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거정보의 페이크뉴스에 대한 유권자 인식 분석 연구 -제19대 대통령선거 정보를 중심으로-

        이종문,Lee, JongMo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8 No.3

        본 연구는 제19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선거정보의 페이크뉴스에 대한 유권자 인식을 분석하여 문제를 파악,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전체 응답자 128명(남자53명, 여자75명)을 대상으로 분석결과, 첫째 응답자의 99.2(127명)가 선거 정보를 접해본 경험이 있었으며, 주로 방송(77.2%)과 스마트폰(70.9%), 인터넷(63.8%), 신문 32.3%(41명) 등의 순으로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의 87.4%가 선거정보가 투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들 모두가 보통 이상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셋째 19대 대통령선거에서 후보자들이 주장했던 선거정보를 표집하여 제시한 후 팩트 인식을 분석한 결과, 연령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Scheffe 사후검증결과 30-40대가 20대에 비해 팩트 인식 평균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을 토대로 선거정보의 사전 등록제도 및 검증제도를 법제화, 시스템화 할 것,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각 선거조직별로 선거정보 조사분석위원회를 설치하여, 상시적으로 선거정보를 조사 분석하여 팩트성을 유권자인 국민에게 알릴 것 등을 제언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approaches to improve the voters' awareness by analyzing the voters' awareness on the fake news related to the elections and identifying the problems with the focus o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n the data from 128 respondents (53 male and 75 female respondents), the 99.2% (127 respondents) of respondents had informations on elections mainly through broadcasting(77.2%), smart phone(70.9%), Internet(63.8%) and newspapers 32.3% which accounts for 41 respondents) in that sequence. Next, the 87.4% of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informations on elections had more impact on their voting than the generally expected degree. Meanwhile, the voters' awareness on the facts was analyzed by collecting and presenting the information on elections which stated by candidates in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per age groups. The Scheffe test indicated that the respondents in 30s to 40s ha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awareness than those in 20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t was proposed that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install the election information investigation and analysis committee in the election organization,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lection informations each election for providing real facts to the public, the voters.

      • KCI등재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 및 운영 실태 분석 연구

        이종문,Lee, Jong-Mo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4 No.3

        본 연구는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과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51개 장난감도서관 중 도서관법에 의해 설립된 곳은 9.8%(5개)에 불과하고 대부분 자치단체의 장난감도서관 조례(45%) 또는 법적 제도와 관계없이 설립, 운영되고 있다. 설립 목적의 경우에도 82.4%가 장난감 대여와 놀이 자료 제공 및 프로그램 보급, 문화 활동 서비스로 나타날 정도로 도서관법 제2조의 1, 2, 3항의 정의에 따른 동 법에서 말하는 도서관과는 그 정체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도서관법상의 법적 등록기준과 관련하여, 작은도서관 기준으로 건물면적은 96.1%가, 열람석은 92.3%가, 보유 자료는 45.1%가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서배치의 경우는 배치한 곳이 13.7%에 불과하였다. 셋째 예산의 경우 대부분이 소요 예산의 70%밖에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자치단체들이 제정하는 장난감도서관 관련 조례 근거에 도서관법을 포함할 것을 제언하였다. 둘째 장남감도 서관들이 도서관법상의 법적 위상을 가질 수 있도록 도서관법에 의해 등록할 것을 제언하였다. 셋째 장난감도서관 운영을 현실화할 수 있도록 자치단체가 예산을 현실화하여 지원할 것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oy librari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identity and administration of toy library and so to propose the approaches to improve the legal and administrative status of toy library.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nly 9.8%(5) of 51 toy libraries in Korea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Libraries Act. Most toy libraries were established and operated without any basis on legal institutions or toy library ordinances of local authorities(45%). The purposes of establishment were different from the identity of toy library specified in the provisions of Clause 1, 2 and 3, Article 2, Libraries Act, as 82.4% of toy libraries was established for rental of toys, providing game data and cultural activity service and distributing game programs. For the legal registration standards based on the Libraries Act, it was found that 96.1% exceeded the floorage requirements, 92.3% exceeded the seating requirement and 45.1% exceeded the collection requirement on the basis of the small libraries. Only 13.7% employed the librarians. Next, most toy libraries secured just 70% of the required budget.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d the local authorities to establish the ordinances related to toy library on the basis of the Libraries Act. Next, it was also proposed for the toy libraries to register themselves in accordance with the Libraries Act for securing the legal status. Finally, the local authorities need to rationalize and support the budgets for rationalizing the administration of toy libraries.

