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간 기반 분리 도입을 통한 제주국제공항 활주로 처리량 개선

        이예찬,최상일,김휘양 한국항행학회 2025 한국항행학회논문지 Vol.29 No.3

        감시 시스템을 활용한 거리 기반의 분리는 도착 항공기 간 주된 종적 분리 기준으로 적용됐다. 거리 기반 분리는 기상 조건과 관계없이 고정된 거리 기준을 적용하며, 강한 정풍으로 인해 도착 항공기의 지상 속도가 감소하는 경우 활주로 접근 시간이 증가하고 활주로 처리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는 방안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을 유지하는 시간 기반 분리를 최종 접근 구간에 적용하는 개념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제주국제공항을 대상으로 시간 기반 분리의 적용 가능성과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통계 검정을 통해 거리 및 시간 분리에 대한 정풍 성분의 영향성을 확인하였으며, 접근 구간을 세분화하고 구간별 속도 데이터를 복원 추출하여 정풍 성분에 따른 항공기 접근 시간 및 활주로 처리량 변화를 도출하였다. Distance-based separation using surveillance systems has been applied as the primary longitudinal separation standard between aircraft. The current distance-based separation applies fixed values regardless of wind conditions, which leads to increased approach times and reduced runway throughput when aircraft approach the runway with strong headwinds that decrease their ground speed. To address the shortcomings of distance-based separation, the concept of time-based separation (TBS) has been proposed, which applies a constant time interval regardless of wind condition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easibility and practical effects of introducing TBS at Jeju International Airport in two stages. First, statistical test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impact of wind speed on both distance- and time-based separation. Second, the approach segment was subdivided, and speed data for each segment were reconstructed to compare approach times under varying wind conditions, thereby estimating the hourly runway throughput.

      • KCI등재

        임플란트 즉시 식립에 의한 연속된 상악 전치부의 심미적 수복 증례

        이예찬,심준성,이재훈,이근우,Lee, Ye Chan,Shim, Jun Sung,Lee, Jae Hoon,Lee, Keun Woo 대한치과보철학회 2017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5 No.4

        상악 전치부를 발치 해야 하는 경우, 즉시 식립을 통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의 수복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술 횟수 및 치료기간의 감소, 흡수가 일어나지 않은 잔존 골상에 식립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연속된 상악 전치부인 경우 임플란트와 임플란트간 거리에 대한 고려 및 예지성 있는 치료를 위한 정확한 진단 및 치료계획의 수립이 추가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증례에서는 63세 남환의 잔존치근을 발거 후 연장된 상악 전치부에 골이식을 동반한 2개의 임플란트 즉시 식립 및 임시 보철물을 장착 후,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하여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만한 임상 결과를 보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마스킹 화이트 박스 AES에 대한 새로운 고차 차분 계산 분석 기법

        이예찬,진성현,김한빛,김희석,홍석희 한국정보보호학회 2020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30 No.1

        As differential computation analysis attack(DCA) which is context of side-channel analysis on white-box cryptography isproposed, masking white-box cryptography based on table encoding has been proposed by Lee et al. to counter DCA. Existing higher-order DCA for the masked white box cryptography did not consider the masking implementation structurebased on table encoding, so it is impossible to apply this attack on the countermeasure suggested by Lee et al. In thispaper, we propose a new higher-order DCA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the implementation of masking based on tableencoding, and prove its effectiveness by finding secret key information of masking white-box cryptography suggested by Leeet al. in practice. 화이트 박스 암호에 대한 부채널 분석 맥락의 공격인 차분 계산 분석(Differential computation analysis,DCA) 공격이 제안됨에 따라, 이에 대응하기 위해 Lee 등의 대응기법과 같이 테이블 인코딩 기반 마스킹 화이트박스 암호가 제안되었다. 마스킹 화이트 박스 암호에 대한 기존 고차 DCA는 테이블 인코딩 기반의 마스킹 구현 구조를 고려하지 못하여 Lee 등이 제안한 대응 기술에는 적용이 불가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테이블 인코딩 기반 마스킹 구현에도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고차 DCA 기법을 제안하고, Lee 등이 제안한 마스킹 화이트 박스 암호의비밀키 정보를 실제로 찾음으로써 그 유효성을 증명하였다.

      • KCI등재

        What Brought Them Together?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ormalization Processes of North Korea-Japan and South Korea-Japan

        이예찬 한국국제정치학회 2018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Vol.16 No.3

        Most scholarship on the Korean-Japanese relationship has been focused on explaining what separates the Koreans from the Japanese rather than what had brought them together. Nevertheless, this article seeks to focus its analysis on what brought the two Koreas and Japan together. This article compares the South Korea-Japan normalization negotiations with the North Korea-Japan negotiations and purports that the controversial issues that recurrently surfaced in the process of the negotiations ultimately did not serve as a big hindrance to furthering the normalization progress in the latter and concluding negotiations in the former. Moreover, it suggests two possible scenarios under which normaliz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Japan could occur and concludes that Kim Jong-un’s personality will play the most critical role in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normalization talks.

