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계적인 힌팅 인터페이스 설계 방법의 연구

        이은아,윤완철,박완수,Lee, Eun-A,Yun, Wan-Cheol,Park, Wan-Su 대한인간공학회 2006 大韓人間工學會誌 Vol.25 No.2

        Most users learn new, complex systems through trial-and-error experience rather than referring to the manuals in a cognitive process that is called 'exploratory learning'. While exploring a system, people find prototypical rules for using the system based especially on frequent tasks. The rules are formed from consistent task procedures and well-expected interface elements on the designed system. These rules play the role of the basis of users' knowledge for performing tasks. The decision making to select and apply those rules interacting with an interface can be aided by properly provided hints on the interface. With appropriate hints, users can learn new systems easily and use them with reduced usability problems. This paper first reports an observation of user behavior performing tasks with prototypical interaction rules and finds a sound set of criteria to extract prototypical interaction rules systematically. Two types of hints are defined. Extending hints prompt users to apply prototypical interaction rules beyond well-known tasks. Preventive hints guide users out of possible capture errors by drawing attention to the variation of rules. A systematic and practical method is proposed to identify the opportunities for both types in designing interfaces. It is then verified through a usability test that the proposed method is effective in identifying the locations and types of appropriate hints to reduce or mitigate usability problems.

      • KCI등재

        예비 놀이치료자의 치료 태도에 대한 인식 변화와 아동중심 놀이치료를 통한 치료 진보 및 성과

        이은아김 ( Lee Eunah Kim ),오경미 ( Oh Kyung Mi ),류승민 ( Ryu Seung Min ),박현아 ( Park Hyun Ah ),유미숙 ( Yoo Mee Sook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7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예비 놀이치료자들이 인식한 치료 태도(일치성, 공감, 무조건성, 존중)의 변화가 어떠한가를 알아보고, 치료 태도의 변화와 내담아동의 진보 및 놀이치료 성과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놀이치료 실습 과목을 수강한 두 명의 석사 과정생과 그 내담아동들을 선정하여 단일 사례 연구로 진행하였다. 치료 태도의 인식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치료자는 매 회기 후 Barrett-Lennard Relationship Inventory: Form MO-40(BLRI: MO-40)를 작성하였다. 아동중심 놀이치료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3회에 걸쳐 내담아동의 모에게 CBCL 6-18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시각적 분석, 선형회귀분석, 질적 분석을 하였다. 치료자들은 큰 폭의 변동성을 보이면서, 일치성, 공감, 무조건성의 수준과 경향성이 증가하였다고 인식하였다. 내담아동들은 놀이행동에서 진보를 나타내었고, 주호소 문제와 CBCL 6-18의 수치가 감소되었다. 본 연구는 초심학생단계에 속하는 예비 놀이치료자의 일치성, 공감, 무조건성, 존중이라는 치료 태도의 인식 변화 과정과 내담아동의 치료적 진보 과정을 치료 성과와 연관하여 이해하고자 한 탐색적인 연구라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perceptions of therapeutic attitudes (congruence, empathy, unconditionality, and regard) of play therapists-in-training. Additionally, therapeutic progress and outcomes of child clients in relation to such perceptional changes of therapeutic attitudes were analyzed. A single case design was utilized, and two therapist-child dyads were recruited. Perceptional changes of therapeutic attitudes was assessed with the Barrett-Lennard Relationship Inventory: Form MO-40 by therapists. The effectiveness of child-centered play therapy was assessed using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Ages 6-18 by parents. Data was analyzed through visual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Over the first play therapy practicum during a graduate course, both play therapists-in-training perceived that the level and trend of congruence, empathy, and unconditionality increased, while the variability of those conditions fluctuated. Clients exhibited progress and showed a reduction in clinical levels of presenting problems. These findings suggest a number of implications to help promo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lay therapists-in-training.