      • KCI등재

        문헌정보학전공 졸업자의 취업실태 분석 연구 - K대학교를 중심으로 -

        이종문,Lee, Jongmoo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3 No.4

        본 연구는 K대학을 중심으로 문헌정보학 전공 졸업자의 취업실태를 분석,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언하는데 있다. 2006년 8월부터 2011년 2월까지 5년간 취업가능 졸업자 178명을 분석한 결과, 취업실태는 취업 65%, 미취업 32%, 진학 3%로 나타났다. 이 중 취업자 116명을 분석한 결과, 고용형태는 정규직 40%, 비정규직 60%로, 직장 유형은 일반회사 29%, 공공도서관 16%, 학교도서관과 대학도서관 각각 10%, 대학/학교행정 9%, 공공기관과 출판/서점 각각 6%, 전문도서관 5%로 나타났다. 또 담당직무는 사서업무 38%, 사무업무 30%, 영업/관리 7%, 텔러/판매 7%, 조교업무 5%, 웹/전산 3%, 학원 강사와 상품기획/디자인 각각 2%, 사서교사, 보육교사, 비서, 사보기자, 군인, 자영업 각각 1%로 나타나 40%대의 전공일치도를 보였다. 미취업자(56명)의 희망 진로는 취업준비 57%, 공무원 준비 21%, 교사임용 준비와 미확인 각각 11%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문제점은 미취업률이 32%에 달할 정도로 높은 점, 정규직보다 비정규직 취업률이 높은 점, 전공일치도 평균 40%대에 불과한 점 등이었다. 이를 토대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도서관적 일자리를 적극 창출할 것, 전공학생이 정보 분야 일자리를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할 것, 학문분야 차원에서 전공분야에 대한 일자리를 개발하고 지도할 것 등을 제언하였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mployment of graduates majoring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LIS) in K University, to identify problems in the employment of those graduates, and to propose approaches to improve employment. Among 178 graduates getting a job for five years from August 2006 to February 2011, 65% of them was employed, 32% was not employed, and 3% continued further study, The 116 graduates employed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40% are full-time employees and 60% are part-time workers. For workplace types, 29% worked in general companies and 16% worked in public libraries. 10% worked in school libraries and college libraries. Those who worked in administrative divisions in colleges or schools comprised 9%. Those who worked in public organizations and publishing companies/bookstores were 6% each. 5% worked in specialized libraries. In the case of duties, 38% were librarians. 30% were engaged in office work. Those in sales/administration were 7%. Tellers/salesperson comprised 7%. 5% worked as teaching assistants and 3% worked in the web or in IT related businesses. Those who worked in private institutes and product planning/design comprised 2% each. Teacher librarians, day care center teachers, secretaries, company newsletter reporters, soldiers and self-employed workers were 1% for each. As a result, the major congruence was around 40%. For the career which the (56) unemployed desired, 57% prepared themselves for employment and 21% prepared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 Those who prepared for teacher recruit examination and who weren't confirmed were 11% for each. The problems identified were high unemployment to 32%, higher employment as part-time workers than full-time workers, and major congruence of just around 40%. As the results, the study proposes that the national and local authorities should actively create jobs, make the students majoring in LIS have the opportunity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jobs related to information science, develop jobs related to LIS on the academic level and provide guidance to graduates.

