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압력카트리지를 이용한 볼타입 볼트 분리현상 연구

        이응조(Yeung Jo Lee),구송회(Song Hae Koo),장홍빈(Hong Bin Jang) 한국추진공학회 2008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11

        현재의 많은 유도무기들은 발사관에 장착되어 보관 및 이동되다가 필요시 발사된다. 발사관이란 유도탄 즉 미사일등이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유도탄을 둘러싸고 있는 일종의 케이스이며 또한 유도탄 발사시 가이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유도탄과 발사관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탄고정장치를 사용하는데 대표적인 파이로 부품이 폭발볼트이다. 폭발볼트는 화약의 폭발력에 의해 볼트몸체가 절개됨으로써 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있던 부분이 분리된다. 하지만 기존의 폭발볼트는 분리시 파편, 화염 및 pyro-shock이라는 악작용을 수반하므로 사용상 제한을 가지고 있다 .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압력카트리지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분리력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리장치 즉 볼타입 볼트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볼타입볼트의 분리현상을 분석하여 분리볼트의 분리성능 안전율을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다. Most of the guided weapons have been kept and transferred at the launching tube and fired in case of necessity in these day. Launching tube is a kind of case to protect the guided weapons from external environments and conducted as a guide when they are fired. When we attached the guided weapons to launching tube we usually has used explosive bolt. Explosive bolts have been used explosives when they had to be separated. But when they are separated there are some bad effects; a flame, fragments and pyro-shock. Because of these bad effects there are many restriction to use bolt as joining devices to precision guided weapons. To solve these problems, it has been invented ball type bolt. The present work was represented quantitively the margin of separation safty and separation mechanism in ball type bolt to analyse the dynamic separation test. Unlike explosive bolt, ball type bolt is separated without a flame, fragments and pyro-shock. And it also has a good mechanical properties as much as those of explosive bolt.

      • Ball Type 분리볼트 개발

        이응조(Yeung Jo Lee) 한국추진공학회 2008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5

        현재의 많은 유도무기들은 발사관에 장착되어 보관 및 이동되다가 필요시 발사된다. 발사관이란 유도탄 즉 미사일등이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유도탄을 둘러싸고 있는 일종의 케이스이며 또한 유도탄 발사시 가이드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유도탄과 발사관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탄고정장치를 사용하는데 대표적인 파이로 부품이 폭발볼트이다. 폭발볼트는 화약의 폭발력에 의해 볼트몸체가 이등분됨으로써 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있던 부분이 분리된다. 하지만 기존의 폭발볼트는 분리시 파편, 화염 및 pyro-shock이라는 악작용을 수반하므로 사용상 제한을 가지고 있다 .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ball을 이용한 결합 분리장치 즉 ball type 분리볼트를 개발하게 되었다. 기존의 폭발볼트가 가졌던 기계적 우수성은 물론 분리시 파편, 화염 및 pyro-shock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Most of the guided weapons have been kept and transferred at the launching tube and fired in case of necessity in these day. Launching tube is a kind of case to protect the guided weapons from external environments and conducted as a guide when they are fired. When we attached the guided weapons to launching tube we usually has used explosive bolt. Explosive bolts have been used explosives when they had to be separated. But when they are separated there are some bad effects; a flame, fragments and pyro-shock. Because of these bad effects there are many restriction to use bolt as joining devices to precision guided weapons. To solve these problems we invented ball type bolt. Unlike explosive bolt, ball type bolt is separated without a flame, fragments and pyro-shock. And it also has a good mechanical properties as much as those of explosive bolt.

      • KCI등재
      • KCI등재

        볼타입 분리볼트의 분리현상 연구

        이응조(Yeung Jo Lee),구송회(Song Hoe Koo),장홍빈(Hong Bin Jang),이방업(Bang Eop Lee) 한국추진공학회 2011 한국추진공학회지 Vol.15 No.2

        Launching tube is a kind of case to protect the guided weapons from external environments and conducted as a guide when they are fired. The guided weapons have been firmly kept at the launching tube and transferred, and would be separated at the required time when they are fired To meet the aim, it has been used explosive bolts which are reliable and efficient mechanical fastening devices having the special feature of a built-in release. The disadvantage of explosive bolt lies in that it is based on the high explosive effect of a pyrotechnic charge. When the explosive bolt is ignited, there are some bad effects; a flame, fragments and pyro-shock. Because of these bad effects there are many restriction to use bolt as joining devices to precision guided weapon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aim of the present work is to invent the ball-type separation bolt which is a pyrotechnically releasable mechanical linking device for two mechanical elements that does not suffer from such drawbacks. A standard pressure cartridge can moreover be easily integrated inside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work and this with no modification to its structure. The present work was represented quantitatively the margin of separation safety and analysed separation mechanism in ball type separating bolt to perform the dynamic separation test.