      • KCI등재

        초등학교 파견 놀이치료자의 경험에 대한 연구: 초등학교-대학교 지역사회 전문자원 연계 상담프로그램

        이은아김 ( Lee Eunah Kim ),한희영 ( Han Hee Young ),서인숙 ( Seo In Sook ),유미숙 ( Yoo Me Sook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7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파견된 놀이치료자의 경험을 탐색하고, 그 의미과정을 밝히는 이론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자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접을 실시하였고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90개의 개념과 25개의 하위범주, 1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 모형의 중심현상은 `초등학교 파견 놀이치료자의 고군분투`와 `다양한 관계를 맺으며 협력하는 과정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파견 놀이치료자들의 경험의 과정은 (1)학교기반 놀이치료에 대한 혼란을 경험하는 단계, (2) 수퍼비전과 동료자문을 통해 장애물을 극복해 나가는 단계, (3) 아동과 깊이 있는 관계를 경험하며 치료관계의 의미를 체득하는 단계, (4) 지식, 기술, 개인적 경험을 통합해 가는 단계, (5) 학교기반 놀이치료 경험의 의미를 발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파견 놀이치료자들의 경험을 처음으로 분석하고 그 경험에 대한 의미과정 이론을 구축하려는 시도를 한 탐색적인 연구라는 것과 학교현장에 아동의 발달적 필요에 부응하는 놀이치료를 연계하여 그 치료적 의미를 확인하였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heory explaining the experience of play therapists who were sent to an elementary school as a part of community professional resource connection. 8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analyzed based on grounded theory, yielding 90 concepts, 25 sub-categories, 11 categories of major themes. The phenomena were identified as `struggles as play therapists who were sent to a school setting` and `distress in building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the many significant others of the client.` The process of the play therapists` experience included the following: (1) Experiencing confusion in school-based play therapy, (2) Overcoming challenges through supervision and peer consultation, (3) Experiencing a deep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the personal meaning of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4) Moving a step forward through the process of integrating knowledge, skills, and personal experience, and (5) Discovering the meaning of school-based play therapy. These findings suggest a number of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and school personnel to promote the further development of school-based play therapy in an effort to support community children and their families

      • KCI등재후보

        Edutainment식 한자 학습 시스템의 구현 및 성능 평가 - 크론박 알파와 분산분석을 이용한 성능평가 -

        이은아,김태석,Lee Eun-Ah,Kim Tai-Suk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5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14 No.4

        In this paper, the system is implemented in four ways , For those who want to learn Chinese characters using the internet, and To make the learning more interesting and entertaining. Four different learning methods have been provided , using the transition process of Chinese characters, games, animations, and an illustr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nese Characters and korean letters. The subjects of the evaluation were freshmen polled about the Chinese character learning system. The evaluation methods are :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content is evaluated using the Cronbach's coefficient alpha and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is evaluated by F-type of Analysis of variance.

      • KCI등재

        애착외상을 경험한 가정위탁 아동에 대한 아동중심 놀이치료 사례연구

        이은아김 ( Eunah Kim Le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6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부모로부터의 학대, 방임, 유기로 애착외상을 경험하고 가정위탁보호로 의뢰된 만 4세남아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아동은 극단적인 공격 행동을 반복함으로 타인과의 관계에 어려움을 초래하였고, 신체 및 정서적 학대에 대한 기억과 두려움을 호소하였으며, 수면 및 배변문제 등의 어려움으로 내원하였다. 이를 위하여 치료적 관계가 변화를 위한 중추적인 치료적 요소라고 보는 아동중심 놀이치료를 치료적 접근으로 중재하였고, 부모상담을 통해 위탁모에 대한 심리·교육적지원을 병행함으로 위탁모와 아동간의 건강한 애착관계 경험을 조력하고자 하였다. 본 사례는 놀이치료 총 43회기, 부모상담 총 15회기, 그리고 두 달 후의 추수회기 1회기로 진행되었다. 치료과정을 통하여 주호소 문제들의 증상 소멸 및 감소가 나타났고, 외상으로 인해 균형을 잃었던 발달이 좀 더 안정적으로 복귀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아동중심 놀이치료 중재를 기반으로 심리적 회복을 찾아가는 아동의 역동적인 놀이치료 진보과정과 놀이주제를 심도 깊게 분석하고 개념화함으로서 애착외상을 경험한 가정위탁 아동에 대한 치료적 함의를 제공한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case study sought to provide therapeutic support for a child in foster care suffering from attachment trauma. The client, a 4-year-old boy, was referred to play therapy due to extreme levels of aggressiveness, anxiety, difficulties in sleeping, and refusal to engage in potty training. Child-centered play therapy was employed as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and the foster care mother also received psychoeducational support which focused on building her child rearing skills and helping her create a secure relationship. The treatment plan consisted of 43 play therapy sessions, 15 parent consultation sessions, and 1 follow-up session after two months. The process of play therapy progress and themes were analyzed, and th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19에서 놀이치료자의 경험에 관한 질적분석

        정솜이 ( Jeong Som-yi ),한유진 ( Han You-jin ),이은아김 ( Lee Eun-ah Kim ),이영애 ( Lee Young-ae ) 한국놀이치료학회 2024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7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veal central phenomena regarding the experiences of play therapists in the post-COVID-19 era. For this purpose, one semi-structured interview approximately 100 to 120 minutes in length was conducted with five experienced play therapists from Aug to Oct 2023. Based on the transcripts,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suggested by Giorgi (2004).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finally derived were divided into 5 structures and 23 subcategories. The five themes are ‘Experiencing a crisis’, ‘Struggling’, ‘Having the opportunity for transition’, ‘Recognizing the impact’, and ‘Adapting to the environ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play therapists in the post-COVID-19 era and presents discussion points to prepare for pandemic situations in the play therapy field.