      • KCI등재

        문헌정보학 전공자의 선호 직업 및 준비성 실태 분석 연구

        이종문,Lee, Jong-Mo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0 No.2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전공학생들의 취업가능 및 취업 희망직업에 대한 인식과 취업 요건 및 준비성 실태 등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교의 문헌정보학과들에서 조사, 발표한직업분야와 취업률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K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재학생 107명을 대상으로 문헌정보학 학부 학생들의 선호 직업군과 직업준비성 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헌정보학과 학부 학생들이 진출가능하다고 한 직업은 49개 직업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의 82.1%를 차지하는 (1)-(20) 순위 직업에서 사서직군은 29.2%로 낮은 반면, 여타의 직업은 52.9%로 높았다. 그러나 자신의 진출희망 직업에서는 전체의 96%를 차지하는 (1)-(20)순위 직업에서 사서직군 45.8%, 여타의 직업이 50.6%로 나타나 실제 진출희망 직업에서는 사서직군에 대한 선호가 다소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취업 요건을 종교, 어학, 학업성적, 자격증, 경력으로 구분, 취업공고에 나타난 지원요건과 준비성을 조사한 결과, 전체의 92%가 보통 또는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토대로, 전공자의 사회적 역량확대와 취업률 향상을 위해 전공 관련 다양한 직업을 학생들에게 소개하고 지도할 것과 케이스 바이 케이스(case-by-case) 개념의 취업지도를 시행할 것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cognition of those majoring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on the jobs that they can get and want to work for, employment requirements and their preparation, to identify problems and to suggest how to improve current status. To this end, the jobs and employment rate reported by most of the Depts.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nd the preferred jobs and preparation to those majoring library and information were surveyed with 107 students studying in the Dep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the K University as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 results, 49 jobs were identified as the jobs that those majoring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could get into. In the 1st to 20th job ranking groups, 82.1% of all identified jobs, librarian job took lower ranking as 29.2% while other jobs accounted for 52.9%. However, among the jobs from the 1st to 20th ranking accounting for 96% of all jobs that the subjects wanted to have, the librarian job took 45.8% and other jobs 50.6%, which suggested that the preference on librarian job was slightly increased among the jobs that the subjects wanted to have. Furthermore, the employment requirements were classified into religion, language, scholastic achievement, certification and experience. In accordance with investigation on requirements from employment announcement, 92% were in the generally acceptable level or insufficient level. On the basis of such results, it is suggested to introduce a variety of jobs to students and to provide Case-by-Case employment guidance for improvement of employment rate and social capability of students.

      • KCI등재

        공공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 운영 실태 분석 연구

        이종문,Lee, Jongmoo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6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첫째, 웹 검색엔진을 통해 공공도서관이 2013년-2015년까지 운영한 독서프로그램 관련 기사 350개를 표집하여 분석한 결과, 독서프로그램 관련 보도가 수도권(41.4%)은 높은 반면 여타 지역은 낮았다. 둘째, 순수 독서프로그램이 69.9%를 차지할 정도로 높았으나, 여타의 프로그램이 상당 수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독서프로그램 참가대상 중 초등학생과 유아 및 부모가 51.3%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반면, 소외 계층은 9.0%로 낮았다. 넷째, 독서프로그램 운영기간이 28.4%(86개)가 1일로 파악될 만큼 단기 프로그램 비중이 높았다. 이 같은 분석을 토대로, 독서프로그램을 지역사회 주민에게 홍보하기 위한 홍보팀 또는 전담인력을 도서관이 운영하여 언론과 소통할 것과, 지역 주민의 계층별 요구에 부합하는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화된 독서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것, 주민 계층별로 전체 주민을 균형 있게 아우르도록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할 것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in reading program of public libraries and provides some suggestions for the program development and management. For this analysis, I sampled and examined 350 news articles to reading programs done in the public libraries between 2013 and 2015. The result shows that 41.4% of the collected articles were the news about the reading programs in Seoul Metropolitan areas. While the articles about simple reading programs occupied 69.9%, the mixed activity programs reached a significant amount in total. In addition, 51.3% of program participants was under the elementary children and their parents, but only 9.0% program participants came from low socioeconomic status classes. 86 reading programs (28.4%) were designed for one-day events without a long-term policy. Based on such analyses, this study provides three suggestions: utilizing public relation teams and communicating mass media to advertize reading programs to local residents, developing systematic reading programs in users' needs, managing the reading programs for all kinds of local residents.

