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BIS 자료를 이용한 중장기 버스 통행시간 예측

        이주영,구은모,김형주,장기태,LEE, Jooyoung,Gu, Eunmo,KIM, Hyungjoo,JANG, Kitae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지 Vol.35 No.4

        최근 국내에서는 대도시권의 교통혼잡 완화를 위하여 다양한 대중교통 활성화 정책을 시행중에 있다. 특히 대도시권역에서는 버스정보시스템이 도입되어 버스의 현재위치, 도착예정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복잡한 도시부를 지나는 버스들의 경우 반복적인 교통혼잡과 버스몰림으로 인하여 정확한 통행시간 정보제공 시 정확도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기존 버스 통행시간 연구는 링크별 소통정보 제공방식으로 인하여 버스 이용자의 경로 통행시간 정보 제공 시 어려움이 있고, 데이터 기반의 단기 통행방식으로 중장기 정보 제공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로기반의 중장기 버스통행시간 예측 방법론에 대한 연구를 실시한다. 이를 위하여 2015년 버스통행정보로 학습데이터, 2016년 자료로 검증데이터를 구성하였다.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버스통행정보를 분석하여 버스통행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출발시각, 요일, 그리고 기상요인 등으로 분류하고, 이들의 특성 값을 자기조직화지도를 활용하여 비슷한 통행 패턴을 가지는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도출된 군집들을 바탕으로 맑음과 우천시에 대한 요일/출발시각 별 버스통행시간 참조 테이블을 구성하였다. 검증데이터를 이용하여 본 연구에서 도출한 버스통행시간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중장기 예측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기존의 직관적이고 경험적인 접근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예측의 정확도 개선을 통한 버스이용자 만족도 향상 및 탄력적인 대중교통 정책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various public transportation activation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in order to mitigate traffic congestion in metropolitan areas. Especially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bus information system has been introduc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bus and the estimated arrival time.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travel time due to repetitive traffic congestion in buses passing through complex urban areas due to repetitive traffic congestion and bus bunching. The previous bus travel time study has difficulties in providing information on route travel time of bus users and information on long-term travel time due to short-term travel time prediction based on the data-driven method. In this study, the path based long-term bus travel time prediction methodology is studied. For this purpose, the training data is composed of 2015 bus travel information and the 2016 data are composed of verification data. We analyze bus travel information and factors affecting bus travel time were classified into departure time, day of week, and weather factors. These factors were used into clusters with similar patterns using self organizing map. Based on the derived clusters, the reference table for bus travel time by day and departure time for sunny and rainy days were constructed. The accuracy of bus travel time derived from this study was verified using the verification data. It is expected that the prediction algorithm of this paper could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intuitive and empirical approach,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bus user satisfaction and to establish flexible public transportation policy by improving prediction accuracy.

      • KCI등재

        여성의 생계 부양 분담 정도가 육아휴직 사용에 미친 영향 분석

        이주영(Jooyoung Lee)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2 여성연구 Vol.113 No.2

        이 논문은 여성의 생계 부양 분담 정도와 임금 소득이 육아휴직 사용 경험에 미친 영향을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구축한 여성관리자 제2기 패널의 제1차 자료(2020년조사)를 활용했다. 자녀 출산 경험이 있는 여성 2,086명을 대상으로 로짓 분석했다. 분석 결과 고임금 일자리에서 일하는 여성의 육아휴직 사용 확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 맞벌이 가구일수록 육아휴직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생계 부양 분담 정도는 소득과 상호작용을 일으켜 고소득 홑벌이 여성의 육아휴직 가능성을 크게 낮춘다. 결과적으로 고소득 일자리가 주는 육아휴직 사용효과는 생계를 전담하고 있는 여성 가구주에게는 나타나지 않는다. 단독 생계 전담 여성들이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못 하는 상황을 막기 위해, 육아휴직 급여의 소득대체율을 현실화하는 방안 등이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nalysis aims to investigat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use of parental leave among 2,086 female workers holding management positions. The data are drawn from the 1st wave of Korean Women Manager Panel II(KWMP II), conducted by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in 2020.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earned income helps increase the possibility of the experience of parental leave. Female workers of dual-income households have an strong propensity to taking parental leave. The extent to which females support living has an interaction effect with earned income, leading to decline in parental leave experience among highly paid female single earne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ower derived from decent work, guaranteeing high earned income, is nothing to female workers in charge of making a living single-handed. To address this issue, it is necessary to rationalize the income replacement rate of parental leave allowance.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전환기 고전소설의 대응 양상과 그 의미: 박건회 편집 및 개작 소설을 중심으로

