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어 학습자의 담화표지 사용 양상과 교육 방안 -모어 화자의 발표와 비교하여-
이윤서 한국어의미학회 2020 한국어 의미학 Vol.67 No.-
This study aims to educate learners of discourse marker to improve their presentation skills. Discourse marker enhances the cohesion and connectivity of the presentation and serves to convey the speaker’s intentions better. To find out about how to educate discourse markers, we first analyzed the usage patterns of discourse markers in the presenta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Native speakers of Korean language. As a result, the Native Speaker used discourse markers the most to connect or deepen the topic However, Korean Language learners used discourse markers the most to fill in the gaps in the conversation. These result show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usage of discourse markers is small in their type and does not have a effective impact on the presentation. To make an improve on this problem and to let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use various discourse markers, this three-step education method of discourse marker was presented. The first step is to dictate the learner’s presentation in order to recognize the deficiency with the usage of the discourse markers. In the second step, the learners will study the meanings of discourse markers and see the example situations used by native speakers. The third step is to revise the discourse markers that used in the presentation of his or her colleague through discussion. For the last, by delivering the revised presentation again, and see the actual use of the discourse markers that have studied. This three-step education method is intended to help Korean Language learners improve their presentation skills by using appropriate discourse markers.
KORUS-AQ 기간 동안 항공기에서 관측한 에어로졸의 연직 분포
이윤서,엄준식,정창훈,이승수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태양복사를 산란, 흡수하거나 구름 응결핵으로서 작용하여 지구 복사 수지를 조절하고 대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에어로졸은 대기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요소이다. 특히 한반도는 중국으로부터 장거리 수송된 에어로졸과 국내의 공장과 발전소 등에서 배출한 에어로졸이 공존하기 때문에 국내 외 배출원에 대한 각각의 에어로졸 특성과 영향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한 지역이다. 그러한 분석의 일환으로서 2016년 5~6월, 국립환경과학원과 미국항공우주국의 주도하에 한-미 대기질 합동 연구(KORUS-AQ)가 진행되었다. KORUS-AQ 기간 동안 지상 관측소, 선박, 항공기, 위성 등을 이용한 다양한 대기질 관측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KORUS-AQ 관측 캠페인 동안 NASA의 DC-8 항공기에서 관측한 에어로졸의 연직 분포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에어로졸 관측 자료는 DC-8에 탑재된 APS(Aerodynamic Particle Sizer), CPSPD(Cloud Particle Spectrometer with Polarized Detection), LAS(Laser Aerosol Spectrometer), SMPS(Scanning Mobility Particle Sizer), HR-ToF-AMS(High Resolution Time-of-Flight Aerosol Mass Spectrometer) 장비를 이용해 관측한 에어로졸의 수 농도 및 크기 분포와 AMS와 teflon filter로 관측한 에어로졸의 화학적 성분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지상 관측으로는 측정이 불가능한 에어로졸의 연직 분포의 시공간적 변동성을 환경변수의 함수로 정량화 하였다.
이윤서,성기익,김욱성,정동섭,신성호,조양현 대한흉부외과학회 2021 Journal of Chest Surgery Vol.54 No.6
A 55-year-old woman who had received an implantable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3 months earlier presented with dyspnea and a low-flow alarm of the device. Computed tomography and log-file analysis of the device system suggested inflow cannula obstruc- tion. Since the patient had cardiogenic shock due to pump failure, venoarterial extracor- 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was initiated. With ECMO, surgical exchange of the pump was considered. However, the obstruction spontaneously resolved without surgical intervention. It turned out that an obstructive thrombus was washed out by rebooting the pump. Moreover, the thrombus was embolized in the patient’s left subclavian artery. The patient underwent heart transplantation 4 months after the pump obstruction accident and continued to do well.
