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보기술 사용에서의 놀이성, 유용성 그리고 사회적 영향: 미니홈피 사용을 중심으로

        이웅규,이승헌,Lee, Woong-Kyu,Lee, Seung-Hun 한국경영정보학회 2005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15 No.3

        According to traditional theories of information systems, one of the reasons for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is that users believe it to be helpful or useful for what they want to do, which is called extrinsic motivation. However, in addition to extrinsic motivation, there are other reasons for using it such as enjoying or playing with information technology itself, called intrinsic motivation, and just others around users, called social influe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research model for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considering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and social influence. For validation of this model, we survey the users of 'Minihompy' since it is one of the most popular blog services in Korea and there are relatively clear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social influence respectively in using it. By analysing 549 valid samples by Partial Least Square(PLS), we show the suggested research model to be a valid one. That is, all hypotheses we suggested turn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R^2$ of the dependent variable, the intention of use, explaining by the model to be higher than 40%. In addition to validation of the research model, it is found that intrinsic motivation may be more important than extrinsic motivation and social influence in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 KCI등재
      • 공자의 군자론을 통해 본 이순신의 지휘통솔법 연구

        이웅규(Lee Woong Kyu)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2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7

        The purpose of this treatise is to define and draw an inference about the character of ‘virtuous man(君子)’ and education in terms of leadership technique of Yi Sun Sin. ‘Virtuous man’ is a true gentleman with noble character. He is a man sufficiently transformed in the side of character and competence. But ‘insignificant person(小人)’ in 『The Analects of Confucius(論語)』 is the person that has not yet been realized the plasticity and the power of character rather than the image of negative, destructive and passive person. ‘Virtuous man’ is the one to practice the benevolence with attitude and activity. The benevolence is the disposition of integrity, compassion, tolerance, prudence, courteousness, sincerity and consideration. And the benevolence is explained to discipline one’s body and mind, to educate