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클린뷰티 화장품에 나타난 통합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연구

        이영화,Lee, Young-Hwa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4

        코로나 시대 마스크 착용으로 유해 성분을 배제한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클린뷰티'가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20년 국내 온·오프라인에서 유통되고 있는 클린뷰티 화장품 브랜드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클린뷰티 브랜드 36개를 추출하고 전문가 분석을 통해 적합한 브랜드 20개를 선정하였다. 클린뷰티 화장품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분석을 위해 구성요소를 네이밍, 로고, 색채, 패키지, 웹사이트로 도출하여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네이밍은 자연, 건강 등을 연상하면 떠오르는 단어, 로고는 심플한 형태의 워드마크, 색채는 녹색이나 노란색계열, 패키지는 용기바디에 가운데 맞춤으로 구성된 심플한 형태, 웹사이트는 식물과 동물, 사람의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구성요소를 종합해 볼 때 자연, 깨끗한, 가벼운 이미지 등을 조화롭게 활용한 것이 클린뷰티 화장품 브랜드를 선호하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Clean beauty' attracts attention with an increasing interest in cosmetics without harmful ingredients as people wear masks in the age of COVID-19. Thus,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clean beauty cosmetic brands circulated in Korea on/offline in 2020. This study extracted 36 clean beauty brands and selected 20 suitable brands through an experts' analysis. For an analysis of clean beauty cosmetic brand communication, components: naming, logo, color, package, and website were drawn to conduct a survey. Preferred were the words they come up with when they think of nature or health for naming; wordmarks in a simple form for logo; greenish or yellowish for color; the simple form aligned center on the container body for package; and the images of plants, animals, and humans for website. To sum up the components, utilizing natural, clean, and light images harmoniously, acted as a factor for preferring the clean beauty cosmetic brands.

      • KCI등재

        한방화장품 패키지에 나타난 디자인 표현 연구

        이영화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1

        With the Korean Wave (Hallyu), the popularity of Korean drama had an impact on the cosmetics market and created a neologism, K-Beauty. Especially, thanks to Chinese group tourists‘Yόukѐ’that favor the domestic cosmetic products, the market has continuously renewed the record. And yet, in 2017, Chinese government's vindictive actions against the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deployment had significant impacts on sales in the travel and distribution industries, etc. and a serious influence on the sale of cosmetics.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is willing to seek brand based differentiated strategies and improvement directions through an analysis of design expressions in the packages of the Korean herbal medicine cosmetics with a high market share among the touris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five brands with a high market share among the consumers in the first half of 2017, which are Sulwhasoo, The History of Whoo, Sooryehan, The Face Shop and Missha and conducted a survey. From 10 design experts and five employees in the beauty industry, expression elements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were extra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50 women in their 20s-50s who were using Korean herbal medicine cosmetics by showing products to them directly,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Traditionality was shown strongly in word mark, layout, graphic and colors, and the originality was highly ranked in The Face Shop, which the leading consumers are 20s-30s. As a result, the differentiation from one another is an issue since the image of traditionality is excessively emphasized by each brand, and it is judged that establishing a new identity beyond the traditional framework would affect the development of package designs. If Korean beauty is developed, converging with modern images, Korean herbal medicine cosmetics will grow and settle as South Korea’s asset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us, this study would help the South Korean cosmetics market by investigating the expression element characteristics of package design of Korean herbal medicine cosmetics more in detail. 한류의 열풍으로 한류 드라마의 인기는 화장품 시장에 까지 영향을 끼쳐 K-뷰티라는 신조어를 탄생시켰다. 특히 국내 화장품 제품을 선호하는 중국인 단체관광객 ‘요우커(遊客)’로 인해 계속되는 기록 갱신을 보여 왔다. 하지만 2017년 중국정부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THAAD)배치 보복성 조치로 인해 여행, 유통 업종 등의 매출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화장품의 판매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현황에서 본 연구는 관광객에게 점유율이 높은 한방화장품 패키지에 나타난 디자인 표현 분석을 통하여 브랜드 중심의 차별화 전략을 모색하고 개선방향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상반기 소비자에게 점유율이 높은 설화수, 더 히스토리 오브 후, 수려한, 더페이스샵, 미샤로 5개 브랜드를 선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디자인전문가 10명, 뷰티사업종사자 5명에게 문헌을 통해 수집된 표현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한방화장품을 사용하는 20~50대 여성 50명에게 직접 제품을 보여주는 설문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워드마크, 레이아웃, 그래픽, 색채 모두 전통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20~30대가 주 소비층인 더페이스샵은 독창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브랜드별 과도한 전통성 이미지 부각으로 서로간의 차별성이 문제점으로 보여 지며 이를 위해 기존에 틀을 벗어난 새로운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 패키지 디자인에 발전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한국적 아름다움을 현대적 이미지와 융합 발전시킨다면 한방화장품은 세계화 시대에 우리의 자산으로 성장하여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방화장품의 패키지 디자인 표현요소 특성을 세부화적으로 연구하여 우리 화장품 시장에 도움에 되고자 한다.

