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종희 ( Lee Jong He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7 한국디자인포럼 Vol.17 No.-
Giving priority to expansion, Korean churches have failed to make professional efforts and investment in educational methods or environment, though they are aware of its importance. As a result, Christian education could not help but be stagnant under lack of appropriate facilities and unsuitable educational environment. Recent stagnant growth of churches make more and more churches look at problems with christian schools and their underdeveloped facilities and thus start to see the schools not so much places for worship as educational institutions. This paper intend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kindergartens run by christian churches among other institutions and present problems and possible remedies, ultimately contributing to future organization of effective church education system. As a tool for case collection and survey about the education spaces for church kindergartens, Murtha & Lee`s Dimensions of User Benefit wa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paces required for a kindergarten include those for worship, education and service, all of which are indispensable from the planning stage. Second, necessary support must be given to securing minimum space per kid. Third, finishing materials must be environmentally friendly ones for safety, robustness and maintenance easiness for the active and growing-fast kids. Dedicated rooms including those for faculty, parents and feeding as well as spaces for kids` playing must be secured.
F-22의 개발과정(2)-선행 시제기에서 실용 시제기까지
이종희,Lee, Jong-Hui 한국방위산업진흥회 1999 國防과 技術 Vol.- No.249
이 글은 미국의 차세대 전투기로 개발 및 시험중에 있는 F-22 항공기의 개발과정중 주요 형상변경을 비롯한 개발과정의 실제상황을 간접설명하기 위하여 록히드 항공사에서 발간한 "Code One" 잡지의 내용을 번역한 것이다. 본 내용은 미국의 항공 무기체계 개발 단계중 가장 설계 활동이 활발한 시범 및 입증단계(Demonstration/Validation Phase) 및 체계개발단계(Full Scale Development, or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Development Phase)의 설계 변경과정을 소개한 것이다.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미국의 항공무기체계 개발단계를 F-22 중심으로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한국의 과학기술 어디까지 왔나 - 항공기제작 및 부품산업기술
이종희,Lee, Jong-Hui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99 과학과 기술 Vol.32 No.3
우리나라의 항공산업은 주로 군용 항공기의 조립에 관련된 부품과 일부 민간 항공기의 부품을 생산하는 수준이다. 현재 신고된 항공산업체는 55개 업체로 97년도 항공분야 총생산은 1조1천6백80억원이며 항공산업체 종사자는 1만2천8백50명이다. 또한 현재까지 독자적으로 개발한 항공기는 5인승 경항공기인 '창공91'등으로 고도의 기술개발을 위한 국가 정책적 지원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2005년~2010년에 항공산업의 피크를 전망하고 있으므로 우리 산업계도 이에 대비해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