        이주영(JooYoung Lee) 국문학회 2008 국문학연구 Vol.17 No.-

        Park Keon Hoe is one of the most active persons in the publishing of classic novels in the 1910s. Accordingly, through him, we can see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classic novels in cultural history during his days, which were a transitional period of Korean history. Park Keon Hoe published a total of around 50 novels. The novels published by him were mostly popular works among readers in the Chosun Dynasty. However, he published them in printed books by applying a unique editing method. This was advantageous in that more information could be conveyed to readers. Many of books published by him were stories and Chinese novels. He did not publish important works including novels related to Pansori. This fact suggests that his efforts were concentrated on the delivery of edificatory values and his activities were deeply influenced by Chinese culture. A meaning of Park Keon Hoe’s publishing activities is that he tried to find a contact point between print media and the elements of oral culture. Moreover, he took notice of new classes of readers brought by the development of printing technology and the mass distribution of books, and rediscovered the existence of the readers. Despite his efforts as such, however, readers’ response was not as high as expected probably because he adhered to his cultural background.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디지털운행기록을 활용한 우천시 주요 운전행동과 사고와의 상관성 분석

        이주영(LEE, Jooyoung),여지호(YEO, Jiho) 대한교통학회 2018 대한교통학회지 Vol.- No.-

        교통안전 증진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국내 교통사고수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OECD 국가 평균 대비 높은 사망자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 데이터 수집기술의 발달로 운전자의 운전행동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이 되고 있다. 운전자의 운전행동은 주행하고 있는 도로의 환경, 기상상황 등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주변환경을 고려하여 운전행동을 분석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택시의 디지털 운행기록계로부터 수집된 2013년 9월 중 10일간의 운행기록자료를 활용하여 기상상황에 따른 운전 행동을 분석하였다. 기상청 자료를 이용하여 운행기록일별로 우천시와 맑음 상황을 구분하였고, 클러스터링 분석을 활용하여 총 12가지의 대표운전행동을 각각의 기상상황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과거 사고와의 공간분석을 통해 우천시 사고가 운전행동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짐을 보이고, 우천시 사고 다발지점에서의 주요 운전행동이 급제동과 급출발 행동이었음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대용량의 운행기록자료를 이용하여 기상상황에 따른 운전행동의 차이를 도출하고 운전행동과 교통사고 간의 상관관계를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추후 분석 데이터양과 기간을 늘린다면 보다 일반화된 각 기상상황에 따른 운전행동과 사고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기상상황에 따른 사고 위험 행동들을 도출하여 선제적인 교통안전 대책 수립 및 안전운행정보 고도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Despite number of traffic crashes in Korea has been decreasing due to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traffic safety, there are still high fatailities compared with OECD countries. Therefore, in-depth study of traffic crash is needed. Especially, recent data collection technology enables us to investigate driver’s driving behavior. The driving behavior of the driver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 of roadway, weather conditions, and so on, so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driving behavior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this study, driving behavior according to weather condition was analyzed using 10-day driving record data collected from the digital tachograph during September 2008 to December 2013 of taxi in Seoul.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driving record data is distinguished between rainy and clear by day of operation. Driving behaviors were analyzed by clustering analysis to derive a total of 12 representative driving behaviors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rainy and clear cases. In addition, spatial analysis of past crashes showed that crashes had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ith driving behavior in rainy weather, and major driving behaviors at the accidents at rainy days were sudden braking and sudden starting behavior.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weather condition were deriv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of driv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weather condition using the driving record data, and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crash occurrence were derived. If we increase the amount and duration of driving record data, it is possible to analysis more generalized relationship between driving behavior and crahes according to weather condition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stablish pre-emptive traffic safety measures and to enhance safety driving information by deriving risk behaviors according to weather conditions.

      • KCI등재

        부분 휘도 변화에 강인한 영상 촬영 기반 콘텐츠 검색 방법

        이주영(Jooyoung Lee),김연희(Younhee Kim),남제호(Jeho Nam)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1 방송공학회논문지 Vol.16 No.3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ntent retrieval system using pictures taken from a display for more intelligent mobile services. We focus on the search robustness by minimizing the influence of photographing conditions such as changes in the illumination intensity. For an efficient search and precise detection, as well as robustness, we use a two-step comparison method based on indexing features and a binary map based on luminance and chrominance difference with the adjacent blocks. We also evaluate the proposed algorithm by comparing with the existing algorithms, and we show the content retrieval system that we’ve implemented using the proposed algorith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