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이지 일본의 국체론적 계몽주의 — 이데올로기로서의 ‘교(敎)’와 계몽의 구조 —

        이예안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9 개념과 소통 Vol.0 No.23

        This paper reexamines the prevailing understanding of the Meiji Enlightenment in terms of the discourse on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conducted by Meirokusha in the early Meiji period. Specifically, it extends the discourse on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beyond the confines of Meirokusha to also include the discourses of those advocating the unity of church and state and the establishment of a state religion. Such discourses gave rise to various forms of enlightenment in the late Meiji period, of which this paper explores the critical appropriation of modern western enlightenment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Kokutai (national polity) theory, hence the enlightenment of Kokutai. There is a particular focus on the division and reorganization of the concept of 敎 (teaching / religion), since it was the key concept in Kokutai theory and enlightenment was only relevant to Kokutai theory in this context. This analysis shows that when the adherents of Kokutai understood it as a religion, and 敎 (teaching / religion) was seen in ideological terms, then enlightenment appeared in a distorted form as a discipline required by divine authority. Another finding is that when rational judgment and criticism of the Kokutai religion were not allowed, this suppressed the formation of the individual subject of enlightenment. 본고는 메이지 계몽사상에 관한 종래의 논의가 메이지 초기 메이로쿠샤의 문명개화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것에 대해 문제 제기하는 입장에서 출발한다. 즉메이지 계몽사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메이로쿠샤의 문명개화론뿐 아니라 제정일치 및 신도국교화 입장에서 나온 문명개화론을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이 두 방향의 논의가 메이지 후기 국체론의 영향 아래 다양한 갈래의 계몽주의로 전개되었다는 이해다. 그 갈래들 가운데 본고에서는, 신도국교화 논의에서 출발해 일본형 정교분리를 거쳐 국체론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근대계몽사상의 비판적 전유가 일어난 점에 주목했다. 특히 국체론의 핵심을 이루는 ‘교’ 개념이 정치·종교·교육 영역에 걸쳐 분화·재편되는 과정에서, 신성권위에 의한 ‘가르침’이 하달되고 그에대한 응답으로서 ‘깨달음’이 요청된 상황에 주목했다. 그리고 그렇게 계몽의 의미와 주체가 이분된 동시에 불가분의 관계로 제시된 지점에 국체론적 계몽주의가성립했음을 밝히고자 했다. 이로부터는 국체 이데올로기로서 ‘교’가 작동할 때, 신성권위의 이름을 빌린 외부 주체에 의한 명령과 그에 대한 응답으로서 요구된신앙적 깨달음이 계몽의 구조를 이루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그에 대한 판단과 비판이 허락되지 않는 상황에서 근대적 의미의 계몽 주체의 형성이 억제되었다는 문제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도서(島嶼)에서 본 뱀 설화 비교고찰 ‒ 오키나와와 제주의 뱀 설화를 중심으로 ‒