이윤서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0
21세기 도시화로 인프라가 확장되면서도 자연환경은 종종 무시되어 여러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에 대한 대응책을 위해 21세기 도시화와 환경 보존 사이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고,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중요성을 연구한다. 먼저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이론적 정의와 핵심 원칙을 수립하여, 싱가포르의 표현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그래서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통해 도시 환경을 더 친환경적으로 만들고 생태계를 보존하며 개선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바이오필리아 효과는 환경에 녹색 환경을 통합한 것으로,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적용하면 모든 측면에서 자연의 요소를 이용하여 편안하고 안정된 환경을 조성하며 생산력과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러 분야에 적용되어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을 촉진한다. 바이오필릭 시티는 바이오필릭 디자인 원칙을 도시 계획에 적용한 방법론으로, 회복력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한 중요한 시도로 여겨진다. 다양한 국가에서 채택하고 있는 이 접근 방식은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작용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도시재생 및 바이오필릭 디자인 프로젝트는 환경친화적이며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들고 생태계를 보존하며 발전을 추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수단이다. 이 성공 사례는 다른 도시에서 모범적인 모델로 적용될 수 있다. 한국의 조경 분야에서도 녹지와 도시 재생을 위한 바이오필릭 디자인에 대한 연구와 적용을 강화해야 한다.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통해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도시 주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도시 환경을 보다 친환경적으로 만들 수 있는 기회를 모색해야 하며, 기술과 디자인의 융합을 통해 도시 재생과 녹지 확대를 발전시켜야 한다. 이를 통해 미래 도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As urbanization continues in the 21st century, infrastructure has expanded, but the natural environment is often overlooked, leading to various problems. To address this, efforts to maintain and activate harmony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are needed. It is essential to create ecologically healthy and abundant green spaces through biophilic design. Through research focused on the case of Singapore, necessary changes and challenges have been examined. The biophilia effect integrates green environments into the surroundings. Applying biophilic design allows for the creation of comfortable and stable environments using elements of nature in all aspects, enhancing productivity and concentration. Furthermore, it promotes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across various fields. Biophilic cities, as a methodology applying biophilic design principles to urban planning, are considered a significant endeavor to create resilient cities. This approach, adopted by various countries, serves as an important tool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Singapore's urban regeneration and biophilic design projects are crucial means to develop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sustainable cities, preserving ecosystems and promoting progress. These successful cases can serve as exemplary models for other cities.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South Korea, there is a need to enhance research and application of biophilic design for green spaces and urban regeneration. By seeking opportunit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urban residents and make urban environments more eco-friendly through biophilic design, and through the fusion of technology and design, continuous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urban regeneration and green spaces should be pursued. This can secure the sustainability of future cities.
이윤서,김지혜,신은경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6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unit spaces necessary for facilitating futur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Additionally, it seeks to propose guidelines for future school space planning and policy implications. The activities outlined in the 2015National Curriculum'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ere categorized into 58 activity types that were further grouped into six categories:data collection and utilization, instrumental exploration and experiment, expression activity, playing, discussion, and performing. Subsequently,drawings of unit spaces suitable for each activity type were created. To enhance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designs, feedback was obtainedfrom 54 gifted education teachers who actively engaged in designing futur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to refine and improve the unitspaces for optimal functionali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lans provided by the teachers, four key planning directions for futuristiclearning spaces emerged: connecting classrooms of various sizes, supporting convergence activities through multi-functional unit classrooms,fostering flexibility in the boundary between learning spaces and support spaces, and creating a digital/AI educational environment. Furthermore,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implementing policies at the school, local education office, and national levels. This studyproposed a futuristic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long with a well-suited learning space design based on the invaluable insights of teacherswho actively utilize such learning spaces. 본 연구는 미래의 교수학습 과정 운영에 필요한 단위공간의 특성을 도출하고, 향후 학교공간의 계획 방향과 정책적 시사점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과정을 거쳤다. 먼저, 총 58개로 교수 학습활동을 유형화하였고, 58개 유형을 크게 ‘자료 수집 및 활용, 도구적 탐색 및 실험, 표현활동, 놀이하기, 토론하기, 공연하기’의 6개 대분류 항목으로 구분, 소요 단위공간 모듈을 작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54명)들에게 미래 교수학습 과정의 설계와 이를 위한 단위공간의 조합과 개선을 요청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에게 취합된 계획안을 분석하여, 미래형 학습공간의 계획 방향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규모의 교실 연계 배치, 다기능 단위교실을 통한 융합 활동의 지원, 학습공간과 지원공간 경계의 유연화, 디지털·AI 교육환경 조성의 4가지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교 단위, 교육청 단위, 국가 단위에서 실행 가능한 정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학교를 실제로 사용하는 교사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미래 교수학습과정과 이에 적합한 학습공간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