others. First of all, ‘virtuous man’ watches out oneself carefully and thinks importantly to contribute another person. But ‘insignificant person’ is mainly depended on other person’s reputation, expect to be treated heartwarming hospitality and good reception. The attitude of ‘virtuous man’ is connected with justice, righteousness, tranquility and that of ‘insignificant person’ connected with full of worries, following private profits. ‘Virtuous man’ has the long view and integrity in perspective, ‘insignificant person’ has the competence to deal practical affairs skilfully.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to nurture and educate ‘virtuous man’ is the education to raise the leader with magnificent character and competence. The education to cultivate leadership technique of Yi Sun Sin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is individual upbringing, ‘training of enlightenment’ to promote initiative learning, instruction by progressive and gradual stages, that of moderation namely the middle of the road. 리더는 기본적으로 자기의 ‘능력’을 갖춰야 한다. 부하 직원들은 무능한 리더를 따르지 않는다. 그러나 리더는 모든 일을 혼자 할 수 없다. 조직에 활기를 불어넣는 ‘열정’이 필요하다. 나아가 직원들이 진심으로 따르고 지혜를 모을 수 있도록 ‘배려하고 사랑하는 마음’이 필수라 할 것이다. 이 모든 요소들이 공자가 지적한 군자의 도와 맞물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임진왜란 당시 참전했던 전투에서 전승을 거둔 이순신 장군을 통해 오늘날 리더들이 갖춰야 할 공자의 군자의 리더십의 전형을 볼 수 있다. 세계 4대 해전으로 꼽히는 한산대첩과 13척의 배로 133척의 왜군을 격파한 명랑해전을 이끌었던 능력, 적의 총탄에 쓰러지면서도 장졸들을 독려하던 열정, 아무리 지위가 낮은 병사일지라도 보고서에 그 공을 빠짐없이 기록할 만큼 부하들을 아끼던 마음이 이를 잘 말해 준다. 이순신 장군은 많은 고난의 시기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군자와 같은 언행으로 그가 남긴 무수한 어록들은 온갖 고난과 역경을 극복한 생애를 잘 보여 준다. 이순신 장군이 남긴 ‘생즉사 사즉생(生則死 死則生)’의 마음, 죽기를 각오하고 최선을 다하면 어떤 일이라도 해낼 수 있다는 마음가짐은 리더가 갖출 또 하나의 필수적인 덕목이다. 리더부터 목표에 대한 의지와 확신을 갖지 못한다면 어느 누가 이를 믿고 따를 수 있겠는가. 결국 이순신 장군이 위기에 처한 국가를 구하고 승리한 많은 성공 요인이 있었겠지만 가장 중요한 성공요인은 조선 수군들의 마음을 움직인 이순신 장군의 군자와 같은 마음을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한마디로 이순신 장군이 전쟁을 승리로 이끈 것은 “감정을 절제한 군자론적인 지휘통솔법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앞선 다른 장수들이 치른 여러 전쟁에서 그들은 조국강산의 현실과 적을 물리치겠다는 염원, 이런 애절함을 백성들과 군인들에게 너무 부담스럽게 떠안긴 느낌이 있었기 때문에 실패했다고 할 수 있다. 감정을 강요하면 진짜 감정을 주지 못하는 것처럼 되는데 이순신 장군은 그의 난중일기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사실을 사실대로 적시하고 이야기함으로써 임진왜란이 가진 본질에 집중한 담담한 스토리텔링을 펼쳐냈다는 것이다. 리더란 단지 나이가 많거나 지위가 높은 사람을 일컫는 말이 아니다. 군자와 같은 진정한 리더십을 갖췄을 때 비로소 리더라는 호칭이 어울릴 것이다. 능력 열정 배려를 갖춘 군자론적인 리더가 되기 위해,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이순신 장군은 참전했던 모든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는데, 그 요인 중의 하나가 이순신 장군의 군자론적인 지휘통솔법으로서 우리 모두가 배워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제주 섬의 역사성과 복수성을 활용한 제주도 해양관광콘텐츠 개발방안 연구

