물하역처리능력, 해상교통량 및 교통류를 해상교통시뮬레이션 및 가상항로표지시스템의 툴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집한 정보의 분석과 적용서의 평가를 통해 최적수준의 남해안 및 동해안 무역항에 대한 모바일하버 정박장은 (1) 기상 및 해상자연환경조건면에서 마산항, 울산항, 부산신항의 순으로, (2) 해상교통 및 수역시설여건의 조건에서 는 목포, 부산신항, 동해묵호항의 순으로, (3) 화물처리의 현장능력 및 지역무역항의 운영실태분석으로는 부산권, 여수광양권, 목포권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최적의 항만 및 작업장 선정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모바일하버가 현장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초대형선박과 모바일하버의 접안 및 화물작업이 이루어지는 해역에서 해상교통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선박자동식별시스템 등 가상항행보조시설이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In this study, a new concept of ocean transport system, called the mobile harbor serving for a short distance transport of containers with cargo handling cranes between mother containerships and coastal ports, is introduced. Instead of direct berthing a very large containership at the coastal port, Mobile Harbor is moving to the offshore mooring basin with enough water depth condition. Therefore, investigation of the coastal environment, technical condition and limitation of the domestic trade ports for the application of Mobile Harbor, is essential process. To figure out the accessibility of mobile harbor,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cargo handling capacity and marine traffic volume and flow pattern has been analyzed with the tools for marine traffic simulation and virtual navigation aids system. The most proper Mobile Harbor mooring areas among trade ports of the south and east coast are selected by analyzing the obtained information and evaluating its application: (1) Under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air and sea weather, three candidate areas are selected such as Masan port, Ulsan port, and Busan(New port) port. (2) Under marine traffic and appropriateness of water facilities, three candidate areas are selected as Mokpo port, Busan(New port) port, and Donghae & Mookho port (3) For a region-based analysis considering handling capacity and the local managed trade ports in vicinity, three candidate areas are selected as Busan region, Yosu & KwangYang region, and Mokpo region. Through this study, the basic guideline for selection of optimum trade port and offshore mooring basin for mothership and Mobile Harbor is recommended. In order to apply the Mobile Harbor to the real water, navigaton aids as the virtual route identification with AIS must be introduced for maritime safety in the vicinity of Mobile Harbor area which berthing and cargo handling is being conducted.

      • 장거리 (마라톤)선수에서의 전 경기중 심박동수의 변화

        김인교,이중우,하종식,유연희,최정옥,김기호,Kim, In-Kyo,Lee, Jung-Woo,Hah, Jong-Sik,Ryu, Yun-Hee,Choi, Jung-Ok,Kim, Ki-Ho 대한생리학회 1979 대한생리학회지 Vol.13 No.1

        To evaluate the present status of physical fittness of Korean long distance runners, body fat, pulmonary functions, maximal oxygen intake and oxygen debt were measured in 5 elite marathoners (A group), 6 college student runners (B group) and 3 middle school student runners (C group). After laboratory tests, full course marathon running was performed in 2 elite marathoners during which their heart rates were monitored continuously.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1) Total body fat in all three groups are in the range of 13-15% of their body weight. 2) In all three groups, average values of various pulmonary functions were within the normal limits, but those of tidal volume were higher and respiratory rate were lower in comparison to normal values. These phenomena may represent respiratory adaptations against training. The average resting oxygen consumptions in A,B and C were $322{\pm}23$, $278{\pm}14$ and $287{\pm}16$m1/min, respectively. 3) In all three groups, resting blood pressures were in the normal range, but the resting heart rate was slightly lower in groups A $(56{\pm}3\;beats/min)$ and B $(64{\pm}2\;beats/min)$ and higher in group C $(82{\pm}9\;beats/min)$ in comparison to normal values. These changes in cardiovascular functions in marathoners may also represent adaptive phenomena. 4) During treadmill running the minute ventilation and oxygen consumption of the runners increased lineally with work load in all three groups. When the oxygen consumption was related to heart rate, it appeared to be a exponential function of the heart rate in all three groups. 5) The average maximal heart rates during maximal work were $196{\pm}3$, $191{\pm}3$ and $196{\pm}5\;beats/min$ for groups A,B and C, respectively. Maximal oxygen intakes were $84.2{\pm}3.3\;ml/min/kg$ in group A, $65.2{\pm}1.1\;ml/min/kg$ in group B and $58.7{\pm}0.4\;ml/min/kg$ in group C. 6) In all three groups, oxygen debts and the rates of recovery of heart rate after treadmill running were lower than those of long ditsance runners reported previously. 7) The 40 km running time in 2 elite marathoners was recorded to be $2^{\circ}42'25'$, and their mean speed was 243 m/min (ranged 218 to 274 m/min). The heart rate appeared to increase lineally with running speed, and the total energy expenditure during 40 km running was approximately 1360.2 Calories. From these it can be speculated that if their heart rates were maintained at 166 beats/min during the full course of marathon running, their records would be arround $2^{\circ}15'$. Based on these results, we may suspect that a successful long distance running is, in part, dependent on the economical utilization of one's aerobic capacity.

