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ocial Quality as a Measure for Social Progress

        이재열,장덕진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1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40 No.2

        There is a growing recognition that GDP might not properly measure the real progress of a society. Although it is still a very useful measure, it was not designed to capture the social aspect of development. Accordingly, multiple attempts are being made to come up with a supplementary, or alternative, measure of social progress. As one such attempt, we focus on the concept and accompanying indicators of social quality originally devised by European scholars. Although social quality is a solid theoretical construct, we find that there are ambiguities when it comes to empirical application to the real world data. Analyses of data across 34 mostly OECD countries reveal that a odified concept and accompanying indicators better survive the reality check, but still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concept of social quality. Using this modified set of indicators, we show the relative performance of these countries and suggest that there are three different types of social quality regime.

      • KCI등재

        지역산업 경로창출의 장소의존성: 태양광산업 선도기업의 충청북도 솔라밸리 입지 과정을 중심으로

        이재열,장근용 한국지리학회 2020 한국지리학회지 Vol.9 No.1

        충청북도는 지난 10여 년 동안 솔라밸리라는 명칭의 우리나라 최대의 태양광 셀 및 모듈 생산 지역으로 거듭났다. 이러한 새로운 지역산업 ‘경로창출’에서 현대에너지솔루션, 신성이엔지, 한화솔루션을 비롯한 태양광산업 선도기업의 입지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를 배경으로 태양광산업 선도기업의 솔라밸리 입지 과정에 주목하며 지역산업 경로창출의 장소의존적 성격을 살폈다. 경로창출에 대한 개념적 논의에서는 역사적 ‘우연성’과 지리적 ‘임의성’에만 주목했던 지리경제학과 캘리포니아학파의 관점에 문제를 제기하며, 경제지리사(地理史)와 지역 주체들의 전략적 행위에 주목하여 ‘장소의존성’을 강조하고 인과적 설명을 추구하는 진화경제지리학의 관점을 수용했다. 충북 지역에서 분공장경제 발전 궤적의 지리사와 최근의 정책적 프로그램과 전략이 선도기업 유치와 솔라밸리 형성의 중추적 원동력으로 파악됐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기술과 함께 본 논문에서는 이런 형식의 ‘기업가적’ 지역산업 정책의 잠재적 문제점과 함의에 대한 토론도 제시한다. The Province of Chungbuk has risen to the largest photovoltaic industry region, which is called Solar Valley and specialized in solar cells and modules, in South Korea for a decade now. Crucial to the path creation of a new regional industry is attracting and locating industry lead firms including Hyundai Energy Solution, Shinsung E&G, and Hanwha Solu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examines the place-dependent nature of the new regional path creation in Chungbuk from an evolutionary economic geography perspective focused on such place-dependent processes as economic geohistories and purposeful strategic actions in the region, critiquing geographical economics and California School approaches centered on historical ‘accident’ and geographical ‘randomness’ in their explication of regional path creation.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how the geohistorical trajectory of branch plant economy and the unfolding of proactive policy strategies condition and contextualize the formation of Solar Valley. Coupled with detailed explications on the issues, this paper also offers a discussion of potential problems rising from such an ‘entrepreneurial’ mode of regional policy-making, as well as a reflection on the study’s policy implication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한국적 경영특성에 관한 연구: ICT기업의 조직문화 및 경영관리방식을 중심으로

