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연화 된 불교, 행복, 행화주의

        이영의(Rhee Young-Eui)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8 철학논집 Vol.54 No.-

        이 글은 플래내건(Flanagan)이 자신의 저서 󰡔보살의 뇌󰡕(2011)에서 신경물리주의와 주관적 실재론을 기반으로 제시한 행복학과 자연화된 불교의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논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먼저 2장은 플래내건의 신경철학을 그것과 경쟁 관계에 있는 환원론적 물리주의와 신경현상학과 관련하여 논의한다. 3장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유다이모니아 개념의 발생론적 근원을 논의하고 이어서 플래내건이 제시한 불교적 유다이모니아와 불교적 행복의 내용과 그 양자 간의 관계를 검토한다. 4장은 플래내건이 제시한 자연화된 불교를 검토한다. 플래내건은 초자연적 실재와 개념을 포함하지 않은 자연화된 불교의 중심 내용으로서 사성제, 삼독, 삼학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가 제시한 자연화된 불교의 내용 중 문제 가 있는 부분이 지적되고 자연화의 필요성과 효용성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5장은 플래내건의 신경철학이 안고 있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행화주의를 논의하고 그 두 가지 이론의 차이점과 더불어 신경현상학에 대한 플래내건의 이해 중 문제가 있는 부분을 지적한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xamine critically the validity of eudaimonics and naturalized Buddhism based on neurophysicalism and subjective realism developed by O. Flanagan. The discussion proceeds in the following order. In chapter 2, I discuss the main contents of Flanagan’s neurophilosophy in relation to reductive physicalism and neurophenomenology, which are in competition with it. In chapter 3, I deal with the origins of Aristotle s concept of eudaimonia, and then examine Buddhist happiness and Buddhist eudaimonia suggested by Flanagan and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chapter 4, I examine the naturalized Buddhism. Flanagan suggests Four Noble Truths, Three Roots, and Three Learning as the central tenets of naturalized Buddhism which does not include supernatural realities and concepts. I point out the problematic part of his naturalization and examine the significance of naturalizing Buddhism. Finally, in chapter 5, I discuss enactionism and neurophenomenology as alternative theories to overcome the limit of Flanagan’s neurophilosophy and point ou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ories and Flanagan’s misunderstanding of neurophenomenolog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특집논문 : 감성, 공동체, 치유 ; 한국인의 대표 감성으로서의 한(恨)의 구조

        이영의 ( Young Eui Rhee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1 호남학 Vol.0 No.49

        “한국인의 기본 정서는 恨이다”, “한국인은 恨이 많다”는 말이 있듯이, 恨은 예로부터 한민족의 정서를 대변하는 단골 주제가 되어 왔다. 이 글의 목표는 이처럼 한국인의 고유한 정서로 간주되고 있는 恨을 인지과학적으로 분석하여 그것의 구조를 제시하는 데 있다. 恨이 하나의 정서 유형이라면 우리는 그것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과학적 관점에서도 접근할 수 있을 것이고, 이런 점에서 나는 恨의 체화적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그 동안 국내 학계에서 별도로 수행되어 왔던 두 가지 접근, 즉 恨에 대한 인문학적 담론과 경험과학적 접근을 연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 글의 논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2절에서는 恨에 대한 기존의 문학적 담론을 통하여 드러난 恨의 특성과 구조를 검토하고, 그런 접근들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이 지적된다. 이 글에서 恨은 한국적 환경에서 발달한 고유한 정서라고 간주될 것이다. 3절에서 나는 그런 특징을 갖고 있는 恨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틀로서 인지과학에서 최근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는 체화된 마음 이론(theory of embodied mind)을 추천한다. 우선 마음과 정서가 어떻게 몸과 환경에 체화되는지를 설명하고 정서가 신경생리학적으로 처리되는 방식을 제시한 다음, 정서의 구조에 대한 하나의 인지과학적 표준모형(OCC model)을 검토할 것이다. 4절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恨의 체화적 구조를 밝히는 데 필요한 사항들을 검토한다. 먼저 恨에 대한 기존의 접근들을 통하여 드러난 구성 요소들을 이용하여 표준 모형을 수정하고, 그것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역동적 관계를 추가하여 수정 모형을 개발하는 연구 방식을 제안할 것이다. As they say that the basic emotion of Koreans is Han, hitherto Han has been a popular theme in Korean literatures.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analyze Han, which has been thought of as indigenous to Koreans, in the cognitive scientific frame and to suggest its emotive structure. If Han is a type of emotion, we can approach it in a scientific way as well as in humanistic way, and by adopting the former I shall establish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the two approaches to Han which has been studied separately. The paper goes as follows. The section two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Han which have been turned out through the previous discussions mainly in the field of literature and points out their main problems. The section three recommends the theory of embodied mind, a new paradigm emerging in cognitive science, as the best theoretical frame which can be used to explain Han. I shall explain how the mind and emotion can be embodied in the body and environment, and how is emotion processed neurophysiologically, and examine a well-known standard model, OCC model of the structure of emotion. The section four deals with some theoretical factors necessary to study the structure of Han. First, I shall modify the OCC model by using the emotive elements in the previous discussions and then suggest a research procedure in developing a dynamic model of emotion by adding dynamic relations among the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제10차 철학상담 국제학술대회 및 제4차 인문치료 국제학술대회 조직 후기

        이영의 ( Rhee Young-eui )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2013 철학 실천과 상담 Vol.4 No.-

        This is a postscript of organizing the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hilosophical Practice and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ities Therapy. The conference was held in July 16-19, 2012, at Chuncheon campus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Seventy four people from twenty four counties took part in the conference. In this postscript I tried to convey the vividness of my feeling and thinking in organizing the conference. The following are among them: the cost of hosting the conference, the theme of the conference and program, call for papers, inviting procedure of speakers, a difficulty of securing the accommodations, and the meeting for determining the next conference. For the record, here I added the detailed program, the list of all speakers, and the history of ICPP.