        이예안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9

        오키나와와 제주는 민속문화가 풍부한 지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민속종교의 영역에서 본토와는 이질적인 민속문화가 전승되고 있는 것도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다. 오키나와와 제주 지역의 민속종교 중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신앙으로 뱀 신앙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오키나와와 제주의 뱀 설화에 나타난 당시 사람들의 뱀에 대한 관념 및 의식세계에 대해 고찰 해보았다. 뱀을 신으로 숭앙할거인가, 적으로 퇴치할 것인가라는 의식세계가 뱀 설화에는 잘 나타나 있다. 두 지역 모두 뱀신의 신앙형태나 출현과정이 일정치 못하다. 뱀신을 인격화하여 조상신으로 관념하는 근원은 조상숭배에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 같다. 특히 두 지역에서 뱀신은 수신, 조상신, 마을의 수호신의 이미지는 공통적인 특징이었다. 두 지역의 뱀에 대한 관념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키나와에서는 뱀과의 혼인을 신성한 것 또는 자연스러운 것으로 여겨지는 관념이 나타나 있는 반면, 제주에서는 뱀과 인간의 혼인에 대한 관념이 없다. 둘째, 오키나와에서는 뱀이 인간으로 변신인 경우는 인간과의 혼인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인 반면, 제주 뱀 설화에서는 인간의 욕심이나 죄 등과 관련하여 인간이 뱀으로 환생하고 있다. 셋째, 오키나와 뱀 설화에서는 뱀이 인간으로의 변신은 일시적인 것인 반면, 제주의 뱀 설화에서는 인간이 죽음을 매개로 해서 다시 뱀으로 환생한다는 관념이다. 넷째, 오키나와에서는 뱀신에 대한 의례가 퇴색하여 하나의 마쓰리(놀이)로 변용된 형태인데 반해, 제주에서 일부에서는 뱀신에 대한 의례로써 굿이 행해지고 있다. The southern islands of Okinawa, Japan, and Jejudo, Korea’s largest island, are both well-known as regions with abundant folklore. In particular, it is also what they have in common that the folkloric religions different from those on the mainland have been handed down. Therefore folktales about snakes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the folkloric religions in Okinawa and Jeju. This paper reviewed the notions and spheres of consciousness that the islanders used to have about snakes at the time the folktales were first created. The folktales about snakes well represent their spheres of consciousness that raised a question on whether the snake should be worshiped as a god-like being or eradicated as an enemy. Both the regions exhibit inconsistent forms or appearances of the religions about snakes. The origin of the notion where a snake god was worshiped as an ancestor god through impersonation lies on the worship of ancestors. Notably, a snake god on both the islands had the same image as that of a water god, an ancestor god, or a village go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otions of snakes on the two island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marrying a snake is accepted as what is sacred and natural in the folktales of Okinawa, while the similar concept has not been expressed in those of Jeju. Second, in the folktales of Okinawa, the purpose of the incarnation of a snake is snake to marry a human, while Jeju’s folktales talk about the incarnation related to greed or sins of humans. Third, the incarnation of a snake in the folktales of Okinawa is temporary, while a human in Jeju’s folktales is reincarnated as a snake through a medium of death. Fourth, the rite for a snake god in Okinawa has been discolored and transformed into Matsuri (a Japanese word for a festival or holiday). In some regions of Jeju, however, Gut (a Korean word for a rite for spirits) has been performed as a ritual for a snake god.