        이웅규 ( Lee Woong-kyu ),정민의 ( Jung Min-eue )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제주도가 섬의 정체성을 나타내고 매력 있는 해양관광도시로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기 위한 방안 중의 하나로 제주도의 역사성과 복수성을 활용하여 해양관광콘텐츠로 개발하고자 한다. 그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국내외에서 발간된 다양한 연구논문과 정기간행물, 정부문서와 신문기사 등의 2차 자료를 중심으로 문헌 고찰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해양관광콘텐츠란 본래 창의력·상상력을 원천으로 문화적 요소가 체화되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문화관광상품을 의미한다고 정의하였다. 그래서 섬의 역사성과 복수성을 활용한 제주도의 해양관광콘텐츠 개발을 위해서는 정책적으로는 영화, 에니메이션, 음악, 비디오물, 게임물, 멀티미디어콘텐츠, 캐릭터, 만화 및 디지털콘텐츠 등 각 분야의 시설확충과 전문인력 양성, 고부가가치 문화상품, 문화산업의 해외지원 확대뿐만 아니라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문화적 상상력을 총체적으로 발휘해야 한다고 논의했다. 특히, 제주도의 해양문화 콘텐츠 원형에 창의력과 상상력이 가미되면 제주도의 역사성과 복수성을 더욱 부각시키며 정체성과 공적 이미지 창출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해양관광콘텐츠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제주도의 역사성과 복수성으로 수렴되는 해양관광콘텐츠는 제주도의 해양문화콘텐츠 원형 발굴에서 시작된다는 전제하에 문헌고찰을 통해 세 가지 범주에서 제시하였다. 첫째 사람, 문화, 물자 교류의 역사성과 복수성을 보여주는 문화원형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국제성을 보여 주는 문화원형을 발굴하여 초국가적 영역성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다층적인 문화가 누적된 문화원형 발굴을 통해 한국현대사의 질곡의 현장이 가득한 시·공간을 개발해야 한다. 특히, 제주도를 해항도시로 자리매김 한다면, 해항도시가 가진 역사적, 철학적 비전이 다양성과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는 창의도시의 그것보다 훨씬 유연하고 역동성을 담으며 제주도의 역사성과 복수성에 어울릴 것이다. 또한 ‘21세기 해양의 시대의 해양전진기지, 제주’보다는 ‘21세기 유라시아 해항도시 네트워크의 결절점, 제주’가 역사성과 복수성을 반영하면서도 미래 지향적인 비전으로 다가올 것이다. 해항도시 제주가 가진 교류의 역사성, 복수성, 국제성, 문화의 잡종성을 드러내는 문화콘텐츠 원형은 여기에 상상력이 가미될 때 생명력을 가지며 나아가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해양관광콘텐츠가 될 것이다. 향후 제주 섬의 역사성과 복수성을 활용한 해양관광콘텐츠 개발방안은 반드시 정치적 요구에 따라 각종 특별법을 만들어 섬 성(性)을 무시한 정책개발들을 남발해서는 안 된다. 제주섬 정책은 국토종합계획과 다른 차원에서 수립되어야 한다. 지역 간 경계도 없고 국가 간 물리적 경계도 존재하지 않는 해양과 바다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제주도민들과 해양문화콘텐츠의 원형복원을 고려한 육지와 차별화된 해양관광콘텐츠 프로그램, 지역주민의 참여가 이루어지면서 미래가치가 우선적으로 고려된 제주 섬의 역사성과 복수성을 활용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JejuIsland as an attractive marine tourism city. For this purpose, we will develop the contents of marine tourism using the historical and plural nature of Jeju Island. In order to positively examine these method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ocusing on secondary research articles such as research papers, periodicals, government documents and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in and outside the country.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marine tourism contents is defined as cultural tourism products that create economic value by incorporating cultural elements originating from creativity and imagination. Therefore, we would like to develop Jeju Island’s marine tourism contents utilizing the history and pluralism of the island. The policy was to expand the facilities, expertise, and support for high value-added cultural products and cultural industries in the fields of film, animation, music, video, game, multimedia, character, cartoon and digital contents. They also discussed that the cultural imagination inherent in itshould be exercised as a whole. Especially, Jeju Island’s creativity and imagination are needed for the prototype of marine culture contents. If we emphasize the historical and pluralism of Jeju Island, it will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identity and public image. It will also be a marine tourism content that creates economic value. This study pointed out that Jeju Island marine tourism contents, which are represented by history and plurality, originated from the exploration of marine culture content prototypes. First, we must develop a culture prototype showing the history and pluralism of the exchange of people, culture, and material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ranscontinental territoriality by discovering cultural prototypes showing internationality.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ity and a space filled with Korean history through the accumulation of multi-layered cultural circles. Especially, if Jeju Island becomes a sea port city, it will become a maritime tourism city filled with th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vision of the sea port city. In addition, ‘Nautical point of Eurasia maritime city network in the 21st century, Jeju’ rather than ‘Maritime advance base of the 21st century marine era, Jeju’ will come to be a future-oriented vision reflecting historical and pluralism. It is important to find a cultural content prototype that reveals the history, sexuality, internationality, and cultural hybridity of an exchange city Jeju. If imagination is added to this, it will become Jeju Island with vitality, and it will become a marine tourism content that creates economic value.

