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新羅) 진골(眞骨)의 `가계(家系) 분지화(分枝化)`에 대한 재검토-사위의 왕위계승권을 중심으로-

        이재환 ( Lee Jaehwan ) 대구사학회 2017 대구사학 Vol.127 No.-

        지금까지 신라 중대 이후 진골이 단일한 父系 친족집단에서 여러 개의 家系 및 小家系로 분지화해 나갔고, 하대에 들어서면 이렇게 형성된 小家系들의 대표자들이 왕위를 두고 서로 경쟁하였다고 보는 견해가 널리 받아들여져 왔다. 그런데 중대 말·하대 초에 왕위를 둘러싼 대립이 첨예화되어 무력 분쟁에 이른 것은 사실이지만, 그 과정에서 특정 조상을 공유하는 家系가 세력 단위로 표방된 사례는 확인되지 않는다. 왕위 계승에서 나타나는 신라의 특수성은 家系의 분지화가 아니라 사위(女壻)를 통한 왕통의 전달을 인정하는 데 있었다. 사위의 왕위계승권은 상고기의 왕위 계승에 관한 전승에서 나타나며, 이후 憲安王의 사위로서 즉위한 景文王처럼 사위의 자격으로 왕위를 이어받았던 사례들이 보인다. 神德王이나 경순왕 또한 憲康王의 사위와 외손이라는 관계가 왕위 계승의 근거가 되었음을 五廟 배향자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분지화한 家系가 왕위를 차지하기 위하여 충돌한 대표적인 사례로 여겨져 왔던 興德王 사후의 왕위계승 분쟁 또한 계승권자인 忠恭의 아들과 사위들이 왕위를 놓고 충돌한 것으로서, 소가계 분지화의 사례로는 보기 어렵다. 결국 신라 중·하대에 확인되는 왕위를 둘러싼 분쟁의 사례들은 `왕권`과 그 반대편의 `귀족` 간에 벌어진 정치적 주도권 다툼이 아니라 왕위에 접근할 자격을 갖춘 이들 사이에서 왕위의 획득을 두고 벌어진 것이었다. 무열왕대 이후 신라에서는 `왕족`과 그 외의 진골 간의 명확한 구분을 설정하기 어렵게 되었다고도 할 수 있다.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true-bone` status has branched from a single patrilineal group to several lineages and the leaders of the lineages fought each other for the throne in the late age(下代) of Silla. However, during the armed conflicts around the throne from the end of the middle age(中代) to the early of the late age(下代), there was no case that a group sharing a particular ancestor was designated as a unit of power. The peculiarity of Silla in the succession of the throne was not the branching of lineages but that the king`s son-in-law could succeed the throne too. The right of succession of son-in-law is shown in the story about succession to the throne at the ealry-late period(上古期), and there are also actual cases like the King Kyeongmun(景文王) who was the son-in-law of the King Heonan(憲安王).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list of the ancestors enshrined in the royal ancestral shrine(五廟) that the king Shindeok(神德王) and the king Kyeongsun(敬順王) could succeed the throne as son-in-law and daughter`s son of former king Heongang(憲康王). Wars of succession after the death of the king Heungdeok(興德王), which were regarded as representative examples of collisions between branched lineages, were also battles between sons and son-in-laws of Chunggong(忠恭) who was the rightful successor. Thus, the cases of the dispute over the throne in the middle and the late Silla were not the struggles between the `kingship` and the `nobles`, but the conflicts among those who deserve access to the throne. By the time King Muyeoul(太宗武烈王) was crowned, it became difficult to establish a clear distinction between `royal family` and the other `true-bone` status. (Seoul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Korean History, manson97@snu.ac.kr)

      • KCI등재

        가사의 감정 분석과 구조 분석을 이용한 노래 간 유사도 측정

        이재환(Jaehwan Lee),임혜원(Hyewon Lim),김형주(Hyoung-Joo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6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2 No.10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의 대중화로 음악의 소유 없이 언제든 원하는 듣고 싶은 노래를 들을 수 있게 되었다. 넓어진 선택권은 역설적으로 노래를 선택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이러한 선택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음악 추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판도라와 Last.fm과 같은 상용 서비스뿐 아니라 음악 정보 검색 분야의 연구자들도 다양한 추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내용 기반 필터링과 협업 필터링 방식이 주류인 기존의 추천 시스템은 음악 감상의 주요 요인인 맥락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을 선택하는 맥락 중 주요한 요인인 감정을 이용한 노래간 유사도 측정 방법을 제안하여 새로운 추천 시스템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한다. 노래의 감정 추출에 가사를 이용하였고 가사에서 노래의 구조도 추출해 노래의 의미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모델이 기존의 추천 시스템에 비해 작은 계산 복잡성으로 기존 모델과 유사한 성능을 보일 수 있음을 보였다. People can listen to almost every type of music by music streaming services without possessing music. Ironically it is difficult to choose what to listen to. A music recommendation system helps people in making a choice. However, existing recommendation systems have high computation complexity and do not consider context information. Emo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text information of music. Lyrics can be easily computed with various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and can even be used to extract emotion of music from itself. We suggest a music-level similarity evaluation method using emotion and structure. Our result shows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semantic information when we evaluate similarity of music.

