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특수학교(급) 재량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안 및 교수-학습자료 개발

        이유훈,김형일,이욱승,이인숙,김규선 한국특수교육학회 2002 특수교육학연구 Vol.37 No.3

        A Study on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Optional Activities and Development of Its Program in Special Schools >본 연구는 제7차 특수학교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실효성 있는 적용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다. 첫째, 특수학교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편성운영 방안을 모색하고, 둘째, 특수학교 재량활동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고, 셋째, 이를 바탕으로 특수학교 재량활동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특수학교 교사 94명, 특수학급 교사 83명에 대한 요구조사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재량활동의 편성운영 방안에서는 1) 재량활동 편성 시 학생의 요구와 능력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것, 2) 장애영역에 따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할 것, 3) 재량활동을 하위영역으로 세분하는 것보다 학교의 특성에 맞게 융통적으로 운영할 것, 4) 교과재량활동보다는 창의적 재량활동을 중시할 것 등이다. 둘째, 재량활동 교수-학습자료의 구성 방향으로는 1) 학교에서 교사들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 2) 교과재량활동의 경우 시각청각지체장애학교에서는 특정 교과의 비중을 중시해야 하지만, 정신지체학교나 특수학급에서는 기능적 기본생활 내용으로 구성할 것, 3) 범교과와 자기주도적 활동을 통합하여 탐구학습이나 체험학습 중심으로 구성할 것, 4) 현장교사들이 다양하게 참고할 수 있는 자료나 활용교재로 제시할 것 등이다. 이상의 교수-학습 자료의 구성 방향에 따라 기본생활, 여가생활, 탐구생활, 정보생활, 민주시민생활 등 크게 4개 영역으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검색어> 특수학교 재량활동, 교수-학습 자료, 탐구학습, 자기주도적 학습 활동

      • KCI등재후보

        시각장애학교 교과용 도서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김정현,오세웅,이욱승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07 시각장애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extbooks for the blind as a part of ‘A study on evolution of textbooks structure for special schools (Korean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2007)’. Above all, the study collected opinions for utility and improvement of textbooks, visiting five schools for the blind. On the ba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drew up a questionnaire and collected opinions of 180 teachers in 10 schools for the blind. After collecting opinions, the study amended and supplemented contents through consulting with professionals. The study divided braille textbooks, Braille instruction, Iryo textbooks(Therapy textbooks), extended textbooks and electronic books into textbooks and guide books for teachers and proposed actual conditions of utility and problems and improvements. 본 연구는 “특수학교 교과용 도서 체제 개선 연구(2007, 국립특수교육원)”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시각장애학교 교과용 도서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우선 5개 시각장애학교를 방문하여 교과용 도서의 활용과 개선에 관한 의견을 수렴한 다음 이를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10개 시각장애학교 교사 200명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의견 수렴 후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내용을 수정보완하였다. 크게 점자교과서, 점자지도, 이료교과, 확대교과서 및 전자도서에 관하여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로 나누어 그 사용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개선 방안이 제시되어 있다.

      • KCI등재

        지체부자유학교 체육 교과용 도서 활용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김남진,오세웅,이욱승,김주영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8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1 No.1

        Revised curriculum of special school focused on delivery of service that could tailor to individual student's educational need through reconstru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This required development of text that allow teacher to use text as resource book which could be used in a special classroom and a special school in order to meet student's individual need. Thus this study in tended to investigate problem and present improvement plan for physical textbook in school for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 For this study, we surveyed 212 teachers(elementary school 108, middle school 52, highschool 52) who had served with the school for physically handicapped students and they had taught physical subject. Based on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ways of developing and direction for physical textbook. Presented matters are as follow; 1) Developing that based on general school. 2) Formation must be replaced part of theory, part of practice, part of health from with health activity, challenge activity, competition activity, expression activity, leisure activity. 3) Contents must be written synthetically. 4) Contents of textbook are useful all students with physically handicapped and so on. 본 연구는 지체부자유학교 체육 교과를 중심으로 교과용 도서의 활용상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전국의 지체부자유학교 체육 담당교사들 중 초등부 담당교사 108명, 중학부 담당교사 52명 그리고 고등부 담당교사 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체부자유학교 체육과 교과서 개발 및 심의 방향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부자유학교 체육과 교육 프로그램은 단계별 교육과정의 내용이 효과적으로 제시되는 체제로 개발하되 일반 학교의 것을 기준으로 하여 개발한다. 둘째, 체육 교과서의 구성 체제는‘이론편’,‘실기편’,‘보건편’에서‘건강 활동편’,‘도전 활동편’,‘경쟁 활동편’,‘표현 활동편’,‘여가 활동편’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셋째, 체육과 교과서의 구성 내용은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의 정신과 특징을 효과적으로 반영해야 하고, 인지적 영역·정의적 영역·심동적 영역의 내용을 통합적이고 포괄적으로 기술해야 한다. 넷째, 현재 지체부자유학교의 중도·중복화된 학생들의 증가 추세에 비추어볼 때, 교과서의 내용은 지체부자유 학생들이 실제로 수행할 수 있는 체육과 교육과정 내용과 더불어 기능 수준이 높은 학생들을 위한 내용도 함께 제시하여야 한다. 다섯째, 체육 교과서와 지도서의 내용을 차별적으로 제시할 필요성과 화보의 내용과 성격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체육 교과서마다 학생용 CD와 교사용 CD 자료를 새롭게 개발한 교과용 도서와 함께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학생용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수업 개선뿐만 아니라 교사들이 체육 수업을 하면서 겪는 다양한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 방향, 현재 부재한 객관적 평가 도구 및 방법을 정확히 제시함으로써 체육 수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해야 한다. 여덟째, 체육과 교과서 심의 방향은 외형적 측면에 대한 심의 방향과 내용적 측면에 대한 심의 방향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내용적 측면의 심의 내용 기준의 10가지 예시(교과서 내용의 타당성, 포괄성, 균형성, 통합성, 정확성, 보편성, 상호연계성, 적합성, 창의성, 통일성)를 참고로 이루어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