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가 적응 모듈의 성능 개선과 오류 탐지를 위한 코드 자동 생성 기법

        이준훈(Joonhoon Lee),박정민(Jeongmin Park),이은석(Eunseok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5 No.9

        It has limits that system administrator deals with many problems occurred in systems because computing environments are increasingly complex. It is issued that systems have an ability to recognize system’s situations and adapt them by itself in order to resolve these limits. But it requires much experiences and knowledge to build the Self-Adaptive System. The difficulty that builds the Self-Adaptive System has been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a technique that generates automatically the codes of the Self-Adaptive System in order to make the system to be built more easily. This Self-Adaptive System resolves partially the problems about ineffectiveness of the exceeded usage of the system resource that was previous research’s problem and incorrect operation that is occurr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virus. In this paper, we applied the proposed approach to the file transfer module that is in the video conferencing system in order to evaluate it. We compared the length of the codes, the number of Classes that are created by the developers, and development time. We have confirmed this approach to have the effectiveness. 오늘날 복잡해져 가는 컴퓨팅 환경에서 시스템에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시스템 관리자가 직접 처리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스템 스스로 상황을 인식하여 적절한 대응하는 능력을 갖는 것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나 자가 적응 시스템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경험과 지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자가 적응 시스템 구축의 어려움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자가 적응 시스템의 구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자가 적응 시스템의 코드를 자동 생성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자가 적응 시스템은 기존 관련 연구에서 문제가 된 시스템의 리소스 과다 사용을 통한 비효율성과 바이러스와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한 부정확한 동작에 대한 문제를 부분적으로 해결한다. 본 논문에서는 평가를 위하여 비디오 회의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파일 전송 모듈에 제안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개발자가 추가로 작성한 코드의 길이, 개발자가 만든 클래스의 수, 개발 시간을 제안 방법론 적용 전과 후를 비교하여 그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 자가 적응 모듈의 오류 탐지와 재사용

        이준훈(Joonhoon Lee),이희원(Heewon Lee),박정민(Jeongmin Park),정진수(Jinsu Jung),이은석(Eunseok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B

        오늘날 컴퓨팅 환경은 점차 복잡해지고 있으며, 복잡환 환경을 관리하는 일이 점차 중요해 지고 있다. 이러한 관리를 위해 어플리케이션의 내부 구조를 드러내지 않은 상태에서 환경에 적응하는 자가치유에 관한 연구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우리의 이전 연구에서는 자가 적응 모듈의 성능 향상을 위해 스위치를 사용하여 컴포넌트의 동작 유무를 결정하였다. 그러나 바이러스와 같은 외부 상황에 의해 자가적응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으며 다수의 파일을 전송할 때 스위치가 꺼진 컴포넌트들은 메모리와 같은 리소스를 낭비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인 성능 개선 자가 적응 모듈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1) 컴포넌트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를 확인하여 비정상 상태인 컴포넌트를 찾아 치유를 하고, 2) 현재 단계에서 사용하지 않는 컴포넌트를 다른 작업에서 재사용한다. 이러한 제안 방법론을 통해 파일 전송이 많은 상황에서도 전체 컴포넌트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자가 적응 제어 모듈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평가를 위하여 비디오회의 시스템 내의 파일 전송 모듈에 제안 방법론을 적용하여, 이전 연구의 모듈과 제안 방법론을 적용한 모듈이 미리 정한 상황들에서 정상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지를 비교한다. 또한 파일 전송이 많은 상황에서 제안 방법론을 적용하였을 때 이전 연구 방법론과의 컴포넌트 수를 비교한다. 이를 통해 이전 연구의 자가 적응 모듈의 비정상 상태를 찾아낼 수 있었고, 둘 이상의 파일 전송이 이루어 질 때 컴포넌트의 재 사용을 통해 리소스의 사용을 줄일 수 있었다.

      • 자가 적응 모듈을 위한 목표 기반의 성능 개선 기법

        이준훈 ( Joonhoon Lee ),박정민 ( Jeongmin Park ),이은석 ( Eunseok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4 No.2

        오늘날 컴퓨팅 환경은 점차 복잡해지고 있으며, 복잡한 환경을 관리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관리를 좀 더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환경에 스스로 적응하는 자가 치유에 관한 연구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이러한 자가 치유를 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리소스를 더 사용하게 된다. 우리의 이전 연구에서는 이러한 자가 적응 모듈이 사용하는 리소스를 줄여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스위치를 이용하여 자가 적응 컴포넌트의 동작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론은 자가 적응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추상화(abstraction) 기법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또한 자가 적응모듈을 설계할 때 개발자가 이 방법론을 적용하기 위한 코드를 직접 작성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를 확장하여 1) 목표 그래프를 통해 자가 적응 모듈의 동작 단계를 분석하고 2) 기술된 단계를 이용하여 단계별 동작 스위치를 자동 생성한다. 이러한 방법론을 통하여 자가 적응을 위해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리소스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며, 개발자가 자가 적응 모듈의 성능 개선을 위한 코드를 작성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평가를 위하여 비디오 회의 시스템 내의 파일 전송 모듈의 목표 그래프를 작성하였다. 이 목표 그래프를 기반으로 자가 적응 모듈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동작 스위치의 템플릿 코드를 생성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코드를 자가 적응 모듈에 적용하여 스위치가 제대로 동작함을 확인한다. 또한 동작 스위치를 적용하기 전과 적용한 후의 동시 동작 컴포넌트 수를 비교한다. 이를 통해 목표 그래프를 기반으로 생성된 코드가 자가 적응 모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UML 을 이용한 Heart-beat 기반 모니터링 코드 자동 생성 기법

        이준훈 ( Joonhoon Lee ),유길종 ( Giljong Yoo ),이은석 ( Eunseok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6 No.2

        모니터링은 시스템의 문제 상황을 판단하기 위해서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응답시간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들은 쉽게 모니터링이 가능하지만, 시스템의 동작 상태와 같은 내부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도록 개발하는 것은 많은 노력이 든다. 본 논문에서는 UML 을 이용하여 HB(Heart-Beat)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니터링 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방법론에서는 AOP 를 이용한 모니터링코드를 생성하여 기존 시스템의 코드를 수정하지 않고도 모니터링 기능을 추가할 수 있으며, UML을 기반으로 큰 노력 없이 자동으로 모니터링 코드 생성이 가능하다.

      • 자가 치유를 위한 외부 자원 모니터 자동 생성 기법

        이희원(Heewon Lee),이준훈(Joonhoon Lee),정진수(Jinsoo Jung),박정민(Jeongmin Park),이은석(Eunseok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B

        최근의 소프트웨어들이 다양한 기능을 갖추어가면서 점차 복잡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오류로 부터의 복구도 어려워져 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소프트웨어의 자가 치유 연구에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하지만 자가 치유 방법론에서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인 모니터는 아직까지 개발자가 일일이 작성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외부 차원으로 인한 오류로 탐지하는 모니터 모듈의 생성을 자동화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이것을 적용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본 방법론은 1) UML의 배치다이어그램으로부터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간의 연결을 분석하고, 2) 기술된 제약사항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모듈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3) 이후 생성된 모듈을 소프트웨어 사양에 맞게 수정한 후 컴포넌트에 추가한다. 이러한 제안 방법론을 통해 기존에 수동으로 만들어야 했던 외부 자원 모니터를 자동화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본 논문에서는 평가를 위해 제안 방법론을 비디오 회의 시스템의 클라이언트에 적용하여, 외부 자원의 오류를 올바르게 탐지해내는지 확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