      • KCI등재

        신라의 회의제와 상대등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

        이재환 ( Jaehwan Lee ) 대구사학회 2018 대구사학 Vol.131 No.-

        신라 정치사의 흐름을 ‘(전제)왕권’과 진골 ‘귀족’의 대립이라는 도식을 통해서 설명하고자 했던 흐름 속에서 기존에는 신라사의 다양한 요소들을 이분법적 대립항의 어느 한 편으로 위치지웠다. ‘왕권’을 뒷받침하는 ‘관료제’의 반대편에 놓여 있다고 간주되었던 것으로는 ‘귀족회의’를 들 수 있다. ‘귀족회의’를 주재하였던 ‘귀족’ 세력의 대표자가 곧 상대등이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대등은 왕에 의해 임명되는 하나의 관직으로서, ‘귀족’ 내부의 서열에 따라 ‘귀족회의’에서 선출되어 ‘왕권’을 견제 혹은 위협하기도 하였다고 보기에는 근거가 부족하다. 나아가 ‘귀족’의 이익을 대변하는 ‘귀족회의’의 존재를 암시하거나, 상대등이 이러한 ‘귀족회의’의 의장이었음을 명시적으로 보여주는 자료 또한 확인되지 않는다. 신라의 정치 운영 중에 다양한 회의제가 존재했음은 분명하지만, 이것을 ‘귀족회의’라고 부르며 신라 정치의 독특한 양상으로 파악하기는 어렵다. 일정 규모 이상의 조직에서 회의는 필수적인 것이며, 회의체가 있었다고 해서 ‘왕권’을 견제하거나 위협하였다고 단정지을 수 없기 때문이다. 애초에 상대등이나 집사성 시중(중시) 등 특정 관직이나 관부가 각각 ‘왕권’ 혹은 ‘귀족’ 편을 대표하며 ‘反王’·‘親王’의 속성을 가졌을 것이라는 가정 자체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Silla’s political history through the conflict between ‘the kingship’ and ‘aristocrat’, the various elements of Silla politics have traditionally been located on either side of the dichotomous opposition. Councils of nobles were considered to be on the other side of the bueraucracy which supported ‘the kingship’. It has been generally presumed that 上大等(sangdaedeung), which was the representative of ‘the aristocrats’, presided over the counclis of nobles. However 上大等 was a public officer appointed by the king. It is not enough to assume that 上大等 was elected by the councils of nobles according to the order among the aristocrats or that it suppressed or threatened the ‘kingship’ as one of the representatives of branched lineages. Futhermore, there is no evidence to suggest that there were councils of nobles which represent the interests of the aristocrats or that 上大等 was the chairman of those councils. It is obvious that various councils would have existed in Silla, but it is difficult to name them ‘the councils of nobles’ and to identify them as a unique aspect of Silla Politics. Councils are indispensable for the operation of organizations of a certain size or more. It cannot be concluded that the existence of councils itself was a threat to the kingship.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assumption that the specific officer or department such as 上大等 or 執事省 侍中(中侍) would represented the kingship or the aristocrats respectively and would have the characteristics of ‘royalism’ or ‘anti-royails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엘리베이터 조작패널 레이아웃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안 : 장애인용 엘리베이터 조작패널을 중심으로

        이재환 (Lee Jaehwan ),홍혜림 (Hong Hyerim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2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엘리베이터의 경우 다양한 연령층과 신체적 특성 성별의 구분 없이 원하는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이에 다양한 사람들의 환경에 따른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표준화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히 사람과 화물을 운반하는 기능만을 중시하는 엘리베이터가 아닌 공공기기의 한 부분으로서 엘리베이터 조작패널의 개선과 사용자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디자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엘리베이터 회사들 중 4개 회사를 선정하여 회사 별 엘리베이터 조작패널 레이아웃 표준안들의 특징을 조사하고 공통적인 인터페이스의 제공을 위하여 시각적 안전성 평가기법인 What-If 기법에 시각적 디자인요소를 구성하여 설문을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조사와 실험은 시각적으로 빠르게 인지되는 순서에 따라 조작패널 레이아웃의 재정립과 디자인 세부 지침에 따른 계획을 통한 가이드라인에 제시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본 논문의 결과는 향후 엘리베이터 조작패널 레이아웃의 설계 시 기초 자료로 제공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n elevator unspecified majority use need an interface that let people can go to their destination no matter what users age group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genders are. Therefore a standardized elevator control panel design that can satisfy various people's demands is strongly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not only providing a control panel design that simply focused on transporting people and objects but also providing a safer and more convenient elevator control panel design as a public instrument. To provide a common interface we analysis of the survey using a What-If method which is a stability evaluation method based on visual design elements. Such research and experiments in order to visualize the manipulation panel layout is quickly reestablishing of the plan and design through detailed instructions that will provide guideline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is paper can be applied to provide a basic data when designers need to design an elevator control panel layout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