      • KCI등재

        학습만화에 대한 초등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분석 연구

        이종문,Lee, Jong-Mo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3 No.2

        출판업계가 불황을 타개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이른바 학습만화를 고안해 내면서 만화를 통해 교과학습 및 관련 사물을 이해하려는 학생들의 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만화에 대한 유해성이 높은 독서자료라는 과거의 인식은 아직도 많은 학부모들로 하여금 자녀들의 만화독서를 금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실제 만화를 독서하고 있는 학생들과 이를 대하는 학부모들은 만화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3개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까지 한반씩 총 12개 반의 291명의 학생들과 203명의 학부모 설문지가 유효하다고 판단하여 분석한 결과, 상당수의 학생들이 학교도서관 등의 정보원으로부터 학습만화를 입수하여 독서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학습만화가 학업성취에 상당히 도움이 되고 있으며 두 집단에서 학습만화 독서가 일반 독서로 이어지는 독서전이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도서관운영자는 학습만화를 중요한 교수학습매체로써 인식해야 하며 아울러 독서흥미유발을 위한 견인매체로써 학습만화를 활용하여야 하고 정규교과목 시간에서도 교수학습활동에 학습만화를 보조교재로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reading reality of comic books for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to research the perceptions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to reading comic books for learning, and to suggest the methods which librarians and teachers make use of the comic books for learning in their classes. For doing this, firstly 3 elementary schools were chosen and every school, 4 classes from 3rd year to 6th year, total 12 classes' students and their parents were searched. As the results of this, it's revealed that most of students have experiences of reading the comic books which are circulated in school libraries, etc., and both groups of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ought the comic books to help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they have the thought that the reading comic books induce themselves to read the other normal books for more informations. It's suggested that the comic books for learning should be thought of the important media for teaching learning, and be utilized as the media for normal reading attitude s and habits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libraries.