      • KCI등재

        인천 섬 관광 활성화를 위한 혁신적인 문화관광정책 방향 연구

        이웅규 ( Lee Woong-kyu ) 한국도서(섬)학회 2022 韓國島嶼硏究 Vol.34 No.1

        인천 섬은 육지와는 다른 청정한 자연경관, 청정수산물, 이색적인 섬 문화 등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인천 섬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관심이 증가하면서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에서도 섬 관광(island tourism)에 주목하고 있다. 섬을 포함한 어촌지역은 관광객들의 관광행태 변화와 대중매체 및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 1인 미디어에 의해 관광목적지로 노출되면서 관광객들에게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인천시가 다양한 노력을 기울인 결과, 행정안전부와 한국관광공사(2008)가 선정한 테마 섬 여행 Best 15에 옹진 대청도가 비경 탐방 여행지로 선정되었고, 휴양하기 좋은 섬 Best 30에 인천 섬 4개(석모도, 대이작도, 덕적도, 대청도)가 선정되었다. 특히, 2012년 3월 미국 최대 언론매체 CNN이 선정한 아름다운 섬 33선에 선재도(1위), 덕적도(6위), 강화도(8위), 백령도(21위), 팔미도(29위) 등 5개의 인천 섬들이 꼽히기도 했을 정도로 인천지역 섬 관광콘텐츠는 세계 5대 갯벌, 뛰어난 자연경관, 역사 및 문화적으로 중요한 자산까지 보유했다는 점까지 추가되어 인천의 섬 관광 발전 가능성은 상당히 큰 편이다. 이에 인천시도 168개의 섬을 관광산업과 연계하여 활성화시키고자 관련 문화관광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천 섬 관광을 활성화하고자 기존의 섬 관광 관련 문화관광정책을 문헌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혁신적인 문화관광정책의 추진방향과 과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인천 섬 관광 활성화를 위한 문화관광정책의 추진방향으로 혁신적인 문화관광서비스 정책의 과학화, 경험과 감(感)에 과학을 더한 문화관광서비스 정책의 혁신적인 R&D 투자 환경에 대한 이해, 관광객 행동시점 정보관리시스템 개발로 방문관광객의 철저한 분석과 진단, 올바른 평가를 통한 인천광역시 섬 문화관광정책의 시행을 제시하였다. 둘째, 인천 섬 관광 활성화의 문화관광정책 과제로는 관광객의 변화 욕구(Needs)를 충족시킬 관광시설 및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 혁신적인 섬 문화관광서비스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추진, 혁신적인 섬 문화관광서비스 정책으로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노력을 제시하였다. Incheon Island has a clean natural landscape, clean aquatic products, and a unique island culture that is different from the mainland. Recently, social and cultural interest in Incheon Island is increasing. Fishing villages, including islands, began to attract attention from tourists as they were exposed as tourist destinations through changes in tourist behavior and ‘one-person media’ such as mass media and social network service(SNS/social media). As a result of Incheon City’s various efforts, Incheon’s island tourism content has been added to the fact that it has one of the world’s five largest tidal flats, outstanding natural scenery, and possesses both historical and culturally important assets. Therefore,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also paying attention to island tourism. Accordingly, Incheon City is also continuously pursuing related cultural and tourism policies to revitalize 168 islands in connection with the tourism industry.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on existing cultural and tourism policies related to island tourism to revitalize tourism on the island of Incheon. Through this, the following directions and tasks for innovative culture and tourism policies were derived. First, the ‘scientification’ of innovative culture and tourism service policies as the direction of promotion of cultural tourism policy to revitalize Incheon Island tourism, understanding of the innovative R&D investment environment of cultural tourism service policies that add science to experiences and feelings, and information on tourist action poin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management system, the implementation of Incheon island culture and tourism policy was suggested through thorough analysis, diagnosis, and correct evaluation of visiting tourists. Second, the cultural tourism policy tasks for revitalizing Incheon Island tourism are as follows. It presented efforts to create value through the development of tourism facilities and service programs to meet the needs of tourists, continuous investment in innovative island culture and tourism service policies, and innovative island culture and tourism service policies.