      • KCI등재

        루이스의 인과에 대한 반사실적 접근

        이영의(Young-Eui Rhee)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0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26 No.-

        인과에 대한 반사실적 접근은 인과 이론이 갖추어야 할 요소들을 구비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루이스가 20여년 이상 동안의 연구를 통하여 보여주었듯이 반사실적 접근은 인과를 연구하는데 필요한 형이상학적 요소뿐만 아니라 방법론적 요소와 의미론적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루이스의 이론은 1973년 이래로 네 번의 진화 과정을 거쳐 1999년 화이트헤드 강연에서 제시된 반사실적 영향으로서의 인과 개념에 도달했다. 루이스의 인과 이론의 진화는 주로 선점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글은 루이스의 최근 이론인 인과적 영향 이론이 이전 이론들에 비하여 적응도가 더 높지 않다는 점을 주장할 것이다. 또한 루이스의 주장과는 달리 인과적 영향 이론이 인과적 연쇄 개념에 기반을 둔 이전의 이론들에 비해 선점 문제를 더 잘 해결할 수 없다는 점을 주장할 것이다. It seems that counterfactual approach to causation has necessary elements which are demarcation criteria for the academic theories of causation. As shown through D. Lewis' last twenty articulation, his counterfactual approach to causation has the methodological, semantical as well as metaphysical elements for a causation theory. Lewis' theory of causation has arrived the notion of causation as counterfactual influence as a result of four stages evolution since 1973. The evolution of Lewis' theory of causation has the center of the problem of preemption. In this paper I shall show that Lewis' recent theory doesn't have higher degree of adaptation than its previous versions. And I shall argue that earlier versions based on causal succession can solve the problem of preemption than the theory of counterfactual influence.

      • KCI등재

        군상담을 위한 목적기반모형

        이영의(Rhee, Young-Eui)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 Vol.0 No.48

        우리 사회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정보혁명의 여파로 급격한 변천을 겪고 있다. 군은 여타의 사회로부터 독립되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부 사회로부터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외부로부터 오는 부정적 영향으로부터 장병들의 정신 건강을 확보하고 강군을 유지하기 위한 효율적인 군상담이 필요하다. 이 글의 목적은 우리 현실에 적합한 바람직한 군상담 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2장과 3장에서는 군상담의 특징을 군상담의 정체성과 대상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군상담에 대한 기존의 관리적 접근을 지양하고 전인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이 주장된다. 4장에서는 우리나라의 군상담 현장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행동주의적 단기상담 모형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지적한다. 5장에서는 행동주의적 단기상담 모형에 대한 대안으로서 행위와 삶의 목적을 강조하는 목적기반 상담 모형을 제안하고 그것을 군상담에 적용한 구체적 사례를 제시한다. Korea is among the countries that undergoes the most rapid and radical changes of information revolution in the world. The military is a special society that is relatively separated from other societies but it cannot be completely free from their influences. For the military to prevent soldiers from the negative social impacts and secure their mental healthy for keeping the strong army, it is necessary to make the best use of the existing military counseling system and to make supplement and improve its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suggest a proper model for military counseling. The paper is in progress as follows. Chapter two and three examine the identity and object of military counseling, and point out that we have to abandon the short-term counseling approach from the administrative point of view. Chapter four deals critically the short-term behavioral model. Chapter five suggests the telos-based model as an appropriate model of military counseling and reports a case of applying the model.

      • KCI우수등재

        심슨역설과 인과

        이영의(Young-Eui Rhee) 한국철학회 2007 철학 Vol.92 No.-

        이 글의 목적은 심슨역설에 대한 SGS의 해결책을 평가하는 것이다. 나는 SGS의 해결책이 갖고 있는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그것들을 피할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할 것이다. 논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심슨역설을 제시하고 그것이 확률 적인과 이론에 대해 제기하는 문제의 성격을 분석한다. (1절) SGS가 제시하는 베이즈망 이론의 이론적 요소들을 확인하고, 심슨역설과 관련되는 근본 가정들을 논의한다. (2절). 이어서 심슨역설의 두 가지의 유형을 제시하고 그것들에 대한 SGS의 해결책을 비판적으로 비교 검토한다. (3절) 마지막으로 SGS의 해결책이 의존하는 존재론적 요소를 검토하고 그로부터 모순적 요소를 지적한다. (4절)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심슨역설에 대한 ㄴSGS의 해결책은 문제점을 갖고 있지만, 심슨역설은 그 자체만으로는 SGS의 이론을 비결정론적 체계에 적용하는데 걸림돌이 될 수 없다는 점이 드러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evaluate a solutions of Simpson's paradox which was recently suggested by Spirtes, Glymour, and Scheines(SGS). I shall point out some important problems of the SGS's solutions and then suggest a way to escape them. Section 1 provides a standard form of Simpson's paradox and analyzes features of the problems which the paradox brings about to the theories of probabilistic causation. Section 2 illustrates with theoretical factors of Bayesian networks that SGS's suggestions depend upon and discusses its two fundamental assumptions, i.e., causal Markov condition and faithfulness condition. Section 3 makes a distinction between two types of Simpson's paradox and critically compares SGS's solutions to those types. Lastly, I shall examine an ontological factor(pseudo-indeterminism) inherent in SGS's solutions and point out a contradictory fact resulting from it. It turns out that (ⅰ) there are insuperable problems in SGS's solutions to Simpson's paradox, but (ⅱ) Simpson's paradox itself cannot be an theoretical obstacle to the enterprise where we apply SGS's solutions to indeterministic system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