      • KCI등재

        등지방 두께가 한우 암소와 거세우의 도체 등급 요인 및 도체가격에 미치는 영향

        이종문,최주희,박현경,김윤호,박범영,김관태,고경철,서상철,황규석,Lee, Jong-Moon,Choe, Ju-Hui,Park, Hyun-Kyung,Kim, Yuen-Ho,Park, Beom-Young,Kim, Kwan-Tae,Koh, Kyung-Chul,Seo, Sang-Chul,Hwang, Kyu-Seok 한국축산식품학회 2011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는 2009년도에 전국에서 출하된 한우 암소 및 거세우 69,159두를 대상으로 등지방두께가 도체등급요인 및 경락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평균 등지방두께는 거세우(12.57 mm)가 암소(11.93 mm) 보다 높았으며, 암소의 77.52%가 등지방두께 4-15 mm 구간에, 거세우의 85.91 %가 등지방두께 4-18 mm 구간에 속하였다. 암소 및 거세우의 도체중(평균, 315.5 kg과 413.2 kg)과 배최장근면적(평균, 76.73 $cm^2$와 86.23 $cm^2$)은 등지방두께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 하였으며(p<0.05), 육량등급은 C등급으로 낮아졌다(p<0.05). 평균 근내지방도는 거세우(5.29)가 암소(3.83)보다 우수하였으며 등지방두께 21 mm까지 증가하였고(p<0.05), 22 mm 이상부터 감소하였다. 암소 및 거세우의 평균 성숙도는 각각 6.11과 2.12로 암소의 골화 정도가 높았으며 평균 육색은 4.85 및 4.67 로써 비슷한 수준이었다. 암소의 평균 육질등급은 1등급과 2등급의 중간 수준(평균 3.55)이었고 거세우는 1등급과 $1^+$등급의 중간 수준(평균 2.58)으로 등지방두께가 21 mm까지 육질등급은 향상되었으나(p<0.05), 22 mm 이상부터 암소는 2등급 수준으로 거세우는 1등급 수준으로 낮아졌다. 암소도체 kg당 경락가격은 등지방두께 13-15 mm 구간에서 14,970원으로, 거세우는 등지방두께 10-12 mm 구간에서 17,318원으로 가장 높았다(p<0.05). 도체 kg당 경락가격은 암소는 등지방두께 18 mm이상, 거세우는 15 mm이상에서 유의적으로(p<0.05) 감소되었다. 특히, 거세우의 경우 도체 경락가격은 등지방 두께 15 mm 이상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1^{++}$등급 출현율은 암소는 등지방두께 19-21 mm 구간에서 7.33%, 거세우는 22-24 mm구간에서 25.04%로 가장 높았다. 육량 A등급은 등지방두께 4-6 mm구간에서 암소 및 거세우 각각 55.67%와 93.33%로 가장 높았다. 암소 및 거세우의 등지방 두께는 육량지수와 각각 $-0.97^{**}$ 및 $-0.96^{**}$로써 상관관계가 높았으며 근내지방도와 각각 $0.20^{**}$ 및 $0.14^{**}$ 상관관계가 있었고 육질 등급($1^{++}$등급 = 1, 3등급 = 5)과의 상관관계는 $-0.15^{**}$로 같았다. 본 연구에서 한우도체의 등지방두께는 도체등급 요인 및 도체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금후 한우도체의 등지방 감소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nalyses were conducted to estimate the effect of backfat thickness (BFT) on carcass grade factors and carcass price in Hanwoo cows and steers. Data on grade factors and prices were collected from 69,159 Hanwoo carcasses (n = 13,376 cows, n = 55,783 steers) abtained at the Nonghyup Seoul slaughter house in 2009. Carcass BFTs were divided into nine categories from ${\leq}$ 3 mm to ${\qeq}$ 25 mm. The average BFTs were 11.93 mm in cows and 12.57 mm in steers. An increase in the BFT resulted in an increase in carcass weight, loin-eye area, skeletal maturity, fat color, but decreases in the yield index and yield grade (from grade A to C) in cows and steers. Carcass unit price (Won/kg) improved if the carcass was sold with a BFT of 13-15 mm in cows and 10-12 mm in steers. Marbling score and quality grade increased significantly to 21 mm BFT but decreased from a BFT of 22 mm in cows and steers. BF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yield index (cow, r = $-0.97^{**}$; steer, r = $-0.96^{**}$), marbling score (cow, r = $0.20^{**}$; steer, r = $0.14^{**}$), and carcass price (cow, r = $0.03^{**}$; steer, r = $-0.11^{**}$).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a fundamental dataset for further research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Hanwoo carcasses.

      • KCI등재

        사서직의 직업지표 현황 및 전망 인식 분석 연구

        이종문,Lee, Jong-Moo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3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4 No.3

        This study aimed to propose the approach to identify and solve the problems by analyzing the present occupation index of librarians and the future occupation index of librarians after 10 years through the comparison with other jobs. In accordance with the investigation on the LIS students and librarians, the present wage level and the estimated wage level after 10 years were lower than that for other jobs and the employment demand was also lower. Both the students(58.4%) and the librarians(64.2%) considered that the number of full-time employment and the turnover were lower than other job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is paper proposed to change part-time workers into full-time workers for improving the low wage issue of librarians. Second, '1 public library per 50,000 citizen' was suggested to increase the employment of librarians. Finally, it is proposed to cancel the project to contract out the operation of public libraries and BTL implementation. 본 연구는 다른 직업과 비교하여 사서직의 현 단계의 직업지표(상황)와 10년 후의 직업지표(전망)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문헌정보학 전공 학생과 사서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 현재와 10년 후 전망 모두 임금 수준이 타 직업보다 낮고, 일자리수요도 낮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 학생과(58.4%) 사서(64.2%) 모두 과반 이상이 정규고용이 낮다고 생각하고, 직장이동 가능성 또한 낮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분석결과 등을 토대로 첫째 사서직의 저임금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비정규직을 정규직화 할 것, 둘째 사서직의 취업진로 확대를 위해 인구 5만 명당 공공도서관 1개관 시대를 조기에 열 것, 셋째 공공도서관의 위탁운영 및 BTL 사업화를 철회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