      • KCI등재

        자전적 고백 —J.M. 쿳시의 소년 시절에 나타난 소속의 문제

        이영화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22 영어영문학21 Vol.35 No.4

        J.M. Coetzee’ Boyhood is part one of his autobiographical trilogy: Scenes from Provincial Life: Boyhood, Youth, Summertime. By defining Boyhood as an autobiography, this paper examines how Coetzee employs third-person present tense as a strategy for revealing his truthful confession, (un)belonging. First, the use of the third-person present tense in Boyhood allows the narrator to set his estranged self and then to more objectively confront the historical self. The distance enables the narrator to avert self-deception and generates a dialogue between the ‘self-of-writing’ which is doing the writing and the written self, which leads to considering protagonist John’s confession as Coetzee’s own. Second, John, who experiences how prevalent (post)colonial dichotomy and discourse, resists belonging to the discriminatory system in South Africa. John responds to it by engaging his unusual relationship between his father and mother and by leading to emotional and physical reactions such as his vulnerable mind, illness, and even favorable response to English culture. Finally, John’s (un)belonging status between Afrikaans and English culture is transcended through identification with the farm. John recognizes that the farm which is the land does not represent any of the systems of Afrikaans Nationalism, English culture, nor native South Africans.

      • KCI등재

        영상편집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에 관한 연구-tvN 예능 프로그램 중심으로-

        이영화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7 조형미디어학 Vol.20 No.2

        In modern society, television shows an influence as a media as the importance of image editing design gradually increases as a means of the expression of communication. Viewers came to understand the contents better, looking at the visual elements used in the image editing design. This study attempted to approach effective expression method and utilization,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visual elements applied to the image editing design of “Three Meals A Day,” “Life Bar,” and “Youn's Kitchen” selected from the programs of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 tvN, which show diversification. This study described the development and type of image editing design, and the applied visual elements, such as layout, subtitle, element and color, set the scope and method of the analysis of cases to investigate the visual elements of the selected tvN entertainment programs and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ases. As a result of an analysis, by visual elements, the layout was high in “Three Meals A Day,” the subtitle was high in “Youn's Kitchen,” the element was high in “Life Bar,” and the color was high in “Youn's Kitchen.” “Youn's Kitchen” recorded the highest percentage in the overall part of visual elements. This result shows a similar form to the ratings of the programs. Like this, currently, it was noted that the images that visualization elements give to the viewers, too, played direct roles in the programs. This study noted that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layout by which the attention to image editing design increases; the subtitle by which the director’s intention is recognized, not simply the writings; the element by which contents can be recognized quickly; and the color which is suitable for the character of the program to the image editing design had an impact on the ratings of the programs. 현대 사회에서 텔레비전은 커뮤니케이션의 표현 수단으로 영상편집디자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며 매체로서의 영향력을 보여 주고 있다. 영상편집디자인에 사용되는 시각적 요소들을 보면서 시청자들은 내용을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다양화를 보여주는 종합편성채널(종편) tvN의 프로그램들을 중심으로 선정된 삼시세끼, 인생술집, 윤식당의 영상편집디자인에 적용된 시각적 요소를 비교 분석하여 영상편집디자인의 효과적인 표현 방법과 활용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영상편집디자인의 발전 및 유형과 적용된 시각적 요소 레이아웃, 자막, 엘리먼트, 색채에 대해 서술하고 사례분석에 대한 분석범위 및 방법을 설정하여 선정된 tvN예능 프로그램의 시각적 요소를 연구, 사례를 비교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시각적 요소별 레이아웃에서는 삼시세끼, 자막은 윤식당, 엘리먼트는 인생술집, 색채는 윤식당이 높게 나타났다. 시각적 요소는 전반적인 부분에서 윤식당이 가장 높은 %를 기록하였다. 이런 결과는 프로그램의 시청률과도 비슷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시각화요소가 주는 시청자들의 이미지 또한 프로그램의 직접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는 조사가 되었다. 본 연구는 영상편집디자인의 주목성이 높이는 레이아웃, 단순한 글이 아닌 연출자의 의도를 인지하는 자막, 내용을 신속히 인지할 수 있는 엘리먼트, 프로그램의 성격에 맞는 색상 등이 영상편집디자인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어 프로그램의 시청률에 영향을 준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