        이재열,박인선 한독경상학회 2019 經商論叢 Vol.37 No.3

        In a time of transition in economic paradigm driven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 source of wealth has been replacing with a human resource from land and capital. The producing process and facility of companies has been changing into the automated, optimized and networked one. Not only the structure of market but consumer’s daily life has been changing steadily and rapidly. The world is transforming into the sharing, subscription, and platform economy, and this age will give the business opportunities and threats in the same time. The Korean firms are able to lead the world market if they tap into this opportunities. After the early research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ealt with the core of the revolution, developed cases and the efficient way to adopt it to the different area of industry, the recent research analyses the enterprise respond frame and the priority of that respond sorted by the size of firms. Since, however, firms face different kind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management style in the country they belong to, we are going to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by diagnosing whether these characteristics of korean management are appropriate or need to be changed for adaption and innov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research, we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anagement based on a study Theory Z, and analyse these comparatively with the cases of leading ICTfirms. In conclusion, not only the manager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firms are not able to reflect the changes which are the changing perceptions of people, improvements in living and educational standards, but are inadequate to motivate the employees who is the source of wealth and the main agent of innovation to sustainable growth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raw employees’ devotion to the firm, stimulate their autonomy and creativity for supporting comprehensive interest and care for all parties, long-term employment policy, career plans based on specialities, a fair assessment·promotion system based on ability and performance, autonomy rather than regulations. Moreover, Korean firms need to approach a long-term view such as increasing market share, delegate authority to lower management, and change the way of decision making decentralized from Top-down.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경제패러다임이 빠르게 변화되고 있는 가운데, 부의 원천이 토지와 자본에서 인간(정신적·지적 능력)으로 교체되고 있으며, 기업의 모든 생산과정·생산기지들이 자동화·최적화 및 네트워크화 되고, 시장도 생산자와 소비자 개개인과 직거래 위주로 재편되고 있을 뿐 아니라 소비생활도 소유에서 공유의 개념으로 바뀌면서 공유경제, 구독경제, 그리고 플랫폼경제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변혁은 기업에게 새로운 위협이자 기회인 바 한국기업이 위협을 극복하면서 이번 기회를 잘 활용하면, 새로운 퍼스트 무버(First Mover)로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 관련 연구는 초기에는 변화의 본질, 선진 사례, 산업 영역별 효과적인 도입방안을 제시한데 이어, 최근에는 기업 차원에서 전사적 대응프레임, 기업규모별 대응 우선순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이 속한 나라마다 각기 다른 조직문화 및 경영관리방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한국적 경영특성이 4차 산업혁명시대의 환경변화에 적응하고 혁신하는데 적절한지를 진단하고 바람직한 변화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Ouchi의 Theory Z 모형을 이용하여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적 경영특성을 7가지 기준, 즉 경영목표, 의사결정, 고용기간, 평가·승진, 경력계획, 통제방식, 종업원에 대한 관심에 따라 규정하고, 그 특성을 미국 첨단 ICT기업의 사례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기업의 경영특성은 구성원의 의식구조 변화, 생활·교육수준의 향상 등 변화상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할 뿐 아니라, 4차 산업혁명시대에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부의 원천이자 혁신의 주체인 종업원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이끌어 내기에 미흡하다고 판단되는 바, 경영목표를 단기수익보다는 시장점유율 확대 등 장기 관점에서 접근하면서 의사결정방식을 중앙집권식 Top-down 방식에서 분권화 및 권한을 하위계층으로 대폭 위임하고 통제보다는 자율(종업원 스스로 통제), 능력과 성과에 따른 공정한 평가·승진제도, 장기고용 정책, 전문성 기반의 경력계획, 모든 구성원에 대한 포괄적 관심 및 지원 등 경영방식을 혁신해야 한다.

      • KCI등재

        뉴 노멀 시대에 주력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한 전략적 위치에 대한 연구 : 스마트폰 사례를 중심으로

        이재열,강민수,정용규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6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6 No.3

        한국 기업은 그동안 미국·일본·EU 등 선진국 기업들을 벤치마킹하면서 양적 성장 전략을 추구하여 세계시장에서 놀랄만한 성공을 거두었으나, 최근 세계경제가 저성장의 뉴 노멀(New Noraml)시대로 접어든 데다 중국 ·인도 등 신흥국들의 경쟁압력도 더욱 거세짐에 따라 세계시장에서 입지가 좁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기업이 앞으로 세계시장에서 후발 추격자를 따돌리고 경쟁우위를 확보, 유지하기 위해서 어떤 전략적 선택을 해야 할지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미국·중국이 세계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스마트폰 산업을 대상으로 Porter의 다이아몬드 모델(Diamond Model)과 생산성 곡선(Productivity Frontier)이라는 분석의 틀을 사용하여, 선도자인 애플, 추격자인 삼성전자, 새로운 후발 추격자인 중국 기업의 경쟁력을 비교 분석하여 향후 스마트폰을 비롯한 주력 산업별 기업들이 세계시장에서 취해야 하는 전략적 포지셔닝을 제시하였다. For several decades, Korean corporations have achieved remarkable success in the world market pursuing a quantitative growing strategy by benchmarking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European Union. Recently, however, since not only the world economy enters into low growth age of New Normal, but the continuously increasing pressure of emerging countries like China and India, the global position of Korean corporations has ruffled. For these reason, the purpose of the study based on searching the strategy for Korean corporations to promote sustainable growth while gaining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world market. The study uses two analytical tools, Porter’s Diamond Model and Productivity Frontier by analyzing the smart phone industry where Korea,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re competing desperately. The study is aimed at analyzing and comparing the global competitiveness among Apple as a leader, Samsung Electronics as a follower and Chinese corporations as newcomers in the smart phone industry. Based on the analysis and comparison, the study focuses on searching the strategic decision of Samsung Electronics, and suggests the future strategic positioning of major corporations in different industries in the world market.