      • KCI등재

        도서(島嶼)에서 본 뱀 설화 비교고찰 -오키나와와 제주의 뱀 설화를 중심으로-

        이예안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9

        오키나와와 제주는 민속문화가 풍부한 지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민속종교의 영역에서 본토와는 이질적인 민속문화가 전승되고 있는 것도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다. 오키나와와 제주 지역의 민속종교 중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신앙으로 뱀 신앙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오키나와와 제주의 뱀 설화에 나타난 당시 사람들의 뱀에 대한 관념 및 의식세계에 대해 고찰 해보았다. 뱀을 신으로 숭앙할거인가, 적으로 퇴치할 것인가라는 의식세계가 뱀 설화에는 잘 나타나 있다. 두 지역 모두 뱀신의 신앙형태나 출현과정이 일정치 못하다. 뱀신을 인격화하여 조상신으로 관념하는 근원은 조상숭배에 있었다고 보아야 할 것 같다. 특히 두 지역에서 뱀신은 수신, 조상신, 마을의 수호신의 이미지는 공통적인 특징이었다. 두 지역의 뱀에 대한 관념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키나와에서는 뱀과의 혼인을 신성한 것 또는 자연스러운 것으로 여겨지는 관념이 나타나 있는 반면, 제주에서는 뱀과 인간의 혼인에 대한 관념이 없다. 둘째, 오키나와에서는 뱀이 인간으로 변신인 경우는 인간과의 혼인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인 반면, 제주 뱀 설화에서는 인간의 욕심이나 죄등과 관련하여 인간이 뱀으로 환생하고 있다. 셋째, 오키나와 뱀 설화에서는 뱀이 인간으로의 변신은 일시적인 것인 반면, 제주의 뱀 설화에서는 인간이 죽음을 매개로 해서 다시 뱀으로 환생한다는 관념이다. 넷째, 오키나와에서는 뱀신에 대한 의례가 퇴색하여 하나의 마쓰리(놀이)로 변용된 형태인데 반해, 제주에서 일부에서는 뱀신에 대한 의례로써 굿이 행해지고 있다. The southern islands of Okinawa, Japan, and Jejudo, Korea’s largest island, are both well-known as regions with abundant folklore. In particular, it is also what they have in common that the folkloric religions different from those on the mainland have been handed down. Therefore folktales about snakes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the folkloric religions in Okinawa and Jeju. This paper reviewed the notions and spheres of consciousness that the islanders used to have about snakes at the time the folktales were first created. The folktales about snakes well represent their spheres of consciousness that raised a question on whether the snake should be worshiped as a god-like being or eradicated as an enemy. Both the regions exhibit inconsistent forms or appearances of the religions about snakes. The origin of the notion where a snake god was worshiped as an ancestor god through impersonation lies on the worship of ancestors. Notably, a snake god on both the islands had the same image as that of a water god, an ancestor god, or a village go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otions of snakes on the two island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marrying a snake is accepted as what is sacred and natural in the folktales of Okinawa, while the similar concept has not been expressed in those of Jeju. Second, in the folktales of Okinawa, the purpose of the incarnation of a snake is snake to marry a human, while Jeju’s folktales talk about the incarnation related to greed or sins of humans. Third, the incarnation of a snake in the folktales of Okinawa is temporary, while a human in Jeju’s folktales is reincarnated as a snake through a medium of death. Fourth, the rite for a snake god in Okinawa has been discolored and transformed into Matsuri (a Japanese word for a festival or holiday). In some regions of Jeju, however, Gut (a Korean word for a rite for spirits) has been performed as a ritual for a snake god.

      • KCI등재

        왕조의 始祖와 海宮― 해궁에서의 결혼 및 주물획득의 의미 ―

        이예안 한국일본학회 2009 日本學報 Vol.81 No.-

        日本の彦火火出見尊説話と韓国の作帝建説話は王朝起源伝承を物語っている。これらの説話にみられる竜宮(海宮)を訪ねるきっかけは異なるが、海神の案内で竜宮を訪ねるという内容と、天孫が竜宮を訪ねるという内容が共通している。竜宮は彦火火出見尊伝説では海底まで舟に乗って行くという風に地上から遠い所にあるのに比べ、作帝建説話では海にあるが海底ではなく歩いていける所にある。 当時の人々は彦火火出見尊説話と作帝建説話にでてくる竜宮という所を王朝の始祖がそこを訪ねて妻を娶り呪物を得るということで王室の神聖さと当為性、権力基盤を固めて戻る場所としてとらえている。また竜宮は天孫が海神の助けをかりて行ける場所ではあるが、永遠に行き来できる所ではなく断絶する場所として解釈している。彦火火出見尊が竜宮でもらった珠は水を制する宝物であることから海人族と関係のある伝承で、作帝建が竜宮でもらった呪物は遊牧民族と関係のある伝承である。以上のことからこれらの説話において竜宮に対する意識の差がわかる。

      • KCI등재

        가토 겐치의 국가신도 창출: 근대일본에서 국가신도는 어떻게 종교로 정의되었는가?