      • DMZ의 지속 가능한 평화관광을 위한 규범 정립 연구

        이웅규 ( Lee Woong-kyu ) 한국접경지역통일학회 2021 접경지역통일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DMZ의 지속 가능한 평화관광 개발을 통해 DMZ 생태계 보전과 남북관광교류협력, 그리고 접경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경제 활성화 등 어느 것 하나 소홀히 하지 않고 동시에 달성할 규범을 정립하는 것을 주요 연구 목적으로 한다. DMZ의 지속 가능한 평화관광 개발을 합리적 보전과 지속 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의 관점에서 평화플랫폼의 역할을 할 DMZ의 규범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DMZ의 지속 가능한 평화관광 개발을 위해서는 남북한 당국, 중앙정부, 지방정부, 지역주민 외에도 국제사회의 다양한 그룹과 관련 국가의 적극적인 참여를 전제로 한 새로운 시각과 패러다임을 위한 평화플랫폼으로 접근해야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신념하에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수준의 규범을 문헌 고찰하고자 한다. DMZ의 지속 가능한 평화관광 개발을 위한 규범 정립 방안은 3국간 및 남북한간의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고, 남북 및 3국간의 정치적·군사적·경제적 신뢰를 쌓아갈 수 있는 유용한 방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DMZ의 지속가능한 평화관광 개발방안을 논의하면서 경험하게 될 다양한 형태의 대화와 타협은 남북관계를 평화국면으로 전환하는 데 초석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DMZ의 평화관광 개발 논의는 국제정치적 관점에서 동북아시아의 평화를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안중근의사의 동양평화론과 칸트의 영원평화론을 뒷받침할 수 있는 해양세력의 외침을 막았던 이순신장군과 3.1독립운동의 아이콘인 유관순열사의 리더십으로 광개토대왕의 대륙진출(북방정책)과 장보고대사의 해양진출(남방정책) 사고를 DMZ의 지속 가능한 평화관광 개발을 위한 평화플랫폼의 규범의 기초로 삼았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peace tourism in the DMZ. In other word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that can simultaneously achieve the preservation of the DMZ ecosystem, inter-Korean tourism exchange and cooperation,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residents in the border region, and activation of the local econom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oretically examine the DMZ’s philosophical basis, which will serve as a peace platform in terms of rational preserv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DMZ’s sustainable development of peace tourism. In particular, for the DMZ to develop sustainable peace tourism, it is premised that the active participation of various groups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related countries in addition to the South and North Korean authorities, local governments, and local residents. Under the belief that a new perspective and a peace platform for a paradigm must be approached to achieve practical effects,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literature o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at a systematic and logical level. The philosophical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peace tourism of the DMZ can be a useful way to heal the wounds of the war between the two Koreas and to build political, military, and economic trust between the two Koreas. In addition, various forms of dialogue and compromise that will be experienced while discussing the DMZ’s sustainable development plan for peace tourism can serve as a cornerstone for turning inter-Korean relations into a peace phas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peace platform that supports Dr. Ahn Jung-geun’s theory of peace in the East and Kant’s theory of eternal peace. The leadership of Admiral Yi Sun-sin, who prevented the cries of the maritime forces, and Yu Gwan-sun, the icon of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were derived. This was evaluated as taking over the accidents of King Gwanggaeto’s advance to the continent(northern policy) and Ambassador Jang Bogo’s advance to the ocean(southern policy). The contents thus derived were used as the philosophical basis of the peace platform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peace tourism in the DMZ.

      • KCI등재

        관광기업의 웹사이트 디자인의 사용성평가

        이웅규(Woong Kyu Lee),권현재(Hyun Jae Kwon),김은희(Eun Hee Kim) 한국관광연구학회 2004 관광연구저널 Vol.18 No.2

        This study examined the usability of the web site design, focusing on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 Specifically, we conducted two major non-experimental usability testing methods on the tourist business web sites with various purposes. In research 1, we used an on-line questionnaire method on 12 tourist business web sites. As a result, several critical usability features and factors were identified. In research 2, we carried out a heuristic evaluation method to identify more specific usability problems. The result of research 2 suggests that the heuristic evaluation method reveals more specific problems of the web site design than the questionnaire method.