      • 청동기시대 묘제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재열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10 고고학지 Vol.16 No.-

        청동기시대의 사회와 문화 복원을 위한 중요 연구 분야의 하나인 묘제는 당시 사람들의 사회적 관습과 규범에 민감하며, 보수성이 강하면서 매우 제약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그러나 전체 분포 수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지 않은 발굴조사와 주거지 등에 비해 제한적으로 검출되는 출토 유물로 인하여 각 무덤들의 시기차 또는 동시기성의 파악이 매우 까다롭다. 그래서 묘제를 통한 자체적인 편년 및 지역적 다양성 등에 대한 연구에는 많은 한계가 내재되어 있다. 또한, 청동기시대의 묘제 연구와 관련하여 새로운 연구 국면을 이끌어내려는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는 있지만, 후속 연구에 의하여 완결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기존의 연구 성과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지금까지의 처방적 진단과는 경향을 달리하는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지석묘를 중심으로 한 연구에 있어 무덤의 유형분류나 형식 설정이 매우 복잡하여 각 묘제별 변화·발전상을 반영할 수 있는 순서배열법에 입각한 상대편년 연구가 더 이상 진전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다양하고 복잡한 형식을 보다 단순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하였으며, 나아가 단순화된 형식을 기본형(모델적 형태)으로 전제한 이후 다양하게 나타나는 형태들을 변화·발전의 시간적·지역적 양상에 대입해 보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군집 및 연접묘에서 개개의 단위 유구별 선후관계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검토를 점차 주변지역으로 넓혀간다면 이 역시 변화·발전의 양상 또는 경향성을 이해할 수 있는 좋은 방안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이로써 지석묘를 중심으로 도출되고 있는 묘제 연구와 관련한 각 무덤 유형의 계통성, 석검과 관련된 묘제의 편년 및 상한문제, 석검·동검 등의 부장품과 무덤 형태의 변화에 의한 계층화 현상이나 지배자의 등장과 같은 상징성 이해 등 현재의 연구경향과 함께 보다 새로운 연구 방안 또는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An Ethnographic Examination of Urban Cultivation Practices in Seoul - An Emerging ‘Different Economy’

        이재열 서울연구원 2016 서울도시연구 Vol.17 No.1

        This article examines urban agriculture(UA) practices in Seoul from a ‘relational’ economic geography view, which is concerned with variegated economic practices. This article's analysis is particularly built on the ‘different economies’ perspective, which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non-capitalist economic practices such as UA. For the research, ethnographic data including participant observation record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llected at Nodeul Urban Agriculture Park in Seoul from March to September in 2014.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urban agriculture practices, and this article presents three important findings. First, cultivation practices are found to generate a virtuous cycle of ‘affective agricultural production’ and ‘emotional accomplishments’, which include curiosity, affectionate feeling, eager for recognition, and community spirit. Second, the virtuous cycle is also productive of and associational with ‘practical achievements’(appreciative capacity and self-sufficiency) and ‘socially conscious consumption practices’(consumption changes and sharing). Third, emerging ethics including rural concerns and changing attitude towards urban development are also observed to interact with the production-emotion virtuous cycle. In essence, urban agriculture involves both individual and social accomplishments. These findings reaffirm the importance of production in urban agriculture policy, and also call for a more detailed 'qualitative' research about urban cultivation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