        이예안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23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22 No.1

        Is State Shinto a religion? This long-standing question has been consistent with denial in modern Japanese government policy since the Meiji government’s theory of non-religion of Shinto in 1882, and as an extension, the State Shinto was also treated as outside the category of religion. However, in December 1945, GHQ’s Command of Shinto stated that the reality of State Shinto classifi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as non-religious was a religion. Since then, most of the subsequent studies on State Shinto recognize the religious function of State Shinto, there is not yet full of understanding of how State Shinto can be defined as religion other than explaining the emperor’s deification, worship, way of ritual,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emperor and the subjects. In this regard, how was the State Shinto defined as a religion in modern Japan? The question is set up, and Kato Genchi in the early 20th century, who was a professor at Japan Army University, and an assistant professor of religious studies and also an assistant professor of Shinto lectures at Tokyo Imperial University, is reviewed. Kato Genchi is the first one to define the concept of State Shinto, systematize State Shinto into a religion, and is regarded as the “origin of State Shinto.” By reviewing the work of reinterpreting the religion, shinto, emperor and national body and redefining the concept within religious studies and shinto studies, it will be possible to confirm the process of creating State Shinto as a religion.

      • KCI등재

        근대일본에서 천황-국가적 ‘주체’ 개념의 형성 — 천황주권설파의 ‘통치권의 주체’ 해석을 중심으로 —

        이예안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17 개념과 소통 Vol.0 No.20

        .For the concept of ‘主體’ (Shutai ) in modern Japan, its philosophical meaning has been actively discussed, but its political and legal meaning has received far less attentio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主體’ concept in modern Japan was complex : it first appeared in the term of ‘主觀’ as a translation of ‘subject,’ ‘sujet,’ or ‘Subjekt,’ but soon acquired the sense of ‘holder of a right (and duty),’ and subsequently, during the constitutional debates, the meaning of ‘only holder of sovereignty’ emerged, which was then taken to mean ‘emperor’s body,’ and hence the meanings of ‘God’s body,’ or ‘substance,’ or ‘essence’ as ‘God’s Way’ were also established. This paper explores the interpretations of emperor-sovereignty theorists with regard to the Constitution of the Empire of Japan, proclaimed in 1889 : the key issue being whether ‘the Shutai of ruling and governing’ was ‘the emperor’ or ‘the state.’ The bizarre concept of ‘Subject’ (主體) arose through an inter- mingling of legal theory, kokutai ideology, and Shintoism. This analysis confirms that the meanings of the ‘主體’ concept articulated by the emperor-sovereignty theorists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concept in imperial Japan. 근대일본의 ‘주체’ 개념에 관해, 지금까지 그 철학적 의미는 논의되어 왔으나 정치법학적 의미에 관한 검토는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다. 그런데 근대일본에서‘주체’ 개념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면, ‘subject, sujet, Subjekt’의 번역어로 초기에‘주관’이 등장했으나 곧 철학영역에서 ‘주체’의 용어가 부상했으며, 이후 헌법 논쟁을 통해 ‘통치권의 주체’라는 강력한 의미장 속에서 ‘주체’의 의미가 성립되었다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이 점에 주목하여 본고는, 1889년 「대일본제국헌법」 조문과 관련하여, 천황주권설파의 헌법해석론에서 ‘통치권의 주체’로서 ‘국가’와‘천황’을 어떻게 위치시켰는가를 살펴봄으로써, 그 안에서 법리와 국체사상 그리고 신도사상이 결합하여 잡종적인 ‘주체’ 개념을 형성해 간 과정을 검토한 것이다. 이 작업을 통해, 이렇게 착종된 ‘천황-국가적 주체’의 의미가 근대일본의 ‘주체’ 개념 형성에 영향력을 가지고 자장을 형성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나아가 이 작업은, 제국-식민지 사이에 가로놓여 있는 문제로서 ‘주체’ 개념을생각하는 데 일정한 시사를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나카에 조민의 아시아인식-교화주의의 음영-