      • 파이로테크닉스를 이용한 분리 장치의 종류 및 특성

        김동진(Dong Jin Kim),이응조(Yeung Jo Lee),김남춘(Nam Chun Kim) 한국항공우주학회 2016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6 No.4

        파이로테크닉스는 화약 에너지를 이용하여 설계된 임무를 수행하는 제품이다. 파이로테크닉스를 이용한 분리장치는 크게 화약의 폭발에너지를 이용하여 구성품 일부가 파괴되면서 분리되는 것과 화약 연소시 발생된 압력을 이용하여 구성품의 슬라이딩을 유발시켜 분리가 일어나는 것이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분리장치의 작동원리, 분리특성 및 적용분야에 대해 기술하고, 설계, 해석, 검증 과정등 분리장치의 개발 프로시져를 제시함으로써, 파이로테크닉스를 이용한 분리장치 적용시 설계자가 각각의 제품에 대해 정확한 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분리장치 개발시 제시된 프로시져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Pyrotechnics are products that perform their designed missions using exploding energy. Pyrotechnics can be categorized with two groups. One group of them, it use exploding energy on destroying its body to be separated. The other group use pressure that is generated by explosives combustion, to slide some moving parts in their body. In this paper, to help accurate use of separation devices using pyrotechnics, I present the operating principle, the separation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using pyrotechnics. I also explain the methods of design, analysis, verification on separation devices.

      • 가스발생기용 노즐마개 파열압력 저감화에 따른 점화특성

        차홍석(Hong-Seok Cha),오석진(Seok-Jin Oh),박재범(Jae-Beom Park),이응조(Yeung-Jo Lee) 한국추진공학회 2010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

        본 논문에는 가스발생기를 사용한 사출시스템의 성능향상 즉 최대가속도를 줄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노즐마개의 파열압 저감에 대한 내용이 기술되어있다. 여러가지의 노즐마개를 제작하여 공압시험으로 파열압을 측정하여 노치의 형상과 파열압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파열압을 저감시킨 노즐 마개를 적용하여 가스발생기를 제작, 시험한 결과 기준모델과 비교시 최대가속도를 저감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n achieving method of reducing maximum acceleration for the missile by decrease of burst pressure in a nozzle closure. The relation of notch shape and burst pressure for a nozzle closure is examined by experiment. In the point of maximum acceleration reduction for a missile, an improved nozzle closure effects well compared with that of a reference closure by ground burning test of a gas generator.

      • 가스발생기의 점화 초기압력 저감화 연구

        차홍석(Hong-Seok Cha),오석진(Seok-Jin Oh),이응조(Yeung-Jo Lee) 한국추진공학회 2010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5

        유도탄 사출장치에 적용되는 가스발생기의 점화 초기압력 저감화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점화 장치는 추진제의 점화를 위한 에너지 방출장치로서 다발 형태의 3열형 추진제 그레인을 연소 불안정 없이 동시 점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점화성이 좋지 않은 복기형 추진제를 적용하여야 하는 가스 발생기의 경우 사출속도와 가속도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추진제의 신속한 점화와 점화초기의 연소 압력 저감화가 필수적이다. MTV 점화제의 연소 특성을 활용한 점화기 설계를 통하여 모든 개발 요구성능을 만족할 수 있었다. A study to reduce the ignition peak pressure of gas generator for the missile launching system was accomplished. The igniter, as the energy release device for igniting the propellant, is aimed at simultaneous ignition of bundled 3-layered propellant grain without unstable burning. In case of our gas generator which must use the double-base propellant with low ignition property, the fast ignition of propellant and reduction of initial peak pressure should be required for the satisfaction of ejection velocity and acceleration condition. By applying MTV ignition charge for the igniter of gas generator, we accomplished all system performance requir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