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cent Research Trends in Moxibustion Treatment in Korea

        이주현,황두리,홍승효 대한침구의학회 2020 대한침구의학회지 Vol.37 No.1

        A total of 1,235 studies were retrieved on June 23, 2019, from 3 databases. Selected 59 studies were evaluated by year of publication, study type, subject condition/disease, acupoint, standards for reporting interventions in clinical trials of moxibustion (STRICTOM), Cochrane risk of bias (RoB), and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y (RoBANS). Most studies were conducted in 2011, after which the number of studies decreased. The most common study type was 25 case reports (CR), 16 uncontrolled clinical trials (UCT), 11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 and 7 controlled clinical trials (CCT). Moxibustion treatment was mainly used for musculoskeletal and circulatory diseases/conditions. A total of 83 acupoints were used, A-shi points being the most used. As for STRICTOM, an average of 7.4 items were satisfactory for UCT and CR without a control group, and an average of 9.4 items were satisfactory for RCT and CCT. RCT was assessed using the RoB, and many items were rated as uncertain. In this study, the need for RCT of moxibustion treatment in Korea was identifie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study methods and results will provide evidence for the efficacy of moxibustion treatment in preventive and therapeutic aspects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 KCI등재

        군자와 고객: 응수화(應酬畵)의 관점에서 본 정섭(鄭燮)의 그림과 화제(畵題)

        이주현 미술사학연구회 2017 美術史學報 Vol.- No.49

        This article examines artworks by Zheng Xie in 18th century, in Yangzhou. During this time, Zheng’s artworks were viewed as a commodity, a significant portion of which were produced in response to demands from patrons. Through a careful analysis of Zheng’s works, focusing on pictures and literary sentences, one discovers that Zheng’s pieces have subtle nuances, designed to fit the specific needs of his patrons. Indeed, Zheng’s works were famous during this time, and were highly demanded by a diverse group of professionals, such as salt merchants, bureaucrats, literati, monks, and others. His patrons were eager to experience classic literati culture, which Zheng delivered through his works. Zheng’s success was no accident; it is credited to his talents of writing, calligraphy, and painting. Specifically, Zheng used the form of Zihua-Ziti (self-painting and self-writing), drew such motifs as bamboo, orchids, and rocks, and wrote Huati (writing on painting) which expresses the pride of being a literatus, by emphasizing Junzi (gentleman) ideals. The collectors, who were eager to enjoy classical literati culture, were able to feel glorified owing to the customized works in which they were praised to their heart’s content. At the same time, owing to the gentlemanly image in the Huati, they could feel as if they were literary men, detached and free from the secular world. In addition, as the result of Zheng’s strategic promotion of his works, they were able to enjoy the pleasure of having literary works of a literati, who possessed a wonderful talent and academic intelligence. This is the way in which Zheng’s artworks existed as commodities. 이 글은 정섭(鄭燮, 1693-1765)의 그림이 18세기 양주에서 일종의 상품으로서 존재한 방식을 고찰했다. 그러기 위해 그의 작품 안에서 그림과 화제(畵題)의 내용을 면밀히 파악하고, 그것이 수요자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살폈다. 정섭의 그림은 당시 유명세를 떨쳐 저명한 염상을 비롯하여 관료, 문인, 승려 등 각계각층의 수많은 사람들이 그의 작품을 얻고자 했다. 그의 그림은 대부분 누군가의 요청에 의해 그려진 응수화(應酬畵)로, 그의 작품에는 특정 고객에 맞추어 작품을 제작한 정황이 담겨 있다. 또한 비슷한 구도와 화제의 작품이 여럿 발견되는 점은 그것이 양주 서화시장의 수요를 고려한 상품이었음을 알려준다. 그는 시문・서・화에 모두 재능이 있었고, 진사 급제자이자 관료 출신이라는 점은 좋은 자질이었다. 이에 걸맞게 그의 작품은 대나무・난초・바위라는 소재에서부터 자화자제(自畵自題)의 형식, 군자이미지를 강조하고 문인으로서의 자부심을 표현한 화제 등을 갖추었다. 고급의 문인 문화를 향유하고자했던 당시 양주의 소장자들은 그들 자신을 한껏 칭송해준 맞춤형 작품을 덕분에 영광을 누릴 수 있었고, 화제 속의 군자상(君子像) 덕분에 마치 자신이 고고하고 탈속한 문인이 된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정섭이 전략적으로 작품을 승격한 결과 대단한 재능과 학식을 겸비한 문인의 작품을 손에 넣은기쁨을 만끽할 수 있었다. 바로 이 점이 양주에서 정섭의 그림이 상품으로서 존재하는 방식이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명청대 蘇州片 淸明上河圖 연구 : 仇英 款 蘇州片을 중심으로

