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효고교육대학(兵庫教育大学)의 초등교원양성과정과 시사점

        이주영(Yi Ju yeong),권동택(Kwon Dong 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1

        1978년에 설립된 효고교육대학은 일본 교원양성대학에서 선두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교원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효고교육대학은 신규 교사를 양성하고, 석사 및 전 문 학위 과정과 박사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학부, 대학원의 모든 과정에서 효고교육 대학의 교육과 연구는 교원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하여 교육 이론과 실제의 통합과 균형을 지향하고 있다. 전반적인 교원양성교육과정은 학생들이 다양한 학문 분야의 기본 지식과 함께 초등교사로서 필요한 전반적인 능력을 획득할 수 있도록 4년 과정 으로 조직되어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제적인 교육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대학원 과정에는 3개 전공의 석사학위 과정과 1개 전공의 전문 학위 과정이 있 는데, 대학원 과정은 특히 초중등학교에서 필요로 하는 보다 확장된 능력을 길러주 고 있으며, 현재 많은 교사들이 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교류하고 있다. 이러한 효고교육대학의 초등교원양성과정은 우리나라 초등교원양성체제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Hyogo University of Teacher Education, established in 1978, is a front runner in teacher education practice and research in Japan. As a university specializing in teacher education, it develops new teachers, the largest master course and professional school in Japan, and a doctorate course. At every stage of its undergraduate, master s, professional degree, and doctoral programs, education and research at this university is oriented toward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to enhance teacher education. The overall curriculum is organized and coordinated over 4 years so that students gain the overall ability to serve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addition to basic knowledge in a range of disciplines. The Graduate School offers a master s program (3 fields) and a professional degree program (1 field). These programs foster teachers with extensive ability to lear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 particular, and current teachers from around the country exchange of variety of information regarding educati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programs of the Hyogo University of Teacher Education give us some suggestions on related to the syste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 KCI등재

        아동기 삶의 질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주영(Yi Ju yeong),권동택(Kwon Dong 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9

        본 연구는 아동기 삶의 질 구성요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와 문헌 고찰을 토대로 삶의 질 구성요인을 확인한 후, 아동기 생태 체계(개 인, 가정, 학교 및 사회)와 발달 영역(신체행동, 인지, 사회정서)을 기준으로 9개 영 역 90문항을 추출하고 개방형 1문항을 추가하여 검사 문항을 구성하였다. 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 후 초등학생 214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한 결과, 아동기 삶의 질을 구성하는 5개 요인 32문항이 추출되었다. 또한 개방형 문항의 내용 분석 결과, 물질, 자유, 대회(경기) 등 3문항이 추가되어 관련 요인에 추가하였다. 이들 요인을 자아 안정성, 가족 친밀성, 학습 성실성, 상황 만족성, 인정 추구성으로 명 명하였다. 본 연구는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 검사로서 후속 연구를 통해 아동기 삶 의 질 구성요인을 밝히고, 삶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함으로써 아동기 삶의 질을 설명하고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to construct quality of childhood s life. For this study, first 40 factors based on references and previous studies was clarified. And then, 90 questions of 9 domains was extracted and 1 open question was added by considering development domains of childhood(physics and Behavior, cognition, society and emotion). The surveys based on 214 elementary students responses for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for the factor analysis were was extracted 5 factors to construct quality of childhood s life. And the results of open question content analysis were added 3 questions of material, freedom and game. These factors were named as self stability, family intimacy, learning sincerity, situation satisfaction, recognition orientation. This study confirmed factors that composed of quality of childhood s life through a follow-up study as preliminary tests for scale development and was tried to contribute to the explanation and improvement of childhood life by scaling it.

      • KCI등재

        교육적 소통을 통한 학습자 중심 수업의 본질 논의

        이정표(Lee Jung Pyo),이주영(Yi Ju yeong),권동택(Kwon Dong t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2 No.4

        의사소통은 학교에서 교사와 학습자가 상호작용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이다. 이때 의사소통은 주로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의 의미로 이해되어 왔기 때문에, 학습자 중 심 수업에서 상호성의 의미를 최대한 실현하기 위해서는 의사소통을 포함하는 교육 적 소통을 통한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나 교육적 소통에는 의도성과 상호성의 의미가 함께 내재되어 있어 의미상의 논리적 모순이 생성된다. 이것은 교육철학자 Martin Buber의 이론을 통해 이해의 단 서를 마련할 수 있다. 교육적 소통은 ‘나-그것’, ‘나-너’ 관점이 공속하는 보편적인 소 통의 관계와는 다르다. 교육적 소통은 교사가 학습자의 미성숙함을 전제하고, 아동 으로부터 의도적인 상호성의 의미를 이끌어내야 한다. 즉 교육적 소통을 통한 학습 자 중심 수업에서 처음부터 교사와 학습자가 대등한 위치에 있을 수는 없지만, 교사 에 의해서 학습자는 마치 자신을 둘러싼 교육적 환경과 상호적 관계 속에 있다고 생 각하게 된다. 그러므로 학습자 중심 수업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의도적인 교사의 역할이 전제되 어야 하며, 여기에서 교사는 상호적 관계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경주해 야 한다. The trend of recent lessons are learner-centered. The communication is essential in school interacting the teacher and learner. However, Communication has been mainly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means for achieving the goal. Therefore, communication with th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in order to realize the full meaning of mutuality is needed to approach through educational communication. But educational communication is inherent in means intentional characteristic and mutuality together. And logical contradiction is generated in meaning. Then we can be offered some clue of understanding educational philosopher Martin Buber s theory. Educational communication differs from I-it , I-You relationship of a universal communication perspective. This must premise immaturity of learners, and the teacher must derive the meaning of interactional characteristic from children. Namely, although teachers and learners in the learner-centered teaching cannot be in one location, Learner get think to interact with educational environment surrounding yourself. Therefore, the role of the teacher is premised in order to realize th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And then they should devote constant efforts to realize mutual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