      • KCI등재

        ‘개항장’ 인천의 관광스토리텔링으로서 부유식 해상구조물 활용 함상축구경기장 연구

        이웅규 ( Lee Woong-kyu ),이용일 ( Lee Yong-il )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해양의 시대를 맞이하여 바다를 모태로 태어난 유럽문명, 즉 로마제국과 대영제국 등이 일찍부터 해양력을 중시하여 왔다는 점을 착안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해양관광도시인 인천시를 대상으로 연구주제를 선정하였다. 21세기에 해양관광도시 인천이 해양의 시대에 적극적인 대비를 하기 위해서는 선도적인 측면에서 최근 각광받고 있는 인천의 다양한 해양관련 스토리를 발굴하여 전략적으로 구성해서 활용하고, 인천 앞바다에 부유식 해상구조물을 활용하여 함상축구경기장 등을 조성하는 등의 전략적인 해양관광정책을 추진하는 등의 ‘해양관광’ 우선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해양관광국’의 신설을 지적하는 것은 인천시 해양관광정책이 남북 대치 상황과 수도권 규제로 인해 크게 제약을 받고 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 중의 하나로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가 인천시의 정체성을 나타내고, 매력 있는 해양관광도시로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하기 위한 방안 중의 하나로 인천의 해양공간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전략적 접근방안으로 ‘개항장’ 인천의 축구 도입 과정을 관광스토리텔링화 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발간된 다양한 연구논문과 정기간행물, 정부문서와 신문기사 등을 문헌고찰하여 제시하였다. 연안에 입지하여 개항에 따른 근대도시로서 급격한 도시화과정을 거치며 성장한 인천시가 과거 개항장으로서 우리나라 ‘축구’ 도입의 통로 역할을 하였다는 점과 강화 클럽축구단의 존재 사실을 가지고 축구 관련 스토리텔링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부유식 해상구조물 활용 함상축구경기장 조성을 추진하고 지속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을 제기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인천의 해양공간과 함상축구경기장, 그리고 축구관련 스토리텔링이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유지하여 인천관광의 새로운 이정표를 만드는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이를 통해 인천이 21세기 해양관광도시로서 다양한 해양관광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서 함상축구경기장을 조성하여 세계적인 랜드마크(landmark)를 만들기를 바라고 있다. 인천시의 함상축구경기장을 활용한 축구 관련 관광스토리텔링 자료는 섬과 해양문화, 개항, 산업화 시기의 이야기 자원 등으로 특화하여 그 활용가치를 높일 중요한 자원이다. 이는 함상축구경기장 활용 축구 관련 관광스토리텔링 원천자료의 축적, 축구 관광스토리텔링 전문 인력유치 양성, 관련기관 간의 유기적 협력을 위한 함상축구경기장 관광스토리텔링 플랫폼의 구축을 전제로 한다. 특히, 함상축구경기장 축구 관광스토리텔링 관련 전문 인력과 전 세계 축구인들의 함상축구를 시민생활문화로 파급시키기 위해서는 주요 활용기관들의 협력체계도 동시에 구축해야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지속적인 사업을 추진할 인천시의 해양관광정책을 전담할 담당부서 설치와 전문 인력의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다. The research topics were selected for Incheon, a representative marine tourism city in Korea. In this regard, Incheon, a marine tourism city in the 21st century, must prepare for the era of the ocean. In order to do this, we mustfind a variety of marine stories related to Incheon, which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from a leading aspect, and construct them strategically. In particular, it is time for a "marine tourism" priority policy and the promotion of strategic marine tourism policies and thecreation of marine football stadiums using floating marine structures off Incheon. In this regard, pointing out the establishment of the ‘Marine Tourism Bureau’is one of the ways to overcome this problem because Incheon city maritime tourism policy is severely restricted by the inter-Korean confrontation situation and the metropolitan area regul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cheon city shows itsidentity and pursues sustainable development as an attractive marine tourism city. As a strategic approach to develop the marine space of Incheon, I proposed a method to utilize Incheon’s soccer introduction process as tourism storytelling. Incheon city, which has grown rapidly through the rapid urbanization process as modern city in the coastal area, has servedas a gateway to the introduction of soccer in Korea. In addition, we can maximize the storytelling of soccer with the existence of a strengthened club soccer team.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the maritime space of Incheon, the marine soccer field, and the storytelling related to football will be complementary. As a platform for Incheon to provide a variety of marine tourism contents as a marine tourism city in the 21st century, it will create a global landmark by creating a marine soccer stadium.