        이주현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2 美術史學 Vol.- No.26

        蘇州片이란 『中國藝術品收藏鑑賞百科』의 정의에 따르면 “明 萬曆년간으로부터 淸代 중기까지 소주의 山塘街와 專諸巷, 桃花塢 일대의 민간화사들이 위조한 서화”를 통칭한다. 현존 소주편 가운데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주제가 淸明上河圖이며 仇英의 관지를 달고 있는 경우가 많다. 북경박물관 소장 張擇端의 淸明上河圖가 陸完, 李東陽 등 소주의 수장가들에게 경쟁적으로 수장되면서 무명화가들에 의한 소주편 청명상하도가 미술시장에 등장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현존 요녕성박물관 소장 청명상하도는 대표적 仇英 款 蘇州片이다. 요녕성 본은 明代 작품으로 淸明節과 端午節의 蘇州 풍속을 화면에 삽입하였으며 인물과 가옥 등이 모두 명대의 풍격으로 묘사되었다. 장택단본에는 등장하지 않는 “버드나무 늘어선 강가와 먼 산들이 그려졌고 목동이 소를 타고 피리를 부는” 도상은 문헌상으로는 늦어도 16세기 말 17세기 초 장택단 청명상하도 異本에 등장하고 있어 구영 관 청명상하도의 도상이 당시 나돌던 張擇端 款 異本들의 도상과 연관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명말 청대 문인들의 수장품 목록에는 구영 관 청명상하도에 대한 기록을 찾아 볼 수 있다. 이들은 자신이 소장한 청명상하도를 진적으로 간주하였으나. 기록된 대부분의 작품들에는 文徵明, 文彭, 許初 등 유명 소주 서화가들이 베껴 쓴 북경본 청명상하도 발문이 달려 있으므로 대부분이 소주편이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진적을 직접 볼 수 없었던 소주편 제작자들에게 도상적 전범을 제공하였을 요소로는 북경본에 달린 李東陽의 1515년의 발문, 당시 소주의 수장가들이 소장하고 있던 王振鵬의 <龍舟競渡圖> 등 古畵, 명대 소주에서 판각된 목판 삽화 등을 들 수 있다. 현존 소주편 청명상하도는 요녕성본을 기본으로 대부분 청대 이후 제작된 것으로, 같은 도상이 지속적으로 전승될 수 있었던 것은 제작자들이 粉本을 활용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청대 후기가 되어 청명상하도가 전국의 미술시장으로 확산되면서 수준도 천차만별이 되었으며, 소주편의 도상적 영향 하에 지역 화풍을 첨가하여 북경 혹은 揚州에서 제작된 청명상하도 역시 출현하였다. In the city of Suzhou, the loci for the sale of fake paintings, known as Suzhoupian(蘇州片), were Shangtang Street(山塘街), Tiger Hill(虎丘), and Taohua Wu(桃花塢) as well as Zhuanzhu Lane(專諸巷). Spring Festival on the River(淸明上河圖) was the most popular subject of Suzhoupian, most of them are assigned to Qiu Ying(仇英). There are more than twenty examples of this paraphrase, of which one of the better examples is now in the Liaoning Provincial Museum. From the end of the Ming Dynasty onwards the literati began to record the Spring Festival on the River in their collection. Although the works were bearing the name of Zhang Zeduan(張擇端) and Qiu Ying, they were fake paintings by anonymous Suzhou painters. They informed us some typical characteristics of Suzhoupian produced in the Ming-and Qing Dynasty. Most of the works were accompanied with the several inscriptions by prominent Suzhou artists such as Wen Zhengming(文徵明), Wen Peng(文彭), Wang Chideng(王穉登), Xu Chu(許初). However the inscriptions are not their own creation, they are just a copy of the inscriptions attached to the Zhang Zeduan version in the Beijing Palace Museum. They also have iconographic elements in common: 1. The works began with the panoramic landscape scene in the Blue-Green Style, in which a herdboy with a flute riding an ox is depicted. 2. Weather Ming or Qing version, they all depict Ming styles of dress, architecture and vehicles in a setting with a distinctly southern flavor of Suzhou. 3. The painters put some genre scene of the Qingming Festival and Duanwu Festival in the composition such as picnic in the suburbs, woman in a swing, wrestling, picking a medicine herb, Dragon Boat Regatta(龍舟奪標) ect. 4. In the Qing version, the scene of military training is emphasized in more enlarged scale. It indicates the Manchurian policy pursuing the militarism. The characteristics of Suzhoupian versions of Spring Festival on the River described above are different from the Zhang Zeduan picture of the Northen Song Dynasty. The iconography of the Suzhoupian version could be derived from the draft(粉本) by Qiu Ying who had never seen the original depiction.