      • 염화지방산을 이용한 lignin의 화학수식 및 특성 평가

        이은아 ( Eun-ah Lee ),박지수 ( Ji-soo Park ),박찬우 ( Chan-woo Park ),한송이 ( Song-yi Han ),권구중 ( Gu-joong Kwon ),김석주 ( Seokju Kim ),이승환 ( Seung-hwan Lee ) 한국목재공학회 2019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2

        크라프트 리그닌에 3종류의 분자길이가 다른 지방산 octanoyl chloride (C<sub>8</sub>), lauroyl chloride (C<sub>12</sub>), palmitoyl chloride (C<sub>16</sub>)를 에스테르화 시켜 리그닌 유도체를 제조하였다. 리그닌의 페닐 및 지방족 수산기는 <sup>31</sup>P NMR으로 수산기를 정량하였고, 지방산 첨가량을 리그닌 수산기에 대한 당량으로 3 조건(0.3, 0.5, 0.7 equivalents vs. total aliphatic and phenolic hydroxyls)으로 하여 반응하였다. 크라프트 리그닌 5g에 tetrahydrofuran, dimethylformamide, pyridine 9.4mmol/g lignin의 양을 첨가하여 N<sub>2</sub> 가스 하에서 30분간 용해시켰다. 세 당량 조건으로 염화지방산을 첨가하고 60℃에서 48시간 반응하였다. 이 반응물에 과량의 물을 첨가하여 24시간 교반하여 재생하였다. 이를 물과 에탄올로 세척 여과하였고 얻어진 고형분을 동결건조하였다. <sup>1</sup>H-NMR을 통해 크라프트 리그닌에의 염화지방산의 grafting을 확인하였다. FT-IR 분석 결과 크라프트 리그닌과 비교하였을 때 리그닌 에스테르의 C-H, C=O기의 함량이 증가하였고 당량이 높을수록 이 함량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GPC 분석 결과 크라프트 리그닌에 지방산의 결합으로 분자량이 커진 것을 알 수 있었고, 당량이 높을수록 분자량이 더 커졌다.

      • KCI등재

        교양교육의 방향과 사회적 상상력

        이은아(Lee, Eun-a)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15 교양학연구 Vol.0 No.2

        This study began from the problem that universities should teach how to survive competition in the society where never-ending competition prevails and self-help discourse are dominant, and colleges specialized in nurturing technical talents should raise individuals with a strong sense of community though educating how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Universities should reflect on the current educational practices that emphasize education of supremacy, and foster sociological imagination to rebuild communities and citizenship. The sociological imagination, which connects individuals to the social structure, enables us to perceive current problems, and generates social fiction that leads us to a new vision for the society we want, contributing to new changes and practices. This study examined 〈Share Leadership〉, a course in general education provided by Ewha Womans University, and explored possibilities of the imagination to support the production of alternative value and knowledge. Courses in general education should play a role in identifying current issues through sociological imagination and examining possible solutions while continuously nurturing the value of each individual as a social being.

      • KCI등재

        캐런 헤스의 『크라신스키 광장의 고양이들』: 어린이 문학에서 홀로코스트 재현하기

        이은아 ( Euna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논문의 목적은 캐런 헤스의 역사동화 『크라신스키 광장의 고양이들』에서 홀로코스트라는 충격적인 주제가 어떻게 재현되는지 살펴보고, 그에 대한 작가적 전략을 고찰하는 것이다. 먼저, 홀로코스트 어린이 문학이 가진 재현의 한계에 대해 살펴본다. 그다음, 어린이들의 심리적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림, 시, 어린이 내레이터, 유머와 위트 등을 사용한 작가적 전략을 분석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홀로코스트라는 끔직한 역사적 사실이 어떻게 어린이들이 읽을 만한 이야기로 바뀔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어린이들에게 서구 역사의 어두운 이면을 인식시키고 올바른 역사관을 가지도록 노력한 헤스의 통찰력을 읽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he horrific theme of the Holocaust is represented in Karen Hesse’s picturebook The Cats in Krasinski Square, and examines the writer’s strategies to achieve this. First, it examines the representational limits of Holocaust literature for children, which has to deal with overwhelming events that children cannot overcome. Next, it analyzes the authorial strategies using pictures, poems, children’s narrators, humor and wit. This analysis can address the question of how the disturbing historical fact of the Holocaust could be framed as a story that children can read. It would also be able to appreciate Hesse’s insights that have made children aware of the dark side of Western history and given them an accurate historical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