      • KCI등재

        해양관광진흥법 제정에 관한 연구

        이웅규 ( Lee Woong-kyu ),정분도 ( Jeong Boon-do )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3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천혜의 환경과 풍부한 해양자원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종 규제와 바다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배타성으로 인해 관광자원으로써의 활용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해양산업이 국민총생산에 대한 기여도가 9% 이상인 상황에서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법적 제도적 지원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 해양관할권이 육지 국토면적의 4.5배에 달하는 44만 ㎢에 이른다는 점을 감안하여 관광자원으로서의 잠재력이 높은 지역을 해양관광진흥구역으로 지정하고, 친환경적으로 개발ㆍ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해양관광 진흥을 도모하고 지역 경제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갈수록 첨단화되고 다양화 되어 가는 해양레저스포츠 관광분야의 시설과 자원에 우리 국민들이 편안하고 쾌적하게 접근할 수 있는 시의적절한 대응 정책을 구축하기 위한 법 체계 마련이 그 어느 때보다도 필요하다. 주요 내용으로는 첫째, 해양관광진흥구역의 지정(안 제7조부터 제9조까지)을 명확하게 하였다. 둘째, 해양관광진흥구역의 개발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해양관광개발계획의 수립(안 제12조)에 대한 내용을 제안하였다. 셋째, 해양관광진흥구역이 지정되면 해당 시ㆍ도지사는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민간투자자 등의 자 중에서 해양관광개발사업의 시행자를 지정하도록 해양관광개발사업의 시행자를 지정(안 제13조 및 제15조)하는 내용을 제안하였다. 넷째, 해양관광진흥구역으로 지정ㆍ고시된 경우에는 「어촌어항법」에 따른 어항의 지정과 어항기본계획을 달리 할 수 있도록 하고, 「항만과 그 주변지역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항만재개발 기본계획과 항만재개발 사업계획에 대한 특례를 인정하는 등 해양관광개발사업이 효율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관계 법률에 따른 규제를 완화할 필요가 있는 해양관광진흥구역에 대한 규제 특례(안 제27조부터 제31조까지) 내용을 제안하였다. Korea has a rich environment and, being a peninsula,abundant marine resources surrounded by thesea on three sides. Nevertheless, due to various regulations and vague fears and exclusiveness of the sea, utilization as tourism resources is very low. In particular, marine tourism activities are expected to increase further in the future, as the marineindustry contributes 9% or more to the gross domestic product. For this reason,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marine tourism promotion is necessary.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at the maritime jurisdiction of Korea is about 440,000 square kilometers, which is 4.5 times the land area of he nation. Therefore, the area with high potential as a tourism resource should be designated as a marine tourism promotion zone. In addition, it should provide a basis for eco-friendly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marine resources. This will be an opportunity to promote Korea's marine tourism and contribute to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It is also one of the measures to cope with the demands of the marine leisure sports tourism field which is getting more and more advanced and diversified. Thi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tourists to have comfortable access to marine tourism facilities and resources. It is more important than ever to come up with a legal framework to build timely response policies because of this need. First, it is should be designated as a marine tourism promotion area. Second, a marine tourism development plan would consequently be established. Third, it is designated as an "enforcer" of the marine tourism development project. Fourth, it is subject to special regulations for a marine tourism promotion area.

      • KCI등재

        通過韓․中旅游合作打入中國旅游市場的戰略

        이웅규(Woong Kyu Lee),엄연자(Yeun Ja Yeum) 한국관광연구학회 2005 관광연구저널 Vol.19 No.3

        중국이 급부상하면서 한국 및 세계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할 것이며 경제뿐 아니라 사회에 미치는 영향 또한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특히 한국의 관광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아주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한·중 관광협력을 통한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양국간의 관광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다. 또한 급팽창하는 중국관광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단편적이나마 중국의 관광산업정책과 발전현황을 파악하고 여기에 대응하여 한국 관광기업이 중국에 효과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해 보았다. 또한 보다 장기적이고 치밀한 관광지원정책과 비즈니스 전략만이 우리가 무한 경쟁에서 살아남아 효과적으로 중국관광시장에 진출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