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개신교회 유치부실 실내 환경에 관한 연구

        이종희 ( Lee Jong H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7 한국디자인포럼 Vol.17 No.-

        그 동안 한국 교회는 교회 성장에 최우선적인 목표를 두어 왔기에, 교회학교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교육방법이나 교육환경에 전문적인 노력과 투자를 하지 못했다. 따라서 교육시설의 절대적 부족과 부적절한 교육환경 속에서 기독교 교육은 정체될 수 밖에 없었다. 최근 교회 성장의 정체 현상과 함께 교회학교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인식한 교회들이 교회학교 시설에 관심을 두기 시작하였고 점차 예배 공간보다는 교회학교의 교육 공간에 더 중점을 두는 교회들이 많아지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은 교회학교의 각 부서 중 유치부실을 중심으로 교육 환경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과 지향점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효과적인 교회 교육 공간의 실내 환경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기존 교회 유치부실 교육 공간의 사례 및 설문조사 도구로 머사 앤 리(Murtha & Lee)의 사용자 이득기준(Dimensions of User Benefit)을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배 및 교육 공간, 관리 공간, 서비스 공간은 유치부실 계획 시 반드시 확보되어야 하는 공간이다. 둘째, 아동 수 대비 필요 공간에 대한 면적 확보가 적극적으로 지원되어야 한다. 셋째, 동적인 활동이 가장 활발한 성장기 아동들을 위해 안전성을 배려한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넷째, 교사와 아동의 시각적 접근이 용이한 시각적 환경과 공간간의 소음을 단절시킬 수는 청각적 환경의 배려가 필요하다. 다섯째, 내구성과 안전성 및 환경친화를 고려한 마감재의 사용과 교육환경에 적합한 조도의 유지 및 채광을 위한 외부창이 설치되어야 한다. Giving priority to expansion, Korean churches have failed to make professional efforts and investment in educational methods or environment, though they are aware of its importance. As a result, Christian education could not help but be stagnant under lack of appropriate facilities and unsuitable educational environment. Recent stagnant growth of churches make more and more churches look at problems with christian schools and their underdeveloped facilities and thus start to see the schools not so much places for worship as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paper intend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kindergartens run by christian churches among other institutions and present problems and possible remedies, ultimately contributing to future organization of effective church education system. As a tool for case collection and survey about the education spaces for church kindergartens, Murtha & Lee`s Dimensions of User Benefit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paces required for a kindergarten include those for worship, education and service, all of which are indispensable from the planning stage. Second, necessary support must be given to securing minimum space per kid. Third, finishing materials must be environmentally friendly ones for safety, robustness and maintenance easiness for the active and growing-fast kids. Dedicated rooms including those for faculty, parents and feeding as well as spaces for kids` playing must be secured.

      • KCI등재

        벼 등숙기 벼멸구 피해가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이종희,여운상,곽도연,김준환,송유천,김춘송,신문식,Lee, Jong-Hee,Yeo, Un-Sang,Kwak, Do-Yeon,Kim, Joon-Hwan,Song, Yu-Cheon,Kim, Choon-Song,Shin, Moon-Sik 한국작물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51 No.suppl1

        화영벼와 일품벼를 이용하여 벼멸구에 피해에 따른 농업적 특성,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멸구 피해지에서 간장 수장 및 수당립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등숙율 및 쌀수량은 무피해구에 비해 감소되어 출수기 이후의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현미의 외관품질 분석 결과 벼멸구 피해지의 정상립 비율은 감소하였고, 미숙립, 피해립 및 사미의 발생은 증가되었다. 3. 벼멸구 피해지의 쌀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결과 아밀로스 함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단백질 함량은 높았다. 최고 점도는 낮고 치반점도는 높았으며 취반시 호화특성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미치는 낮아졌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 yield and grain quality in rice caused by damages of brown planthopper (Bph) on major agronomic traits at the ripening stage. A major agronomic traits such as culm length, panicle length, number of panicle and number of grain per panicles was no-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hopperburn area (HBA) and moderately damaged area (MDA) by brown planthopper with non-damaged area (NDA). but, the ripeing ratio and yield in HBA and MD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erfect rice of brown rice in HBA and MDA was also lowered than the NDA and the immatured grain among imperfect rice in damaged area by BP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in the NDA. Among the traits related with palatability of cooked rice, the amylose content was not affected by damage of brown planthopper, whereas, the protein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BA and MDA. additionally, Peak viscosity in HBA and MDA is lower than the NDA, and setback was increased. In most cases, there was negative on yield and grain quality by the damage of brown planthopper at the ripening stage. Thus, the rice product harvested in damaged area should be separated with that in non damaged area for grain market quality of milled rice.

      • F-22의 개발과정(2)-선행 시제기에서 실용 시제기까지

        이종희,Lee, Jong-Hui 한국방위산업진흥회 1999 國防과 技術 Vol.- No.249

        이 글은 미국의 차세대 전투기로 개발 및 시험중에 있는 F-22 항공기의 개발과정중 주요 형상변경을 비롯한 개발과정의 실제상황을 간접설명하기 위하여 록히드 항공사에서 발간한 "Code One" 잡지의 내용을 번역한 것이다. 본 내용은 미국의 항공 무기체계 개발 단계중 가장 설계 활동이 활발한 시범 및 입증단계(Demonstration/Validation Phase) 및 체계개발단계(Full Scale Development, or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Development Phase)의 설계 변경과정을 소개한 것이다.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미국의 항공무기체계 개발단계를 F-22 중심으로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