        이예안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2 일본사상 Vol.0 No.23

        本稿は、十九世紀末の激動するアジア情勢のもとで、中江兆民が1882年の壬午軍乱を契機に著述した「論外交」を検討し、また、1884ー1885年にわたる玄洋社時代を検討するものである。従来、兆民のアジア認識が論じられる祭は、主に「論外交」が取り上げられて、道義主義に基づくアジア認識として強調されてきた。これに対して、国権主義団体の玄洋社に関わった時代の兆民については、さほど触れられてこなかったようにみえる。そこにおける兆民の行動が、「異質」「突飛」と言われてきただけに、玄洋社時代の兆民を論じることは、おそらく、「自由民権思想家」「道義主義者」の兆民像に亀裂を招くことになるからであろう。ところが、明らかに相反するようにみえるこれら二つのアジア認識は、必ずしも接点がなくはない。「論外交」で兆民は、文明における先進の西欧と後進の日本、大国と小国という対立項を立てて、文明の本質としての道義主義を主張する。大国の西欧に対して、その富国強兵における武力主義、そして道義の不在を非難し、その西欧の文明を志向する小国の日本に対しては、道義に基づきかつ道義のための闘争を要請する。そして兆民は、この西欧とアジアの対立項に加えて、アジアにおける先進の日本と後進の朝鮮という対立項を立てる。兆民は、日本を中心として重なる二重構造を設けることによって、日本と朝鮮の関係を語ることができ、アジアにおける日本の外交の道として教化主義を成立させることができているのである。そこにおいて兆民の提示する道義に基づく小国主義は、単に武力に反対して平和を堅持するものにとどまらず、西欧の暴力に対しては道義主義を死守し、またそのような道義主義に基づいて、隣国を導くという積極的な意味合いになっている。これに対して玄洋社時代の兆民は、東洋学館と善隣舘の設立計画に主導的に動いており、また、義勇軍結成運動に間接に関与しながら、「志士養成」「東洋経綸」を目指していた。そこにおける兆民のアジア認識が、大アジア主義的なものであることは明らかである。ところでそれと同時に兆民は、アジアに臨む自分自身の使命を「教化」にあると定めて、アジアを「文明」に導こうと考えていた。1882年「論外交」と共通する思考が認められるところである。しかしここにおいて、燐国を道義に基づいて導くこと、燐国を教化することはどのような意味なのか、というより根本的な問いと向き合わざるを得ない。兆民のアジア認識としての教化主義は、理念を実際において具現しようとしたとき、ジレンマに陥ってしまう。それでもなおその矛盾、葛藤、拮抗を思索しつづけるところに、まさに、中江兆民のアジア認識は成り立っているように思われる。

      • KCI등재

        『은하철도의 밤』의 일한번역에 대한 고찰- 우유(乳,牛乳), 켄타우로스 축제(ケンタウル祭), 천기륜 기둥(天気輪の柱), 사과(苹果)를 중심으로 -

        이예안 한국일본학회 2017 日本學報 Vol.110 No.-

        The literary world of the fantasy novel has been left incomplete since the death of its author Kenji Miyazawa. With multiple Japanese versions, the attractive tale has been translated into Korean by seven translators. The seven Korean translators exhibit similarities in understanding some words including ‘milk’, ‘the Centaurus Festival’, ‘the Pillar of the Weather Wheel’, and ‘the apple’. The translators accepted the latter three as words that are used in both the real and imaginary worlds. Their versions, however, show different translation strategies through the translator's annotations, comments, and interpretations. This implies that each translator had a different target audience as well as a different interpretation of “Night on the Galactic Railroad” 미야자와 겐지가 만년까지 작품 세계를 완성시키지 않고 남긴 동화 『은하철도의 밤』은 지금까지도 많은 논고가 있는 매력적인 작품인 만큼 일곱 명의 『은하철도의 밤』의 번역자가 우유(乳, 牛乳), 켄타우로스 축제(ケンタウル祭), 천기륜 기둥(天気輪の柱), 사과(苹果)에 대한 일한번역은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고, 우유(乳, 牛乳)를 제외한 나머지 어휘에 대해서는 실제세계와 환상세계에서 동시에 사용하고 있는 어휘로 번역자들이 받아들이고 있다. 그러나 역주나 옮긴이의 말과 작품해설에서는 이들 어휘에 대한 번역전략도 다양한 양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은하철도의 밤』의 번역자마다 작품세계에 대한 이해와 독자층 대상 선정이 다름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