      • KCI등재

        당사자에 의한 언론조정 결과 왜곡 공표의 법적 문제점:실제 분쟁 사례를 중심으로

        이예찬 언론중재위원회 2022 미디어와 인격권 Vol.8 No.2

        Nondisclosure, classified as a general characteristic of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 (ADR), has the advantage of enabling smooth dispute resolutions by enabling free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between neutral parties in disputes. The mediation system of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a representative ADR organization on media disputes, is also closed in principle according to Article 19(8) of the Press Arbitration Act. However, the parties to press mediation continue to arbitrarily distort and publish mediation results, undermining the principle of nondisclosure of mediation procedures.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witness that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press mediation system is overshadowed, such as disputes leading to more mediation cases or becoming lawsuits. This study discusses the dispute aspects and issues caused by the distortion of the mediation results by the press mediation parties, summarizes the matters that the mediation parties should pay attention to concerning the mediation result disclosures, and proposes matters that need to be improved at the practical and institutional levels. As a result, the pattern of disputes due to the distortion of the media mediation result was classified mainly into (1) the distortion of the case outcome’s type, (2) the distortion of the case’s outcome, (3) the distortion of the case’s progress, and (4) publishing reports denying the mediation’s content while implementing agreements. The reasons for the distortion of mediation results being different from the facts appear to be the motivations to interpret the outcomes of disputes in their favor by grasping the mediation procedure as a confrontation structure, such as an initial lawsuit. Arbitral tribunals need to imprint precautions related to the disclosure of the mediation procedure and the disclosure of mediation results on the mediation hearing date to prevent mediation result distortions. Measures like stating the details of the nondisclosure of the mediation in the mediation agreement may also be considered. Even if the parties inevitably announce the mediation results, they must be handled carefully based on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legal meaning, and if a third party reports the mediation results between the parties, going through faithful coverage of both parties is safe. In terms of institutional effectiveness, it is believed that the sanctions on the distortion problem in the mediation process will be reflected in individual laws governing each mediation system or implemented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ADR Framework Act. ADR의 일반적 특성으로 분류되는 비공개성은 분쟁사안에 대한 중립인, 당사자 간의 자유로운 소통과 토론을 가능하게 하여 분쟁해결을 원만하게 하는 장점을 지닌다. 언론분쟁 ADR 기구인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도 「언론중재 및 피해구제 등에 관한 법률」 제19조 제8항에 따라 비공개를 원칙으로 한다. 그런데 언론조정 당사자가 조정결과를 자의적으로 공표하여 조정절차의 비공개 원칙을 형해화하는 일이 계속되고 있다. 더 나아가 그로 인한 분쟁이 재차 조정사건으로 이어지거나 소송으로 비화되는 등 조정제도의 기능을 무색하게 하는 일을 지속적으로 목격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조정례와 판례를 중심으로 언론조정 결과의 왜곡 공표로 인한 분쟁 양상과 쟁점을 논의한다. 이를 바탕으로 조정 당사자들이 조정결과의 공표와 관련하여 주의할 점을 정리하는 한편, 실무적, 제도적 차원에서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제안한다. 연구결과, 언론조정 결과의 왜곡 공표로 인한 분쟁 양상은 크게 ① 사건 처리결과 유형의 왜곡이 문제된 경우, ② 사건 처리결과 세부내용의 왜곡이 문제된 경우, ③ 사건 진행과정에 대한 왜곡 여부가 문제된 경우, ④ 조정사항을 이행하면서도 그 내용을 부정하는 보도를 하여 문제된 경우로 분류되었다. 이처럼 조정결과의 왜곡이 발생하는 원인은 조정결과에 대한 법적 이해가 부족하거나 처음부터 조정절차를 소송과 같은 대결구도로 파악하여 분쟁의 결과물을 자신들에게 유리한 쪽으로 해석하려는 동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것으로 보인다. 조정결과의 왜곡 공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조정심리기일에 중재부가 당사자들에게 조정절차의 비공개성과 조정결과의 공표에 관한 주의사항을 각인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조정합의서에 조정의 비공개에 관한 사항을 기재하는 등의 조치도 고려할 수 있다. 당사자들이 부득이 조정결과를 공표하는 경우에도 그 법적 의미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하며, 제삼자가 당사자 간 조정결과를 보도하는 경우에는 양당사자 모두에 대한 충실한 취재를 거치는 것이 안전하다. 제도적으로는 조정결과의 왜곡행위에 대한 벌칙을 각 조정제도를 규율하는 개별법이나 ADR기본법 제정을 통해 구현하는 방식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