      • KCI등재

        감성소구를 위한 바디클린저 패키지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이주현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0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6 No.2

        오늘날의 제품 판매는 제품의 품질이나 색채 및 형태에만 의존해서 소비자가 구매하는 시대에서 디자인 지향적이고 감각적이며 심미적인 취향에 접근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현대사회의 소비자들은 패키지디자인을 통해서 제품에 관한 정보를 얻고 제품 및 기업에 대한 이미지를 기억 한다. 패키지는 소비자가 매장에서 가장 먼저 접하는 제품 또는 기업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제품 이미지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제품의 질적 향상은 산업발전과 공존 하는 길이되기 때문에 제품 향상을 위한 패키지디자인은 제품보다 이전에 고려되어져야 하고 더 가시적인 것이 되어야 한다. 국내 경제 성장과 환경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현실에서 목욕이 하나의 문화로 형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점에서 국내 바디용품 경쟁이 가속화되고, 바디용품의 수입이 증가하는 유통메커니즘이 형성되어 지고 있다.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내 생산하는 바디용품의 우수성과 동시에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특성을 이해하고 소비자요구를 고려한 바디용품의 패키지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바디용품의 브랜드이미지 강화를 위한 패키지전략에 대하여 국내외 제품 분석을 통하여 효율적 전략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감성소구를 위한 7가지 주요요인을 추출, 상호 비교 분석한 연구결과 독자적인 브랜드이미지를 구축과 소비층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비주얼디자인요소를 잘 활용하여 패키지디자인을 전개하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감성커뮤니케이션을 하는데 있어서 정보전달을 표현하는 표면 디자인의 시각적 표현이 브랜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소비자의 마음에 고정된 하나의 인상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더 나아가 브랜드 리인벤팅 전략을 통해 기업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제품 전략에 반영하고 패키지의 기술적인 측면에서 패키지 방법을 다양하게 다양한 개발하여야 한다. 이에 국내 바디클린저의 경우 라인별로 세분화한 그 제품의 특징을 잘 반영하여 소비자들에게 제품의 이미지를 차별화시켜야 함은 물론 소비자에게 감성적 패키지디자인을 통해 구매 욕구를 자극하여 기업의 이익을 창출하는 전략적인 패키지디자인의 개발이 필요하겠다. Today, sales of products are done with customers purchase items depending on quality, colors, or shapes of products; however, they show tendency to approach aesthetic taste which are more design-oriented and sensuous. Customers of present society gather information of product through package design and create their own image of product and the manufacturer. Product packages occupy major part of product image, as a communicative tool for products and manufacturers with customers that they first encounter packages at stores. As quality improvement of products is the way to coexist with industrial development, package design for enhancing product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before product itself, and something more visual.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 of increase in nation's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s importance, bathing is being formed as a culture, along with an acceleration of competition for the body care made in Korea, and a distribution mechanism of import increase in body care is also being formed. To acquire a competition for the body care, the excellency of them made in Korea and at the same time the life style and feature of the consumers should be understood with an accomplishment of body care's package design respecting consumers' need.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proposing an effective package strategy for the strengthening of domestic body care brand image through analysis on body care made in korea and imported. Seven main factors were extracted and then analyzed comparatively and the results showed the way of package design spreading with a build up of independent brand image and full use of visual design which would stimulate consumers' emotion. For an emotional communication, a visual expression of surface design for communication need to be connected closely to a brand to form a fixed image in the consumers' minds. Besides, it's required to reflect a corporate positive image on a product strategy through brand reinventing strategy and in respect to package technology, it should be developed in various ways. With that, a strategic package design development is required in domestic body cleanser case, with image discrimination reflecting a feature of the products which are segmented by lines along with impulsing customers' purchase desire through the emotional package design which after all would result in corporate profit generating.