      • SCOPUSKCI등재

        적출간 관류법을 이용한 카드뮴과 니켈의 간독성 비교

        차봉석,장세진,이중우,왕승준,Cha, Bong-Suk,Chang, Sei-Jin,Lee, Jung-Woo,Wang, Seung-Jun 대한예방의학회 2000 예방의학회지 Vol.33 No.1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적출간 관류법을 통하여 염화니켈과 염화카드뮴의 간 독성을 비교하는 데에 두었다. 방법 :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LDH(lactate dehydrogenase) 등의 간기능을 나타내는 생화학적 지표와 관류속도를 간독성 지표로 이용하였으며 산소 소모율은 생존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하였다. $300({\pm}50)g$ 정도의 흰쥐를 대조군과 각 노출군($50{\mu}M$ 및 $200{\mu}M$의 염화니켈과 염화카드뮴)에 5마리씩 총 25마리를 무작위로 할당하였다. Krebs-Ringer bicarbonate buffer solution을 관류액 용도로 제조하여 간문맥에 투입하고 간세포를 통과하여 vena cava로 배출되는 관류액을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계속적으로 채취하였으며 채취한 관류액은 간독성 지표를 측정하는 데에 이용하였다. 결과 : AST, ALT, LDH 모두 염하니켈 보다는 염화카드뮴 투여군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반복 측정된 2요인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생존력은 두 물질 모두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결론 : 결론적으로, 이 실험상에서는 염화니켈 보다 염화카드뮴의 간독성이 더욱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적출간 더욱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적출간 관류법의 특성상 급성 간독성 평가에서 적절한 기법으로 보이며 국내 연구에서도 이 방법이 널리 이용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 It 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o compare hepatotoxicity of nickel chloride and cadmium chloride with each other through IPRL(Isolated Perfused Rat Liver) method. Methods : Biochemical indicator of hepatic function such as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alanine aminotransferase), LDH(lactate dehydrogenase) and perfusion flow rate were used as the indicator of hepatotoxicity. Oxygen consumption rate were used as vability indicator. $300({\pm}50)g$ - weighted rats were allocated randomly to each group($0{\mu}M,\;50{\mu}M,\;200{\mu}M\;NiCl_2\;and\;CdCl_2$ exposure) by 5, totally 25. After Krebs-Ringer bicarbonate butler solution flowed into the penal vein and passed the liver cell, it flowed out of vena cava. Liver was administered with each $NiCl_2\;and\;CdCl_2$ of each concentration and observed with buffer solution sampling time. Butler which got out of liver was sampled and then biochemical indicator of hepatotoxicity was measured. Results : AST, ALT, and LDH in buffer increased with sampling time much more in $CdCl_2$ exposure group than $NiCl_2$ exposure group in both 50 and $200{\mu}M$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3s verified with 2-way repeated ANOVA. Viability was decreased more and more in all substances during passed time. Conclusions : It is inferred that $CdCl_2$ has stronger hepatotoxicity than $NiCl_2$. IPRL method would be used widely for acute hepatotoxicity when considerating the benefit of it.

      • KCI등재

        부산 해안지역 친수공간벨트계획에 관한 연구

        이한석(Han- Seok Lee),이중우(Jung-Woo Lee),안웅희(Woong-Hi Ahn)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1 No.10

        본 연구는 부산 해안지역에서 친수공간벨트를 계획하기 위해 친수공간벨트 및 이에 관련된 친수공간클러스터의 개념을 제시하고 개별 친수공간들을 워터프런트 그린웨이를 통해 체계적으로 연결시켜 친수공간벨트를 계획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부산 해운대구 해안지역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적용사례를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providing a strategic plan of waterfront belt development at the coastal area of Busan city that might enhance the possibility on healthy use of spare time of the residents and demand of tourism, together with raising the potential and the value added effect of coastal space. This study is one of a series of studies for developing waterfront belt at Busan coastal area. In this study we suggest the new concepts of waterfront belt, waterfront cluster and waterfront greenway. And then we present a model of making waterfront belt through waterfront cluster, which is an aggregate of individual waterfront spaces, using waterfront greenway. After that we apply this model to Haeundae coastal area and test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 간사지 발달영역에서 개발에 따른 유동환경변화 해석

        정재현(Jae-Hyun Jung),김강민(Kang-Min Kim),이중우(Joong-woo Lee),정영환(Young-Hwan Jeong),전성환(Sung-Hwan Jun)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 No.춘계

        현재 개발이 진행 중인 법성항은 하천과 바다의 경계구간인 하구항의 환경과 조석 및 하천수의 영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간사지가 잘 발달되어 있다. 또한 지형적으로 만 내가 깊이 굴입되어 있고 인근에 위치한 와탄천과 전남방조제로 인한 유량에 의한 조위변동이 심한 지역이다. 해양물리적 영향을 검토하기 위한 기초 단계에서 이러한 해역에서의 조석 수치모의는 중요하며 또한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구축된 모형은 해양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검증단계를 거친 후에 실험을 수행해나가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개발과정 중인 법성항을 대상으로 하여 수치모형을 구축한 후, 과거 지형에 대한 예측작업을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시 미래에 대한 예측작업을 수행하였다. 수행결과, 내만의 개발에 따라 개발 전과 비교하여 창조시 유속이 감소하고 낙조시 유속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위의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under developing estuarial port Bupsung is bounded by a river and the sea, and has several well developed tidal lands, where the littoral drift is strong due to the tide and the river discharge. The study area is located at the inner part of a concave bay and has a large tidal range due to the water discharge through the Watan-chun and Junnam-dike. In beginning stage of the ocean physical impact study, the tidal modeling is very important and difficult especially in this area. Moreover, we need a model experiment after the verification of the formulated model based on ocean survey.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a numerical model to the Bupsung port coastal boundaries, which varies with the past and future development and made simulation with it. The result after development shows that there is a decrease of velocity on flood current and a increase on Ebb current and the minor variation of the tide level, compared with before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