      • KCI등재

        영구자석에 대한 Big Concept 기반 학습에서 아동들의 개념생태

        이주현,홍석인 한국물리학회 2012 New Physics: Sae Mulli Vol.62 No.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elementary-school students' conceptual ecologies about permanent magnets through big-concept-based learning (BCBL), which utilizes the big concept (BC) as the basis of thinking. We chose `the law of magnetic poles'as a BC about permanent magnets and then developed a BCBL that consisted of six sets of guided learning materials for four class hours and four sets of self-directed investigation materials for another four class hours. A qualitative analysis was made of the products from the BCBL lessons that had been given to 36fourth-grade students in Siheung `S'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BCBL improved the status of `the law of magnetic poles.' Thi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compared with the pretest score (39) before the BCBL (given a full score of 100), the mean scores for basic problems concerning the law of magnetic poles continuously increased (57 → 91→ 95) as the BCBL went on. Second, the analysis of students' responses to the magnetic-compass-related problem showed that there was a considerable change in the `language' component of students' conceptual ecologies;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interpreted the meaning of `why' in the problems as a `physical principle (why)' (as a `non-physical reason (for)') increased (decreased) from 42 % (56 %) before the BCBL class to 64 % (31%) after the class. Third, students' responses to the magnetization-related problem showing an anomaly in the BC indicated that for some students, `the law of magnetic poles' was located in the niche of conceptual ecology. In that case, students actively tried to solve the problem with creative hypotheses, and they discovered new concepts through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magnetizatio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ncept `Iron sticks to a magnet' in the niche hinders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its conceptual status must be lowered with the aid of BC. The lack of the basic concept, `the two magnetic poles always exist in pairs',can lead to misconceptions, which implies it should be added as a new BC. In conclusion, BCBL turned out to be useful in improving students' scientific capabilities, and developing BCBL for other topics will be valuable as a future study. 본 논문의 목적은 Big Concept(BC)를 사고의 근거로 사용하는 Big Concept 기반 학습(Big Concept Based Learning, BCBL)을 통하여영구자석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생태를 연구하는 것이다. 우리는`자극의 법칙'을 영구자석에 대한 BC로 선정한 후, 4차시 분량의 안내된학습지 6편과 4차시 분량의 자기 주도적 탐구지 4편으로 구성된 BCBL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를 경기 시흥 S 초등학교 4학년 36명을 대상으로적용하여 질적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CBL은 자극의 법칙의개념지위를 향상시켰다. 이는 자극의 법칙 관련 기본 문제의 평균점수가사전 설문조사(39점)에 비하여 BCBL이 진행됨에 따라 지속적으로상승(57점 → 91점 → 95점)한 사실로부터 알 수있다. 둘째, 나침반 관련 탐구 문제 분석 결과, 학생들의 개념생태`언어' 성분에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BCBL 전에는 문제에 포함된`왜'라는 말의 의미를 `물리적 원리(why)'로 해석하는 경우가 42%이었으나 학습 후에는 64 %로 증가하였고, `비 물리적 이유(for)'로해석하는 경우는 56 %에서 31 %로 감소하였다. 셋째, BC의 변칙 사례인자화 관련 탐구 문제에 대한 아동들의 반응을 보면, 자극의 법칙이개념생태의 적소에 있는 경우, 창의적 가설을 세워 적극적으로문제해결을 시도하고 자화를 바르게 이해하여 새로운 개념을 발견하였다. 반면에 `쇠는 자석에 붙는다.'는 개념이 적소에 있는 경우에는 이 개념이과학적 탐구 활동을 방해하므로 BC를 통하여 개념지위를 하향 조정할필요가 있다. `두 극은 항상 쌍으로 존재한다.'는 쌍극자의 법칙이개념생태에 결여된 경우에 형성된 오개념들은 이 법칙이 새로운 BC로추가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BCBL은 학생들의 탐구 능력향상에 유용함이 판명되었고, 추후연구 과제로서 다른 주제들에 대한BCBL의 개발은 가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가속도계를 이용한 뇌졸중 환자의 보행분석

        이주현,박시운,김동아,장순자,김영호,이진복 대한재활의학회 2004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28 No.5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eleration of the center of mass (COM) of the body in stroke patients. Method: Seventeen stroke patients and 9 normal subjects were participated. Three dimensional gait analysis was used to classify gait phases for the reference. The accelerometer held over the COM were used to record vertical and medio- lateral accelerations of the COM of the body. Modified Ashworth scale and Brunnstrom stage were used to evaluate the clinical status of stroke patients. Results: In normal subjects, the acceleration showed symmetric pattern. The maximum peak of vertical acceleration occurred in loading response. In stroke patients, the acceleration wave was characterized by asymmetry and polyphasicity. Maximum peak in affected side was higher than that in unaffected side (p<0.05).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everal elements of hemiplegic gait and the correspondent acceleration values; interval of successive peak I in vertical acceleration vs. step time, walking velocity and swing symmetry ratio vs. mean peak I, swing symmetry ratio vs. affected side peak I, step length symmetry ratio vs. peak I symmetry ratio. Conclusion: The accelerometer can be an easy and useful way to evaluate gait characteristics in stroke patients. (J Korean Acad Rehab Med 2004; 28: 488-49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